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구골절 간호진단 성인간호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비구골절 개요
1.1. 정의 및 원인
1.2. 병태생리
1.3. 손상기전
1.4. 증상
1.5. 진단검사
1.6. 치료
1.7. 간호
1.8. 예방법
2. 대상자 정보
2.1. 일반정보
2.2. 건강 관련 정보
3. 증례 분석
3.1. 환자소개
3.2. 진단검사
3.3. 투약
3.4. 수술
3.5. 간호진단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비구골절 개요
1.1. 정의 및 원인
비구(acetabulum)란 관골구라고도 하며 관골 바깥면 중앙에 3개의 뼈가 서로 융합하여 오목하게 패인 곳을 말한다. 비구골절은 비교적 흔한 골절은 아니나 대부분이 교통사고와 추락사고 등 심한 외력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골반골 혹은 근위 대퇴골의 골절 및 주위 연부조직과 내부 장기 손상 등 광범위한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1.2. 병태생리
골절은 뼈의 연속성이 붕괴된 상태이며 움직임과 감각에 영향을 미친다. 골절은 모든 연령에서, 신체의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골절유형이나 발생 부위에 관계없이 모든 골절의 기본적인 병태생리적 기전과 환자중심의 협동적 간호관리는 비슷하다.
골절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손상의 정도에 따라 완전골절(complete fracture)과 불완전골절(incomplete fracture)로 분류된다. 연조직 손상 동반 여부에 따라 개방골절(open fracture)과 폐쇄골절(closed fracture)로 구분된다. 골절의 원인에 따라 병리적 골절(pathologic fracture), 피로골절(fatigue fracture), 압박골절(compression fracture)로 나눌 수 있다.
골절이 되면 몸은 즉시 손상 부위를 복구하고 신체의 평형을 회복하려는 치유과정이 시작되는데 이는 5단계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는 혈종형성 단계로 골절 부위에 출혈과 삼출물이 생기며, 이 혈종 내 혈액은 24시간 내에 응고되고 섬유소 그물망을 형성하여 모세혈관과 섬유아세포가 증식하는 기초 발판이 된다.
두 번째 단계는 세포증식 단계로 골절로 인해 형성된 혈종이 육아조직으로 대치된다. 세 번째 단계는 가골형성 단계로 신생 혈관성 조직이 골절 부위 주변을 둘러싸면서 가골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네 번째 단계는 골화 단계로 가골의 느슨한 섬유성 조직에 무기염류가 축적되면서 뼈로 전환된다. 마지막 다섯 번째 단계는 골 재형성 단계로 조혈세포와 파골세포 작용에 의해 재형성되고 물리적 요구를 충족할 수 있을 정도로 뼈가 경화된다.
1.3. 손상기전
비구골절의 손상기전은 대퇴 골두에 의한 비구의 관절면에 직접적인 충격을 받아 발생한다"이다. 이런 대퇴골두에 가해지는 힘은 대퇴 간부의 장축을 따라 대전자부와 대퇴경부를 통해 어느 방향으로든지 전해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외상을 받을 때 고관절의 위치에 따라 골절의 양상이 달라지게 된다.
비구골절은 대부분 교통사고와 추락사고 등 심한 외력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골반골 혹은 근위 대퇴골의 골절 및 주위 연부조직과 내부 장기 손상 등 광범위한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대퇴 골두에 의한 비구의 관절면에 직접적인 충격을 받아 발생하며, 이런 대퇴골두에 가해지는 힘은 대퇴 간부의 장축을 따라 전해져 고관절의 위치에 따라 골절의 양상이 달라진다.
1.4. 증상
비구골절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골절은 부위, 정도, 원인, 종류, 주변조직의 손상 정도에 따라 환자별로 다양한 증상과 징후를 나타낸다. 비구골절은 골절 부위의 동통과 부어오름·압통 등의 국소적인 증세가 나타난다. 심할 때에는 골반 및 다리가 변형되기도 하며 다량의 출혈과 골반강 내의 출혈이 함께 일어나 출혈성 쇼크 상태에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사망, 부정유합, 지속적인 요통이나 둔부통증, 외상성 관절염 등이 있다. 골반골...
참고 자료
박정숙 외, 성인간호학1, 현문사(2018), p803-p827
안희경 외, 인체해부학, 고문사(2019)
양선희 외,기본간호학1,현문사(2020)
양선희 외,기본간호학2,현문사(2020)
송경애 외,기본간호중재와 술기,수문사(2020)
최원식 외(1991), 비구골절의 임상적 고찰, <대한골절학회지>4(2)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https://www.health.kr/ 약학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