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제의 종류와 성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옷의 세탁 역사
1.2. 한국 섬유 산업의 발전
2. 비누의 특성과 세탁 효과
2.1. 비누의 특성 정리 및 분석
2.2. 비누의 세탁 효과가 극대화되는 세탁방법 및 조건
3. 합성세제의 성분과 세탁 효과
3.1. 합성세제의 성분 확인
3.2. 합성세제 성분별 세탁 효과
4. 날염기법의 적용 사례
4.1. 손날염 기법의 특징 및 적용 사례
4.2. 기계날염 기법의 특징 및 적용 사례
4.3. 염료 및 안료 날염기법의 특징 및 적용 사례
4.4. 발염 날염기법의 특징 및 적용 사례
4.5. 방염 날염기법의 특징 및 적용 사례
5. 계면활성제의 세탁 효과 원리
5.1.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특성
5.2. 계면활성제의 세탁 효과 발현 원리
6. 에멀젼 형성과 계면활성제의 역할
6.1. 에멀젼의 정의 및 종류
6.2. 계면활성제의 에멀젼 형성 원리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옷의 세탁 역사
옷의 세탁 역사는 오래전부터 존재해왔다. 아시아 지역 유목민들이 염소의 지방과 나무가 타고 남은 재 등을 혼합해 사용한 것이 인류 최초의 비누로 여겨진다. 알칼리(Alkali)라는 명칭도 재(Kali)에서 유래된 것이다. 고대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문명 때부터 옷을 씻는 풍습이 있었다는 사실이 유적의 벽화 등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로마시대에는 프라스아스라고 하는 칼륨분을 함유한 점토나 분뇨에서 분리한 암모니아 등이 세제로서 사용되었고, 1세기경에는 이미 지방산나트륨으로 만든 비누가 사용되고 있었다. 당시 갈리아인이 짐승의 지방과 재를 원료로 하여 비누를 만들었다는 기록도 있다.
1.2. 한국 섬유 산업의 발전
한국의 섬유 산업은 후진국에서 선중진국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큰 공헌을 하였다. 한국의 섬유 산업이 세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는 계절에 따른 다양한 의류 생산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즉, 4계절의 뚜렷한 변화로 인해 계절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의류를 생산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의복의 외관적 아름다움과 우아함을 위해 염색 기법 중 하나인 날염기법이 사용되었다. 섬유에 아름다운 문양을 찍어냄으로써 의복의 품질과 가치를 높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처럼 한국의 섬유 산업은 계절에 따른 다양한 의류 생산과 날염기법의 활용을 통해 세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2. 비누의 특성과 세탁 효과
2.1. 비누의 특성 정리 및 분석
비누의 주원료는 온갖 동식물의 지방유를 비롯하여 석탄이나 석유류에서 합성된 인공 지방유 등이다. 이러한 지방유를 과학적으로 변조하여 물에 잘 녹거나 잘 풀어지도록 하면 비누가 된다. 특히 원료유가 인공 지방유를 이용한 비누를 일반적으로 합성세제라고 한다.
비누의 세척작용은 지방질과 먼지 등으로 되어있는 때를 피부나 섬유질로부터 쉽게 지우는 것이다. 비누가 갖추어야 할 특성은 물과도 친하고 기름과도 잘 융합되어야 한다. 천연 비누는 자신의 피부타입에 맞추어 기능성 비누를 만들 수 있는데, 피부타입은 개인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현재 나의 피부상태에 맞추어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천연 비누를 만들때 사용되는 베이스 오일과 아로마 오일등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바꾸어 만들수 있다. 예를 들면, 여드름이 심한 지성피부를 위해서는 베이스 오일로는 포도씨유, 호호바유, 등의 비교적 가벼운 오일들을 사용하고 에센셜 오일로는 티트리, 라벤더 등의 여드름과 상처 치유에 효과적인 오일들을 사용한다"".
2.2. 비누의 세탁 효과가 극대화되는 세탁방법 및 조건
세탁 비누는 가장 오래된 세제인데, 보다 편리한 합성 세제가 보급됨에 따라 사용량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비누는 동식물 기름과 수산화나트륨을 섞어 끓여서 만드는데, 화학적으로는 지방산의 나트륨염이다. 비누는 세탁 효과가 좋고, 특히 비비고 두드리며 빨래하는 우리나라 재래식 세탁 방법에 적당한 세제이다. 그러나 비누는 물에 용해되면 일부가 가수 분해되어 유리 지방산을 생성하고, 이때 생성된 지방산은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옷에 붙어 세탁이 깨끗하게 되지 않는다. 비누의 가수 분해를 방지하고 세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세탁비누에는 규산나트륨과 같은 알칼리를 첨가한다. 따라서 세탁 비누는 알칼리도가 비교적 높아서(pH 10.5 내외) 세탁 효과는 좋으나 양모, 견, 아세테이트 등과 같이 알칼리에 약한 섬유 제품을 세탁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3. 합성세제의 성분과 세탁 효과
3.1. 합성세제의 성분 확인
합성세제의 주성분은 계면활성제로서 이 함량은 대략 20~30% 정도이고, 나머지는 세탁을 도와주고 세제를 사용하기 편하도록 하는 여러 가지 성분이 배합되어 있다"" 합성세제의 주성분인 「도데실벤젠·슬폰...
참고 자료
김은표, 2007, 매일경제, 세제쓰면 깨끗해지는건 계면활성제 때문
윤한식, 2010, 중앙일보, 비누의 성분과 작용
노민기, 2012, 유해화학물질 바로알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http://www.kosha.or.kr/
조성교, 정혜원(2016). 세탁과 염색.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http://www.kei.re.kr/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http://www.kosha.or.kr/ (중대사례재해집)
정혜진 (2005). “의류용 섬유제품의 내열성에 관한 고찰.” 섬유정보.
고순영 외 (2007). “니트의류 제품의 세탁 및 관리현황조사.” 한국의류학회지.
송경헌 외 (1998). “세탁에 의한 안감의 물성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