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시계거꾸로돌리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선정 드라마와 드라마 개요
2.1. 눈이 부시게
2.2. 스카이캐슬
3. 두 드라마 비교 분석
4. 스토리텔링 전략 분석
4.1. 눈이 부시게
4.1.1. 타임워프
4.1.2. 반전
4.2. 스카이캐슬
4.2.1. 상류층과 입시라는 소재
4.2.2. 갈등하는 주인공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오늘날 문화콘텐츠 영역에서 활발하게 대두되고 있는 것이 바로 Storytelling, 즉 스토리텔링이다. 인간에게 이야기는 언제나 가장 매력적인 재미 요소이자 흥미 요소였으며 인류 전체 삶에서 이러한 이야기는 빠지지 않았다. 그런데 현대에 이르러 문자와 인쇄 기술의 발달에 미디어 혁명이 더해지면서 인류의 오랜 활동이자 습관이었던 이야기는 스토리텔링으로서 더욱 전문화, 연구 대상화가 된 것이다. 실제로 현재에도 많은 이야기들이 생성되고 또 공유되면서 재미와 감동, 슬픔과 분노 등의 여러 감정들을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로 하여금 간접 경험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좋은 스토리는 사람들 기억 속에 오래도록 남아 삶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가치관을 점검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한다. 이런 이유로 오늘날 이야기는 단순히 유희를 위한 수단을 넘어 더 큰 가치와 의미를 내포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조가 앞서 잠시 논한 것처럼 스토리 연구의 이유가 되고 있다. 사람들에게 가치로운 감동과 재미, 교훈을 주는 스토리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보다 성숙한 스토리 개발의 초석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것이다. 이에 이번 연구도 이러한 스토리 연구의 의의를 염두하여 최근 방영된 드라마 2편을 모색해 각 드라마의 플롯 및 특징을 비교하며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볼 것이다. 또한 두 드라마 중 시청자의 흥미를 유발시킨 스토리텔링 전략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며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해 폭을 넓혀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2. 선정 드라마와 드라마 개요
2.1. 눈이 부시게
JTBC 드라마 '눈이 부시게'는 하루아침에 25살 아가씨에서 75살 노인이 된 '혜자'의 에피소드를 그린 드라마이다. 불의의 사고로 죽게 된 아버지를 살리기 위해 25살 혜자는 시간을 거꾸로 돌리는 시계를 사용해 사고 시점으로 돌아가려 한다. 그러나 시계를 너무 많이 돌려 버린 까닭인지 하루 새에 백발의 노인이 돼버리고 만다. 이에 가족과 친구들도 당황을 금치 못하지만, 긍정적으로 삶을 살아가며 젊었을 때는 느끼지 못한 노인들의 애환을 직접 경험하고 깨달아가는 혜자의 모습이 그려진다.
혜자는 젊었을 때 연이 있었던 준하가 노인 유치원에서 노인들을 상대로 약을 파는 것을 알고 당황한다. 그러면서도 그의 곁을 떠나지 못하고 결국 꼬박꼬박 노인 유치원을 다니게 된다. 그러던 중 준하는 주변 사람들의 음해로 인해 위기에 처하게 되고, 혜자는 노인 유치원 사람들과 힘을 모아 준하를 구해낸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치매에 걸린 노인 혜자의 상상과 현실이 복잡하게 중첩된 에피소드였음이 밝혀진다. 병원에서 눈을 뜬 혜자는 "젊은 내가 늙은 꿈을 꾼 것인지, 늙은 내가 젊은 꿈을 꾼 것인지 모르겠다"고 읊조리며 천장을 쳐다본다. 이처럼 '눈이 부시게'는 노인 치매와 기...
참고 자료
2015개정 초등 수학 4학년 1학기 교과서
2015 개정 초등 수학과 4학년 교과서
2015 개정 초등 수학과 4학년 익힘책
신지영, 드라마 <시그널>의 서사구조와 의미구조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7.
김정희, 스토리텔링 구성 전략 연구 : 영상콘텐츠 시나리오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