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야기치료의 기본원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가족상담 및 치료 이론
2.1. 구조적 가족치료
2.1.1. 기본 원리
2.1.2. 치료 목표
2.1.3. 개입 기법
2.2. 전략적 가족치료
2.2.1. 기본 원리
2.2.2. 치료 목표
2.2.3. 개입 기법
2.3. 경험적 가족치료
2.3.1. 기본 원리
2.3.2. 치료 목표
2.3.3. 개입 기법
2.4. 해결중심 가족치료
2.4.1. 기본 원리
2.4.2. 치료 목표
2.4.3. 개입 기법
2.5. 이야기치료
2.5.1. 기본 원리
2.5.2. 치료 목표
2.5.3. 개입 기법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사회에 들어서며 많은 것들이 발전하고 변화해가고 있다. 기술의 발전뿐만 아니라 사회의 발전도 함께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사회의 기초가 되는 가족 또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가족의 변화는 기술 발달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보다는 갈등과 분열이라는 부정적인 측면과 더욱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가부장적인 사회의 모습을 갖추고 있었다. 하지만 사회가 변하고 과거와 비교해 봤을 때 여성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고 여성의 지위도 높아져 가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사회 분위기는 여성들을 둘러싼 삶의 변화와 전혀 발을 맞춰 가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는 가족 구성원 내 개인적인 문제를 넘어서 점차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2. 가족상담 및 치료 이론
2.1. 구조적 가족치료
2.1.1. 기본 원리
구조적 가족치료의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상황은 개인의 정신생활에 영향을 미치며 개인 또한 사회적 상황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은 사회체계의 일원이며 자신의 행동이 체계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다른 구성원에게 긴장을 주기도 한다. 즉, 개인과 사회는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것이다.
둘째, 가족의 구조 변화를 통해 가족 구성원의 정신적 행동과 과정을 변화시킬 수 있다. 가족의 구조 자체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치료자가 가족의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가족 구성원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셋째, 치료자가 환자와 가족과 일할 때 치료자의 행동 또한 사회적 상황의 일부가 된다. 즉, 치료자의 행동이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이처럼 구조적 가족치료의 기본 원리는 개인과 사회, 가족의 구조와 구성원, 그리고 치료자의 역할이 상호작용하며 가족 체계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2.1.2. 치료 목표
구조적 가족치료의 치료 목표는 가족의 구성이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치료자가 가족의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가족 구성원이 변화를 경험하고 치료적 효과를 거두는 것이 핵심이다. 즉, 사회적 상황이 개인의 정신의 내적 과정에 영향을 끼치며 환경의 변화는 개인의 변화를 끌어내고 치료자의 행동이 이러한 변화에 중요하다는 세 가지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치료자는 가족체계에 개입하여 가족 스스로 문제를 찾게 하고 문제를 재구성하게 하여 가족을 변화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기술을 가지고 현재를 수정하는 것을 치료 도구로 삼게 된다. 이를 통해 가족구조의 변화가 가족 구성원의 경험과 위치에 변화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2.1.3. 개입 기법
구조적 가족치료에서 사용되는 주요 개입 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연(enactment)이다. 실연은 치료 상황에서 가족들의 상호작용 행동을 실제로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상호교류 유형을 직접 관찰할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갈등을 해소하고 서로 지지하거나 동맹을 형성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가족원들의 앉는 위치를 변경하여 다시 앉아보게 함으로써 그들의 심리적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둘째, 경계선 만들기이다. 가족이 건강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가족 전체 체계로서의 통합성과 각 부분의 자율성이 보호되어야 한다. 경계가 지나치게 밀착된 경우에는 개인의 개별성을, 경계가 경직된 경우에는 가족의 지지와 통제 능력을 강화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긴장을 고조시키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상호교류 유형을 차단시키거나, 가족성원 간 의견 차이를 강조하여 은폐된 갈등을 표면화시키거나, 가족의 한 구성원이나 하위체계와 제휴하여 긴장을 증대시키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넷째, 과제 부여이다. 가족이 자연스럽게 발전될 수 없는 행동을 실연해보도록 하거나, 가족이 실천해야 할 분야를 개발시키기 위해 과제를 부여한다.
다섯째, 증상 활용이다. 개인의 증상이 상황적 문제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고, 역기능적인 가족을 가장 빨리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현재 환자의 증상을 다루는 것이다.
여섯째, 분위기 조작이다. 가족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반응을 하여야 하는데, 통제에 관심있는 가족을 치료할 때는 편안하고 수용하는 분위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배적인 분위기에 대해 새로운 명칭을 붙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일곱째, 지지, 교육, 안내이다. 일반적으로 합류하는데 사용되지만 재구조화 기능을 하며, 가족이 상호 순응하는 방법, 부모가 자녀에게 반응하는 방법, 가족 성원들이 외부 세계에 적응하는 방법 등을 가르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개입 기법들을 통해 구조적 가족치료자는 가족 체계의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노력한다.
...
참고 자료
박미영,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공주대학교교육대학원, 2021,
https://www.riss.kr/link?id=T15802832
오지은, 『이야기치료의 외재화가 부적응 청소년의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사회교육대학원, 2016, https://www.riss.kr/link?id=T14172994
고미영. “이야기 치료와 가족치료.” 기독교 상담심리치료학회, 2002. 3. 26, 1-17.
김유숙.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2002.
박진형, “부적응청소년의 행동 및 가족치료적 접근”, 호남신학대, 2010
박태영. 2001. 가족치료이론의 적용과 실천. 서울 : 학지사.
송정아외. 1997.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강원도 : 도서출판 하우, p231-232.7)
신정아, “위기가족 청소년의 목회적 돌봄에 관한 연구”, 호서신학대, 2002
양유성. 「이야기치료」. 서울: 학지사, 2004.
이영분외, “가족치료모델과 사례”, 학지사, 2008
최연실, 기쁘다, 성미애(2020). 가족상담 및 치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이효경. "알코올중독자 가정에 나타난 가족희생양에 대한 구조적가족치료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5.
신혜섭. "구조적 가족치료와 전략적 가족치료의 통합적 접근." 생활과학연구 8.- (2003): 94-102.
이현준. "알코올중독에 대한 V. Satir 경험적 가족치료의 사례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006.
이진광.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적용에 관한 연구 : 보웬의 가족투사과정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2016.
이현진. "이야기 치료에서의 마이클 화이트의 사상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동서대학교 선교복지대학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