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의 침습적 진단 검사 및 치료 절차 전 사전 동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전동의
2.1. 사전동의의 정의 및 필요성
2.2. 사전동의의 요소
3. 사전동의의 법적 근거
3.1. 의료법
3.2. 개인정보보호법
4. 사전동의의 윤리적 근거
4.1. 자율성 존중 원칙
4.2. 악행 금지의 원칙
4.3. 선행의 원칙
4.4. 정의의 원칙
5. 한국간호사윤리강령의 사전동의 근거
6. 아동의 사전동의
6.1. 아동의 동의에 관한 특례
6.2. 미성년자와 부모(법정대리인)의 사전동의
7. 사전동의에 대한 간호사의 역할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환자는 자신에게 행해지는 의료행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 권리가 있고 또한 자신의 치료행위에 있어, 선택을 할 수 있는 결정권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의료행위 중 수술이나 침습적 처치에는 대상자에게 충분한 설명 후 사전적으로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것들도 있다. 또한, 의료행위를 받는 당사자가 아동일 경우 보호자에게 설명한 뒤 동의를 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이는 개인의 자율성 존중과 관련해서 환자의 사전동의가 꼭 필요하다. 그래서 이번 과제로 아동의 침습적 진단검사 및 치료절차 전 사전동의의 법적·윤리적 근거 및 절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사전동의
2.1. 사전동의의 정의 및 필요성
사전동의는 환자가 의사의 의료적 개입에 대해 자율적으로 권한을 부여하는 경우에만 의사가 개입할 수 있는 의료윤리의 핵심 규범이다. 사전동의는 환자 자신에게 행해지는 의료행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알 권리와 진료행위에 있어 선택할 수 있는 결정권을 보장한다. 이는 환자의 자율성 존중과 관련된 것으로, 수술이나 침습적 처치 전 환자에게 충분한 설명 후 사전적 동의를 받는 것이 필수적이다. 환자가 동의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상황까지 포함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환자는 의료행위에 대한 선택권을 가지게 된다. 이는 개인의 인격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것이며, 환자가 자신의 건강상태와 수행되는 간호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의사결정에 참여할 권리를 보장한다.""
2.2. 사전동의의 요소
사전동의의 요소는 환자가 의사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필수적인 조건들이다. 첫째, 동의할 수 있는 능력자로 성인 연령(18세 이상) 및 선택과 그 결과를 이해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이 있어야 한다. 둘째, 환자는 치료 관련 정보, 치료계획, 정보에 대한 이해 등 지적인 판단을 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야 한다. 셋째, 환자는 강압, 사기, 허위, 기타 속박이나 강권 등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요소들이 충족되어야만 사전동의의 효력이 발생한다."사전동의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건강관리와 관련된 사전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에게 기대되는 치료과정과 간호, 잠재적 위험요소, 효과 및 대안은 물론 동의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상황까지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보에 근거하여 환자가 자유롭게 선택하고 동의할 수 있어야 한다."
3. 사전동의의 법적 근거
3.1. 의료법
의료법에 따르면, 모든 국민은 보건의료인으로부터 자신의 질병에 대한 치료 방법, 의학적 연구대상 여부, 장기이식 여부 등에 관해 충분히 설명을 들은 후 이에 관한 동의 여부를 결정할 권리를 가진다""이다. 또한 의사·치과의사 또는 한의사는 사람의 생명 또는 신체에 중대한 위해를 발생하게 할 우려가 있는 수술, 수혈, 전신마취를 하는 경우 환자(또는 법정대리인)에게 관련 사항을 설명하고 서면으로 동의를 받아야 한다""이다. 이처럼 의료법은 환자의 알 권리와 자기결정권을 보장하여 사전동의의 법적 근거가 된다"".
3.2. 개인정보보호법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정보 처리 및 보호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개인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이다. 이 법에 따르면 개인정보 처리자는 개인정보 수집 시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아야 하며, 개인정보 처리 내용과 목적 등을 정보주체에게 알려야 한다.
특히 민감정보와 고유식별정보의 경우 정보주체...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 사전동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613354&cid=40942&categoryId=31532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사윤리강령
http://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
공병혜 외 5 생명윤리 제2판 현문사 2017, p.38~57
정면숙 외10 간호학개론 제4판 현문사 p.108~111, 120
김영혜 외14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p.111~112
김효신 외,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2020), 111-113
공병혜. 「생명윤리 제 2판」. 현문사(2017). p38~57
법제처 국가 법령정보센터 - 의료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D%98%EB%A3%8C%EB%B2%95
대한간호협회 https://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
송소현. "아동의 침습적 처치시 부모와 간호사의 지지행위."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8.2 (2006): 73-92.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0604050607311&SITE=CLICK
심보혜. "간호사의 법적 책임의 한계와 법 제도적 개선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2018. 서울
정도희.“의료현장에서의 동의와 설명-진료참관사전동의제를 중심으로”. 외법논집, 36(1). (2012): 213-224.
김수정.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에서 환자 보호자의 법적 지위와 역할 - 대행결정권과 공동의사결정을 중심으로” . 의료법학, 20(2), (2019). 43-82.
이형석. 생명윤리와 사전동의(Informed Consent). 의생명과학과 법, 7, (2012). 183-206.
홍경자, 김은주, 김효신, 남은숙, 백경선, 안혜영, 유경희, 이영희, 이주현, 임지영, 조경미 외 공저, 『아동건강간호학1』, 수문사, 2016.
공병혜, 구인회, 김상득, 김종국, 엄영란, 『생명윤리』, 현문사, 2017.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사윤리강령.
http://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
최석원 외 공저, 「정신건강의학과 영역에서 사전동의」,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