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언어는 인간이 상호의사를 전달하는 기호체계이다. 언어기호는 무엇이든 간에 형태와 거기에 대응하는 의미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들의 연결 관계는 임의로 관계 지어졌다. 언어는 의사소통의 매개 수단에 따라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로 구분된다. 말하는 사람이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하여 음성적 기호를 매개 수단으로 사용한 경우 구어라 하고,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하여 문자라는 시각적 기호를 사용한 경우 문어라고 한다. 이러한 점에서 언어학 연구에서 구어와 문어의 개념과 차이, 그리고 구어와 문어의 의사소통적 차별성에 주목해 왔다. 본 논의에서는 이러한 측면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2. 구어와 문어의 개념과 차이
2.1. 구어의 특징
구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구어는 문어와 달리 어린 시기에 배우는 단순한 형태적, 통사적 구조를 사용하며, 구어 사용은 대화 참여자나 상황에 밀접하게 관련있다"". 그러나 모든 구어가 대화 참여자나 상황에 밀접하게 연결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이처럼 구어는 단일 회자에 의한 것인지, 둘 이상의 회자에 의한 것인지에 따라서 독백과 대화로 구분되는데, 독백은 계획된 것인지, 즉흥적인 것인지에 따라서 하위 구분하게 된다"".
또한 구어는 문법적으로 복잡한 구조가 사용되지 않으며 단순하고 짧은 형을 선택함에 있어서 발화되는데, 여기서 짧게 발화되다 보니 조사나 문장 성분, 구나 절 등 의 생략도 많고 기본 단위가 문장 이하의 짧은 형, 즉 어절이나 구로 끝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강조나 휴지 등을 삽입함에 있어서 어순이 문어에 비해서 더욱 자유로울 수 있으며, 구어체 어미나 조사가 사용되는 등 구어의 고유한 특성을 보인다고 한다"".
2.2. 문어의 특징
문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문어는 시각(視覺)에 의존하는 언어 표현 방식이므로, 문장의 첫자를 대문자로 하거나 고딕체, 이탤릭체 등의 특수한 활자체를 사용하는 등의 시각적 효과를 동원한다. 또한 띄어쓰기, 문장부호(구두점, 인용부호 등) 등 다양한 문자적 장치를 활용하여 의미를 전달한다. 이는 구어에서 억양, 몸짓 등의 비언어적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문어는 구어와 달리 문자라는 영구적이고 보존성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