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만 2세 영아 관찰 일지
1.1. 기본생활 관찰
1.1.1. 식습관
만 2세 영아의 식습관은 매우 중요한 발달 과정 중 하나로, 이 시기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은 이후 영아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문서에 따르면, 관찰 대상 영아들은 편식을 하거나 새로운 음식을 거부하는 등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을 보였지만, 교사의 지속적인 지도와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점차 개선되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문서 1에 따르면, 한 영아(OO)는 국과 반찬은 먹지 않고 맨밥만 먹으려 하였으나, 교사가 "밥만 먹지 않고 국, 반찬 골고루 먹어야 키도 크고 몸도 튼튼해져요~"라고 설명하자 점차 국과 반찬을 먹기 시작했다. 또한 문서 3에서는 다른 영아가 배식된 김치를 싫어하여 국물에 씻어 먹는 등의 편식 행동을 보였지만, 교사의 지속적인 지도로 점차 편식이 개선되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만 2세 영아의 식습관 형성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단순히 영아에게 음식을 강요하기보다는 다양한 음식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하고, 음식의 맛, 색깔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가정과의 협력을 통해 일관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영아가 균형 잡힌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만 2세 영아의 식습관 형성 과정에서 부모의 모델링 효과가 크게 작용한다고 한다. 부모가 스스로 건강한 식습관을 가지고 있으며, 가족 모두가 규칙적이고 즐거운 식사 시간을 가지는 경우, 영아 또한 이를 모방하여 긍정적인 식습관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가정에서의 식습관 지도와 더불어 어린이집에서의 교사의 역할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종합해 볼 때, 만 2세 영아의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교사와 가정의 협력을 통한 지속적인 지도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영아가 다양한 음식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균형 잡힌 식단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1.1.2. 배변습관
만 2세 영아는 새로운 환경과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배변 습관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다. 영아는 화장실에 가는 것을 부끄러워하거나 불편하게 여기기도 하며, 변기에 오르는 것을 두려워하기도 한다. 일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