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teachers grammar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최초 생성일 2024.10.10
10,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teachers grammar"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Negation
1.1. Negative/Positive Polarity Items and Verbal Negation
1.2. Negative Raising
1.3. Scope of Negation
1.4. Stress Can Focus Negation

2. Nonreferential It and There
2.1. Nonreferential It
2.2. Nonreferential There
2.3. Contractions and Their Occurrences
2.4. Nonreferential There in Discourse

3. Multiword Verbs
3.1. Phrasal Verbs
3.2. Prepositional Verbs
3.3. Phrasal Prepositional Verbs

4. Determiners
4.1. Order of Determiners in Noun Phrases
4.2. Types of Determiners

5. Articles
5.1. Types of Articles
5.2. Using Articles

6. Adjectives and Adverbs
6.1. Characteristics of Adjectives
6.2. Characteristics of Adverbs

7. Pronouns
7.1. Anaphora and Personal Pronouns
7.2. Reflexive Pronouns
7.3. Possessive Pronouns
7.4. Indefinite Pronouns

8. Indirect Objects
8.1. Sentences with Indirect Objects: Two Patterns
8.2. Factors that Restrict the Possible Patterns
8.3. Sentences with Indirect Objects in Discourse

9. Tense and Aspect
9.1. Basic Concepts: Tense and Aspect
9.2. The Simple Tenses
9.3. Progressive Aspect
9.4. Perfect Aspect

10. Passive Sentences

11.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Negation
1.1. Negative/Positive Polarity Items and Verbal Negation

부정적 극성 요소(Negative Polarity Items)와 긍정적 극성 요소(Positive Polarity Items)는 문장의 부정 표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부정적 극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부정문에서만 나타나는 단어들이며, 긍정적 극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긍정문에서만 나타나는 단어들이다.

부정적 극성 요소에는 any, anybody, anything, any longer, anymore, anyone, anywhere 등의 any-계열 단어들과 yet, either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부정적 극성 요소들은 부정표현이 있어야 문장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on didn't bring any friends"와 같이 부정표현 "didn't"가 있어야 any가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Ron brought some friends"와 같은 긍정문에서는 부정적 극성 요소인 any를 사용할 수 없다.

긍정적 극성 요소에는 some, somebody, someone, something, somewhere, somewhat, somehow, already, too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긍정적 극성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긍정문에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We've had some lunch"와 같이 긍정문에서 some이 사용되지만, "We haven't had any lunch"와 같은 부정문에서는 any가 사용된다.

부정적 극성 요소 중 anymore와 any longer는 긍정적 극성 요소인 still과 대응관계에 있다. 예를 들어 "She still lives in that old house"와 "She doesn't live in that old house anymore"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yet는 긍정적 극성 요소인 already와 대응관계에 있다. 예를 들어 "I have already read that report"와 "I haven't read that report yet"가 이에 해당한다.

부정적 극성 요소와 긍정적 극성 요소의 차이는 부정 표현의 범위나 초점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분은 영어의 부정 표현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1.2. Negative Raising

부정 올리기(Negative Raising)는 부정 표현이 주절 동사에 "올려졌다"고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즉, 의미상으로는 종속절에 위치해야 하지만 주절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부정 올리기는 주로 의견을 나타내는 동사(think, believe, expect, imagine 등)와 지각 동사(appear, seem 등)에서 일어난다. 이러한 동사가 취하는 that절에 있어야 할 부정 표현이 주절로 이동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I imagine that he will not want to come."에서 부정 표현 "not"은 종속절 "that he will want to come"에 위치해야 하지만, "I don't imagine that he will want to come."처럼 주절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부정 올리기는 문장의 의미 변화를 수반하지 않는다. 다만 심리적 초점이 달라질 뿐이다. 예를 들어 "I don't think it's a good idea."는 "I think it's not a good idea."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부정 올리기는 주로 의견 동사나 지각 동사에서 나타나지만, factive 동사(know, regret 등)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는 factive 동사가 이미 그 내용의 진실성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종합하면, 부정 올리기는 주절에 부정 표현을 배치함으로써 문장의 의미는 유지하면서도 담화상의 초점을 달리할 수 있게 해준다고 볼 수 있다."


1.3. Scope of Negation

부정 요소의 범위, 즉 문장 내에서 부정이 미치는 부분을 나타내는 "Scope of Negation"은 문장의 의미와 해석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부정 요소는 문장 내에서 어떤 부분을 부정하는지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Tom didn't say that he knew my father."와 "Tom said that he didn't know my father."의 경우, 부정이 적용되는 범위가 다르다. 전자의 경우 부정이 "say"에 적용되어 Tom이 아버지를 안다는 말을 하지 않았다는 의미이며, 후자의 경우 부정이 "know"에 적용되어 Tom이 아버지를 모른다고 말했다는 의미이다.""

부정의 범위는 주로 부정 요소인 "not"이나 "n't"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부정 요소가 동사 앞에 오면 그 동사가 포함된 절 전체가 부정의 범위가 되고, 동사 뒤에 오면 그 동사만이 부정의 범위가 된다. 또한 부정 부사나 양태 부사의 위치에 따라서도 부정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Tom deliberately did not destroy the evidence."와 "Tom didn't deliberately destroy the evidence."에서 부정 요소 "not"의 위치에 따라 부정의 범위가 달라진다. 전자는 Tom이 증거를 파괴하지 않았다는 의미이지만, 후자는 Tom이 고의로 증거를 파괴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부정의 범위는 문장의 의미와 화용론적 맥락에 따라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부정 요소의 정확한 위치와 문장 구조를 고려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1.4. Stress Can Focus Negation

부정표현에서 강세를 받는 부분은 부정의 초점이 되어 의미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영어에서 부정이 포함된 문장을 발화할 때, 특정 단어나 구에 강세를 주면 부정의 초점이 달라지게 된다. 부정 요소(not, n't 등)가 받는 강세에 따라 전체 문장 의미의 초점이 바뀌는 것이다.

예를 들어, "Your children don't hate school."이라는 문장에서 강세의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은 해석의 차이가 있다""

a. "YOUR children don't hate school." -> 다른 이들의 자녀와는 달리 당신의 자녀들은 학교를 싫어하지 않는다.
b. "Your CHILDREN don't hate school." -> 당신의 자녀들은 학교를 싫어하지 않는다(다른 무언가를 싫어할 수는 있다).
c. "Your children don't HATE school." -> 당신의 자녀들은 학교를 싫어하지는 않는다(다만 좋아하지도 않을 수 있다).
d. "Your children don't hate SCHOOL." -> 당신의 자녀들은 학교 자체를 싫어하는 것이 아니다(다른 무언가를 싫어할 수 있다).

이처럼 부정이 포함된 문장에서 특정 단어나 구에 강세를 주면 부정의 초점이 달라지게 되어 전체 문장의 의미가 변화하게 된다. 이는 문장 내 정보구조와 대조를 나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Nonreferential It and There
2.1. Nonreferential It

말 그대로 그 단어는 어떤 특정한 대상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문장의 주어 자리를 채우는 역할을 하는 대명사이다"". it은 대부분 날씨나 시간, 거리, 날짜, 온도, 환경 등을 나타내는 명사구를 대신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It's raining pretty hard.""라는 문장에서 it은 특별한 대상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주어의 역할을 하는 대명사인 것이다"".

이렇듯 it은 문장 구조상 필요한 주어 자리를 차지하지만, 그 자체로는 특별한 의미가 없는 대명사이다. 따라서 이러한 it을 "비지시적" 또는 "비지칭적" it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 것은 앞서 언급한 날씨, 시간, 온도 등을 가리키는 단어들과 달리, 그 자체로는 어떤 구체적인 대상이나 개념을 가리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2.2. Nonreferential There

비지시적 there는 문장의 주어 자리를 차지하지만, 이전 문장이나 상황에서 언급되지 않은 새로운 정보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there이다"" 다시 말해, 문장의 주어가 되지만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는 there 이다.

비지시적 there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there가 주어 자리를 차지하지만 일반적인 주어와 달리 강세를 받지 않으며 모음이 약화되어 [ðər]로 발음된다""

둘째, there 다음에는 항상 동사가 오며, 주로 existential be 동사가 온다"" 그 외에도 존재나 위치, 움직임, 발생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동사가 올 수 있다""

셋째, there 다음에 오는 명사구는 새로운 정보이며, 불특정적이거나 비한정적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관사 the나 지시 대명사 this/that은 오지 않고, 부정관사 a/an이나 복수 명사가 온다""

넷째, 비지시적 there는 화용적 관점에서 신정보를 제공하거나, 질문에 대한 응답, 담화의 초점 전환, 과거 정보의 환기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비지시적 there는 지시적 there와 구분되는데, 지시적...


참고 자료

The Teacher’s Grammar of English
저자: Cowan, Ron
출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발행: 2008.05.3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