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핵심생화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식품화학의 이해
1.1. 식품화학의 정의와 역할
1.2. 식품화학 연구의 접근법
1.3. 식품화학의 역사적 발전
1.4. 식품의 일반 성분과 기능
2. 식품 내 수분의 특성
2.1. 수분의 역할과 중요성
2.2. 자유수와 결합수
2.3. 수분의 화학적, 물리적, 미생물학적 특성
3.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
3.1. 일반적인 신경화학물질
3.2. 가바의 기능과 역할
3.3. 도파민의 역할 및 관련 질병
3.4. 세로토닌의 기능과 활성화 방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식품화학의 이해
1.1. 식품화학의 정의와 역할
식품화학은 화학, 생화학, 미생물학, 물리학, 생리화학, 식물학, 동물학, 분자생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 영역을 바탕으로 인간의 식량 급원으로서 생물학적 물질을 효율적으로 연구하고 조정하기 위한 학문 분야이다. 식품의 조성과 성질, 그리고 식품의 취급, 가공 및 저장 중에 당면하는 화학적 변화를 다루며, 생물학적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밝힌다는 점에서 생물과학과 비슷하지만, 생명현상과 결부된 환경 조건하에서 생물학적 물질이 거치는 변화를 주로 다룬다. 따라서 과실 및 채소의 수확 후 생리와 동물 근육의 사후 생리도 식품화학 영역에 속하는 학문 분야로 볼 수 있다."
1.2. 식품화학 연구의 접근법
식품화학 연구의 접근법은 주로 다음의 4가지 분야에서 이루어진다"
첫 번째는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한 식품의 중요한 특성인 성질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식품의 주요한 성질과 특성을 파악하게 된다"
두 번째는 식품의 품질 및 안전성의 소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화학적 및 생화학적 반응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적 반응을 파악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첫 번째와 두 번째 항목을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으로, 핵심이 되는 화학적 및 생화학적 반응이 어떻게 품질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네 번째는 식품의 배합, 가공 및 저장 중에 당면하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하여 밝혀진 지식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3. 식품화학의 역사적 발전
식품화학의 역사적 발전은 다음과 같다.
식품화학의 역사는 농화학(Agricultural Chemistry)의 역사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오늘날과 같은 식품산업은 17세기부터 시작되었다. 식품화학의 발전해가는 역사를 주요 기여자와 년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카를 셸레(Karl Wilhelm Scheele, 1742~1786)는 스웨덴의 화학자로, 여러 가지 과실로부터 유기산을 분리하는 업적을 남겼다. 이러한 동식물 물질로부터의 새로운 화합물의 분리는 농화학 및 식품화학 분야에서 정확한 분석 연구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앙투안 라부아지에(Antoine Laurent Lavoisier, 1713~1794)는 프랑스 화학자로, 발효과정을 평형식으로 나타내었다.
셋째, 조셉루이 게이뤼삭(Joseph Louis Gay-Lussac, 1778~1850)은 프랑스의 화학자로, 건조 식물체에서 탄소(C), 수소(H), 질소(N)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넷째, 험프리 데이비(Humphry Davy, 1778~1829)는 영국의 화학자로, 칼륨(K), 나트륨(Na), 칼슘(Ca), 마그네슘(Mg) 등의 원소를 분리하는 등 화학작용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다섯째, 베르셀리우스(Baron Jons Jacob Berzelius, 1779~ 1848)는 스웨덴의 화학자로, 근대 화학의 표기법을 확립한 사람이며 세륨, 셀렌, ...
참고 자료
김건희 외 6인, 재미있는 식품화학, 수학사, 2012
최천규 외 31인, 학문명백과, 농수해양, 형설출판사
채범석 외 1인, 영양학사전, 아카데미서적, 1998
뇌는 대단히 복잡한 화학공장, 브레인미디어, 2011.01.25.
유주연, 2009, 12주간의 요가운동이 초기 혈관성 치매노인의 신체조성, 체력, 혈중 지질 및 신경전달물질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p.27~30
임재욱, 2013, 키토산-골드 나노쉘을 이용한 도파민 및 가바 분석용 바이오 센서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p.13
김아현, 2021, 우울증 치료를 위한 불교 명상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p.100~101
[김태의 뇌과학] 도파민과 뇌 건강, 서울신문, 2017.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