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경해석 방법으로 본 다니엘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니엘서 연구
1.1. 다니엘서 11장의 역사적 정황
1.1.1. 정치적 배경
1.1.2. 사회적 배경
1.1.3. 종교적 배경
1.2. 다니엘 인물과 다니엘서 구조
1.2.1. 다니엘 인물
1.2.2. 다니엘서의 구조
1.2.3. 다니엘서의 내용
1.3. 다니엘서의 메시지
2. 묵시문학에 관한 고찰
2.1. 묵시문학의 기본구조
2.2. 묵시문학의 저작물
2.3. 묵시문학의 기원
2.4. 묵시문학의 특징
3. 선지서 해석
3.1. 예언의 성격
3.2. 선지 사상의 발달
3.3. 선지 전승
3.4. 예언에 관한 시각
3.4.1. 문화적 배경
3.4.2. 문학적 시각
3.4.3. 신학
3.4.4. 역사
3.4.5. 해석학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니엘서 연구
1.1. 다니엘서 11장의 역사적 정황
1.1.1. 정치적 배경
주전 333년 역사적인 잇수스(Issus) 전투에서 알렉산더 대왕은 다리오 3세가 이끄는 페르시아 제국의 군대를 무찔러 승리하여 팔레스틴 지역에서의 페르시아 지배 시기는 끝나고 헬라 지배시대로 넘어가게 된다. 그 후 알렉산더는 계속 정복 전쟁을 감행하여 시리아 지역, 이집트지역을 거쳐 주전 332년에는 인도까지 점령하여 거대한 제국을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알렉산더가 주전 323년 젊은 나이로 요절하자 그의 부하들 사이에 패권 다툼이 일어나 그가 일으켜 놓은 거대한 제국은 네 지역으로 분할 통치되게 되었다. 먼저 마게도니아 지역은 안티고너스(Antigonid) 왕조가 이집트 지역은 프톨레미(Ptolemy)완조가 시리아 지역은 셀루시드(Seleucid) 왕조, 그리고 나머지 지역은 리시마커스(Lysima-chus) 왕조가 각각 지배하게 되었다. 이 때 팔레스틴 지역은 프톨레미 왕조와 셀류시드 왕조의 접경지대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이스라엘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거대한 세력의 판도 변화에 의해 그 지배 왕조가 바뀌게 되었다.
1.1.2. 사회적 배경
유대 사회는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 이후 셀류시드 왕조와 프톨레미 왕조의 지배 아래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유대인들은 이방 세력의 지배에 처해 있었고, 헬레니즘의 세력이 점점 더 강해짐에 따라 그들의 정체성이 위협받게 되었다.
주전 202년 프톨레미 왕조가 셀류시드 왕조에 패배하면서 팔레스틴 지역이 셀류시드 왕조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셀류시드 왕조의 안티오쿠스 3세는 유대인들에게 관대한 정책을 펼쳐 그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안티오쿠스 3세의 아들인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는 강압적인 방식으로 유대인들의 전통과 정체성을 말살하고자 하였다.
안티오쿠스 4세는 헬레니즘화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였는데, 이는 유대인들의 전통적인 관습과 신앙생활을 말살하려는 것이었다. 그는 성전을 제우스 신전으로 바꾸고 돼지고기 제물을 바치게 하였으며, 율법 준수와 할례를 금지하였다. 이에 대한 유대인들의 저항이 점점 거세졌고, 결국 마카비 혁명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당시 유대 사회는 외세의 지배 아래에서 전통과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특히 안티오쿠스 4세의 강압적인 정책은 유대인 사회에 큰 위기감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묵시문학인 다니엘서의 배경이 되었다.
1.1.3. 종교적 배경
유대인들은 시리아의 왕 안티오쿠스 3세(대왕, 223-187 B.C.)를 도와 이집트의 수비대를 팔레스타인에서 몰아내었다. 이에 대한 보답으로 시리아의 왕은 유대인의 장로들과, 제사장들과 그리고 레위 족속에게 관대한 세금 면제를 허락하였을 뿐만아니라, 희생제사와 선전건축을 위하여 많은 기부를 했다. 그는 특히 유대인들에게 자기 조상들의 율법에 따라 살도록 허락하여 주었다.
그러나 안티오쿠스 4세가 등장하면서부터는 모든 상황이 변하였다. 로마에 볼모로 잡혀있다 돌아온 안티오쿠스 4세는 전쟁 배상금을 물기에 골몰했던 그의 형이 암살된 뒤 왕위에 올라 왕권을 돈독히 하고 이집트를 침공하는 등 세력 확장을 꽤했는데 경건한 유대인들에게는 매우 복잡한 시대가 되었다.
안티오쿠스 4세는 강압적인 방법으로 헬레니즘을 점령지 사람들에게 강요하였다. 그는 그 자신을 에피파네스라 부르게 하며 그 자신을 올림푸스 산의 제우스로 숭상하게 하였다. 또한 그는 정치적인 위신을 세우기 위해서 팔레스틴 지역을 완전히 자신에게 예속시키려 하였다.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는 팔레스틴 예속 정책의 출발을 헬레니즘화에서 시작하였다. 그는 우선 진보적이고 헬레니즘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던 대제사장 오니아스 3세의 동생 야손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여 예루살렘의 성전 성곽 아래에 첵육학교와 청년 훈련소를 세우게 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야웨 신앙에 불타는 사람들이 신앙의 자유와 유대교의 보존을 위해 일으킨 운동이 바로 마카비 혁명이다. 그러므로 다니엘서는 주전 2세기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지키기 위해 고난 당하고 있는 그들의 공동체들에게 쓰여진 책이라 할 수 있다.
1.2. 다니엘 인물과 다니엘서 구조
1.2.1. 다니엘 인물
다니엘 인물은 여러 외경과 위경 등의 문학작품에서도 그 이름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매우 복잡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니엘 A에서 주인공 다니엘은 다른 나라의 궁중에서 활약한 현인이지만 다니엘 B에서는 환상을 보는 사람이다"" 전자는 다니엘과 그의 동료에 관한 6개의 단화로 구성되었고, 후자는 다니엘의 환상적인 경험을 제 1인칭으로 서술하고 있다""
저자가 다니엘의 기원에 대해 침묵하는 것은 아마 어떤 의도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다니엘이 노아와 욥과 더불어 고대 성인이었다는 에스겔 14장 14절, 18장 3절의 증언대로 전설적인 성격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예언자의 권위가 하나님과의 초월적인 대화 그리고 왕성한 활동이라는 두 가지 축에 달여 있듯이 다니엘은 "신들의 영"과 "명철과 총명과 탁월한 지혜"(단 5:14)를 가지고 있었다고 말 할 수 있다""
또한 다니엘은 금욕주의적이고(1장), 율법을 잘 지키며(1, 6장), 경건한 사람이다(4, 9장). 한마디로 다니엘은 하시딤이었다""
1.2.2. 다니엘서의 구조
다니엘서의 구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다니엘 1-6장에는 다니엘과 그의 세 친구들의 행적이 3인칭으로 기록되어 있고, 다니엘 7-12장에는 다니엘의 꿈과 환상이 1인칭으로 서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다니엘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1. 다니엘과 세 친구의 행적(단 1-6장)
- 왕의 진미와 포도주를 거절함(1장)
-...
참고 자료
노만 포르퇴우스. 국제성서주석.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89.
앙드레 라콕. 다니엘과 그 시대.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1.
베르네 푀르스터. 신구약 중간사 서울 : 컨콜디아 사, 1986.
보라이케. 신약성서 시대사. 서울 : 한국신학 연구소, 1988.
B. S. 차일즈. 구약정경 개론. 서울 : 대한기독교 출판사, 1987.
B. W. 앤더슨. 구약성서 이해.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4.
D. S. 러셀. 신구약 중간시대. 서울 : 컨콜디아 사, 1986.
J. 브라이트. 이스라엘 역사.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노만 K. 갓월드. 히브리 성서 2.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87.
박준서. “제 8강 묵시운동”. 새롭게 열리는 구약성서의 세계(1998).
오택현, 김호경. 알기쉬운 성서 묵시문학 연구. 서울 : 크리스천 헤럴드, 1999.
왕대일. 묵시문학연구.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4.
조영식. “묵시문학의 이해와 다니엘서 연구”.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석사학위 논문(1995).
고든 디. 피,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성서유니온(1994)
김지찬, 언어의 직공이 되라, 생명의 말씀사(2001)
루이스 벌코프, 성경 해석학, 크리스챤 다이제스트(2008)
반 게메렌, 예언서 연구, 엠마오 출판사(1999)
윌리엄 클라인 외2, 성경 해석학 총론, 생명의 말씀사(2001)
J. 스코트 듀발 J. 다니엘 헤이즈, 성경해석(Grasping God’s Word), 성서유니온선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