본문내용
1. TPA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1.1. 정의와 특성
TPA (Tissue Plasminogen Activator)는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혈괴를 파괴하는 용도로 FDA의 승인을 받은 유일한 약물이다. 이는 정맥주사제이며 tPA 요법은 뇌졸중 치료의 표준요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본래 섬유소를 용해시키는 천연물질이지만, 실제로 치료에 사용되는 것은 재조합 tPA이다. 미국 심장협회(AHA)에 의하면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한 후 3시간 이내에 tPA를 투여하면 불구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한다.
1.2. 적응증과 금기증
TPA는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혈괴를 파괴하는 용도로 FDA의 승인을 받은 유일한 약물이다. TPA의 적응증은 나이가 18~80세, 발생 시간이 3시간 미만, CT상 출혈이 없고 경색의 소견이 없을 것, 급성 국소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TPA의 사용은 다음과 같은 금기증이 있다. 첫째, 급성 뇌출혈(현재 또는 과거력)이 있는 경우, 둘째, 최근 3개월 내 뇌수술, 대량 외상, 중풍이 있었던 경우, 셋째, 최근에 심근경색이 있었던 경우, 넷째, 최근의 요추천자나 대혈관 천자가 있었던 경우, 다섯째, 혈당이 400mg/dL 이상인 경우, 여섯째,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185/110 mmHg 이상)이 있는 경우, 일곱째, 최근 21일 내 위장관 또는 비뇨기 출혈이 있었던 경우, 여덟째, 최근 14일 내 중추신경계 수술 외 수술이 있었던 경우, 아홉째, 뇌종양 또는 동맥류가 있는 경우, 열째, CT상 주요 조기 뇌경색 징후(부종, 수술로 인한 변형, 종괴 효과, 출혈)가 있는 경우, 열한째,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 빠르게 호전되는 경우, 열두째,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경우, 열셋째, 출혈 경향이 있는 경우, 열넷째, 와파린을 복용 중이거나 PT가 15 초과(INR > 1.7), 혈소판이 10만 미만인 경우, 마지막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감각 소실 등 경도의 국소적 신경학적 결손만 있는 경우 등이다. 즉, TPA는 출혈 위험성이 높은 경우에는 사용이 금기되며, 신중한 적응증 설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1.3. 투여 방법 및 일반 처치
tPA(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는 0.9mg/kg(최대용량 90mg) 총량으로 10% IV bolus 형태로 초기에 투여한 후 나머지 용량을 1시간 동안 점적 주사한다. 투여 후에는 24시간 동안 혈압과 심전도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투여 후 첫 2시간은 15분마다, 그 다음 6시간은 30분마다, 이후 16시간은 60분마다 혈압을 체크한다. 혈압은 적절히 조절되어야 한다.
tPA 투여 후에는 24시간 동안 아스피린, 헤파린, 쿠마딘, 항혈소판제, 항혈전제 등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중심정맥관이나 동맥 천자는 가급적 피해야 하며, 도뇨관은 30분 뒤, 비위관은 24시간 후에 삽입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