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 분석 및 개선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좋은 평가 문항의 정의와 조건
1.2. 문항 분석의 필요성
2. 문항 검토와 사전 평가
2.1. 문항 검토 절차
2.2. 사전 평가의 목적과 방법
3. 문항 분석 및 개선 방안
3.1. 난이도와 변별도 분석
3.2. 문항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
3.2.1. 듣기 자료의 실제성과 명확성
3.2.2. 문항 내용의 타당성
3.2.3. 문항 형식의 적절성
4. 결론
4.1. 평가 설계의 고려사항
4.2.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좋은 평가 문항의 정의와 조건
평가의 목적을 달성하고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잘 만들어진 평가 문항이 필수 조건이다. 필요 이상으로 어려운 단어, 불필요하게 복잡한 문장 구조, 모호한 문장, 두서없이 기술된 문장, 불부명하게 제시된 그림, 혼돈스런 지시문, 인종과 성별의 편파성 등은 좋은 문항을 제작할 때 장애가 된다. 이러한 장애 요소를 피하여 좋은 문항을 만들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문항의 내용과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과의 일치도, 즉 검사의 타당도에 기여하는 문항이어야 한다. 또한 문항 내용은 복합성을 지녀야 하며 열거된 단순 사실만을 질문하는 것이 아닌 요약, 일반화, 추상화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문항은 내용적 측면이나 형식적 측면에서 참신성이 있어야 하며 문항의 난이도 또한 적절해야 한다. 학습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항이 좋으며 문항은 검사의 사용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 검사의 신뢰도와 관계하여 측정 오차를 유발하지 않는 문항이 좋고, 문항의 형식 면에서는 각 문항 유형에 따른 제작 지침에 근거하여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윤리적, 도덕적으로 문제를 지니고 있지 않으며 특정 집단에 유리하게 제작되지 말아야 한다.
1.2. 문항 분석의 필요성
문항 분석의 필요성은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문항은 평가의 기본 단위이자 평가 내용을 대표하기 때문에, 문항 분석을 통해 평가가 제대로 구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문항 분석은 평가 전반을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문항 분석은 평가의 질을 판단하고 개선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필수적이다."
2. 문항 검토와 사전 평가
2.1. 문항 검토 절차
문항 검토 절차는 다음과 같다. 문항들이 일차적으로 제작된 후에 출제자가 다시 검토한 후, 최소한 한 명 이상의 동료에게 재검토를 받아야 한다. 세심한 검토를 통해 사전평가에서 삭제될 소지가 있는 문항들을 재고하고, 사소한 결점들은 논의하에 보완, 교정하여 활용해야 한다.
문항의 검토는 문항에 대한 분석과 평가에 대한 질적 및 양적 분석으로 구분된다. 질적 분석이란 평가 목적에 맞게 평가항목에 적절하게 표집되었는지, 문항의 형식적인 유형의 특성과 제작지침에 따라 제작되었는지를 ...
참고 자료
이은형(2022) 학위 논문(석사)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평가 문항의 타당도 및 진정성 분석 연구
KBS 제 54회 한국어능력시험
김선정 외(2010), 『한국어 표현교육론』, 형성출판사
유소정, 외국어능력시험과의 비교를 통한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문항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송영승, 한국어능력시험의 초급 듣기영역 문항 분석 연구, 영남대학교, 2013.
정덕진, 기출문항 분석을 통한 한국어능력시험 이해 영역의 평가 양상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이은형,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평가 문항의 타당도 및 진정성 분석 연구 : 국외 외국어능력시험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