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일화기록법과 영유아 관찰
1.1. 일화기록법의 정의와 특성
일화기록법은 영유아의 행동과 말에 집중하여 그것을 기록하는데 주안점을 두는 관찰 방법이다. 관찰자가 직접 관찰한 사건이나 행동을 짧고 간결하게 서술하되, 평가를 내리지 않는 글로 묘사한 기록물이다. 영유아의 특정한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그 행동이 나타날 때마다 이를 상세하게 관찰·기록하는것이며, 사건의 흐름에 따라 반복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특징이다.
1.2. 일화기록의 작성방법
일화기록의 작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화기록은 관찰을 원하는 영유아가 보여준 사건이나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하나의 행동에 초점을 맞춰 기록하되, 사건이나 행동이 발생한 후 가능한 한 빨리 기록해야 한다. 즉시 기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6하 원칙(언제, 어디서, 누가, 무엇을, 어떻게, 왜)에 따라 간결한 방법으로 기록하여야 하며, 추후 기록하되, 기일을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기록은 사건이나 행동의 시작, 중간, 끝을 기술할 수 있도록 일화가 일어나는 순서대로 기록된다.
일화기록의 시작에는 반드시 관찰일, 관찰시간, 관찰장소, 관찰장소, 관찰영아의 이름, 생년월일, 관찰대상자를 기록하여야 한다. 관찰된 유아의 말과 행동이 모두 현재 형태로 기록되어 있으며, 행동과 말은 별도로 기록되어 있다. 이때 주어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유아·유아들이 직설적으로 인용 부호(")를 이용해 대화 내용을 그대로 인용한다.
관찰자의 편견이 들어가지 않도록 추측·설명·이유·감정·편견 등 주관적 평가를 서술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내용으로 기록한다. 관찰 대상 영·유아가 수행하는 조치를 기술할 때에는 동일한 용어로 일관되게 기록한다. 하나의 행동이 두 개 이상의 다른 표현으로 기록될 경우 언어의 다른 의미로 주관적인 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관찰된 영·유아가 평소처럼 행동하도록 지도하는 것도 중요하다. 영유아가 관찰되고 있음을 의식할 경우 부자연스러운 행동이나 의도적으로 지나친 관심행태 등의 우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러운 일상을 보여줄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
1.3. 일화기록 사례
일화기록 사례는 관찰자가 직접 관찰한 영유아의 행동과 말을 구체적으로 기술한 기록물이다. 일화기록 사례는 영유아의 특정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그 행동이 나타날 때마다 상세하게 관찰·기록하는 것이며, 사건의 흐름에 따라 반복적으로 기록한다.
첫 번째 사례는 만 1세 유아 OO이의 바깥놀이 상황에 대한 일화기록이다. 관찰 내용을 보면 OO이가 미끄럼틀을 거꾸로 올라가려 하거나, 배로 탐으려 하는 등 안전하지 않은 행동을 하였다. 교사는 OO이가 안전하게 미끄럼틀을 탈 수 있도록 개입하여 지도하였다. 이에 대해 관찰자는 OO이의 안전한 놀이를 위해 사전에 미끄럼틀 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반복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하였다.
두 번째 사례는 만 2세 유아 OO이의 물놀이 상황에 대한 일화기록이다. 관찰 내용을 보면 OO이가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