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 급성위장염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정의
2.2. 원인
2.3. 종류
2.4. 병태생리
2.5. 진단 및 검사
2.6. 임상증상
2.7. 치료 및 간호
3. 간호사정
3.1. 개인력
3.2. 건강력
3.3. 간호력
3.4. 진단검사
3.5. 약물 요법
3.6. Vital sign 및 식단
4. 간호과정의 적용
4.1. 간호진단
4.2. 간호과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여름철이 되면 더위로 인해 흔히 경험하게 되는 식중독과 더위를 해소하기 위한 물놀이로 인해 나쁜 분비물들이 눈으로 옮겨 눈이 출혈되는 현상이 발생하곤 한다. 이런 것들이 위장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위장염은 위에서부터 장전체에 증상을 일으키는 질병이므로 쉽게 나을 수 있는 질병이 아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쉽게 발병되는 질병이다. 급성 위장염으로 입원한 전OO 대상자를 간호 사례 대상자로 삼아 급성 위장염에 대해 공부하고 대상자의 빠른 회복을 위해 이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2.1. 정의
급성 위장염은 다양한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이 원인이 되어 위장계통에 생긴 염증으로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발열, 전신권태감 등을 가져오는 질환이다. 급성 위염, 장염이 동시에 일어나는 증세로, 각각 독립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대개의 경우 위염, 장염이 동시에 발병되면서 하나의 병상을 나타내므로 일괄해서 이르는 말이다."
2.2. 원인
급성 위장염의 원인은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며, 최근 들어 세균성, 바이러스성 원인이 규명되면서 감염성 위장염의 80% 이상에서 원인균이 확인되고 있다"" 특히 흔한 원인으로는 장독소성(비침습성) 병원체인 enterotoxigenic E. coli(ETEC)와 Rota virus 감염을 들 수 있다""
장독소성 병원체는 소장 내에서 세균이 증식하고 장독소를 생산하여 장 상피세포의 adenyl cyclase를 활성화하고 세포 내 cyclic AMP를 증가시켜 소장 전체에서 등장액이 분비되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이때 장점막에 대한 조직학적 손상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침습성 병원체는 장점막을 침범하고 원인체에 의해 파괴되는 것이 특징이며, 설사의 횟수는 잦지만 양이 적고 복통과 후증이 따른다"" 대변에서는 백혈구와 혈액이 나타나고 단백의 농도가 높다"" 이에 해당하는 병원체로는 Shigella, E.coli(rare), Campylbacter jejuni, Yersunua enterocolitica, Salmonella(non-typhoidal), Rota virus, Norwalk agents, Entamoeba histolytica 등이 있다""
또한 비침습성이면서 비장독소성 병원체로는 Giardia lamblia, E. coli 등이 있다""
2.3. 종류
1) 포도상구균 급성 위장염은 기온이 높고 습한 여름철에 잘 걸린다. 상한 어패류나 고기 가공품, 도시락 등을 먹고 나서 4시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난다. 갑자기 구역질을 하면서 먹은 음식을 토하고 물 같은 설사를 한다. 대부분 증상이 가벼워 반나절이나 하루 정도 지나면 괜찮아진다.
2) 보툴리누스균 급성 위장염은 보툴리누스균이 들어 있는 햄이나 통조림 따위를 먹고 나서 8~35시간 지난 후에 증상이 나타난다. 배가 몹시 아프고 구토와 설사를 한다. 근육이 마비되는 증상도 일어난다. 예전에는 사망률이 높은 병이었으나 최근에는 식품을 위생적으로 보관, 관리해 발생률이 많이 감소하고 있다.
3) 살모넬라균 급성 위장염은 가장 흔히 걸리는 급성 위장염으로 여름부터 초가을까지 많이 발생한다. 주로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달걀, 고기, 가공품 등을 먹고 나서 12~24시간 지난 후 증상이 나타난다. 발열, 구토, 설사를 하고 배가 몹시 아프다. 살모넬라균은 60도 이상의 고온에서 처리하면 살균되므로 음식을 충분히 익혀 먹으면 예방할 수 있다.
4) 병원성 대장균 급성 위장염은 설사를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 중 5종류가 있다. 주로 위생적으로 처리되지 않은 쇠고기나 유제품, 불결한 조리 기구 등을 통해 감염된다. 붉은 피가 섞인 변을 보고 배가 몹시 아프면서 설사를 하는 것이 주된 증상이다. 심하면 생명이 위험하기도 하므로 갓난아기나 어린아이, 노인들은 각별히 조심할 필요가 있다.
2.4. 병태생리
급성 위장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급성 위장염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과 같은 원인균이 음식이나 사람과 접촉하여 전염되면서 발생한다. 흔한 원인균으로는 대장균(E. coli), 로타 바이러스(Rota virus), 살모넬라, 이질균 등이 있다.
세균성 급성위장염의 경우 살모넬라균, 장염비브리오균 등이 장점막에 침입해 발생한다. 여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식중독이 원인이 되며, 전염성은 없지만 충분하지 못한 가열, 위생적이지 못한 조리기구, 재료의 신선함 정도에 따라 세균감염이 발생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복통, 발열, 혈변 등이 있다.
바이러스성 급성위장염의 경우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이 원인이 된다. 로타바이러스는 겨울철에 유행하며 5세미만의 영유아에게 발생하고, 분변-경구로 전염되며 일부는 호흡기 감염도 가능하다. 노로바이러스는 11월과 2월에 유행하며 저항성이 강...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황옥남 외 8명,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7년, p.410~P.412
코메디닷컴관리자, “로타바이러스감염증”, http://kormedi.com (2017년1월1일)
“급성 위장염”, http://www.amc.seoul.kr
대한약품공업주식회사, 정보, 대한멸균생리식염수10ml,
https://www.daihan.com/sub2/2_1_1_v.php?idx=380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의약품정보, 대한멸균생리식염pfs주[10ml],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X-DNS10
MSD, 의학 주제, 위장염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C%86%8C%ED%99%94-%EC%9E%A5%EC%95%A0/%EC%9C%84%EC%9E%A5%EC%97%BC/%EC%9C%84%EC%9E%A5%EC%97%BC
건강보험심사평가원, 10대에게 자주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 ②’위장염·결장염‘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03116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구역질과 구토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 9판, 수문사, 2021
약학정보원(https://www.health.kr/)
성미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2020, 정문각
연세대학교의료원세브란스, 세브란스 영양팀, 염증성장질환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식사법
4가지, https://www.instagram.com/p/CjClUvqhTA1/?igshid=MDJmNzVkMjY=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상권), 현문사, 2018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상권), 현문사, 2013
김정혜, 박혜숙, 병리학, 정담미디어, 2012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2012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5
KIMS ONLINE http://kimsonline.co.kr/
드럭인포 www.druginfo.co.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황옥남 외 8명,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7년, p.410~P.412
코메디닷컴관리자, “로타바이러스감염증”, http://kormedi.com (2017년1월1일)
“급성 위장염”, http://www.amc.seou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