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빅 피쉬 - 삶을 예술로 만든 한 남자의 이야기
1.1. 서론
는 판타지의 대가인 팀 버튼 감독이 만든 영화로, 말도 안 되는 허무맹랑한 모험담을 늘어놓는 아버지(에드)를 믿지 못하는 아들(윌)이 아버지의 진실에 대해 알게 되고 아버지를 이해해가는 과정을 그린 감동적인 영화이다. 팀 버튼 감독은 아버지를 잃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작품을 만들었는데, 그래서 그런지 더 감성적이고 따뜻한 느낌을 준다. 이 작품을 영화 진행 순서대로 빛과 색, 그림자, 카메라 앵글 등의 미학적 관점을 통해 분석해보려고 한다.
1.2. 본론
1.2.1. 현재와 과거(공상)의 두 부분
이 영화는 크게 윌이 중심이 되어 진행되는 현재와, 에드워드가 중심이 되어 진행되는 과거(또는 공상)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두 부분은 느낌이 확연히 다른데, 현재 부분은 아버지에 대한 불신으로 가득 찬 윌의 마음을 대변하듯이 거의 로우키 조명으로 진행이 되고 과거 부분은 동화처럼 환상적인 이야기가 펼쳐지는 만큼 화사하고 밝은 분위기의 하이키 조명으로 진행된다.
현재 부분에서 윌은 아버지 에드워드의 허무맹랑한 영웅담을 더 이상 믿지 않게 되었다. 자신의 결혼식에서도 에드워드가 또 '빅피쉬' 이야기를 하자 화가 나 크게 다투게 되고, 이 장면은 클로즈업으로 윌의 표정을 잘 보여주면서 사이드라이트 조명을 이용해 윌의 어두운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반면에 과거 부분은 에드워드의 동화처럼 환상적인 이야기가 펼쳐지는 만큼 화사하고 밝은 분위기의 하이키 조명으로 진행된다. 아들 윌이 태어나던 날 에드워드가 '빅 피쉬'를 잡는 장면에서는 에드워드의 크기를 관객들이 대략 알고 있으므로 그에 비교해서 빅피쉬가 얼마나 큰지를 추측할 수 있으며, 클로즈업으로 화면상에 꽉 차게 보여줌으로써 더욱 커 보이는 느낌을 준다.
1.2.2. 빛과 색, 그림자, 카메라 앵글 등의 미학적 분석
이 영화에서 빛과 색, 그림자, 카메라 앵글 등의 미학적 분석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먼저 빛과 색의 활용을 보면, 현재와 과거(또는 공상)의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느낌을 전달한다. 현재 부분은 아들 윌의 불신으로 가득 차 있어 거의 로우키 조명으로 진행되는 반면, 과거 부분은 동화처럼 환상적인 이야기가 펼쳐지므로 화사하고 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