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퇴계이황 시대적배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퇴계 이황의 선비정신과 교육사상
1.1. 퇴계 이황의 선비정신
1.1.1. 선비란 무엇인가
1.1.2. 퇴계 이황의 선비정신
1.2.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1.2.1. 교육목적
1.2.2. 교육내용
1.2.3. 교육방법론
1.3. 퇴계 이황의 선비정신과 교육사상의 연관성
2. 퇴계 이황의 생애와 학문
2.1. 퇴계이황의 생애
2.2. 퇴계이황의 학문
3.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3.1. 도산서당과 문하생
3.2. 교육 방법과 특징
4. 퇴계 이황의 위상
4.1. 학자로서의 평가
4.2. 교육자로서의 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퇴계 이황의 선비정신과 교육사상
1.1. 퇴계 이황의 선비정신
1.1.1. 선비란 무엇인가
우리말 명사인 '선비'는 『유교대사전(儒敎大事典)』에 의하면 '상고시대'부터 우리나라에서 고신도를 배경으로 내려온 문무를 겸비한 이상적 인간상으로 관제화 된 이후에 관직명으로 사용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일반적 학자의 통칭이었다'라고 풀이되어 있다. 그리고 신채호의 말을 인용하여 '선비'는 '선인(仙人)'으로, '선(仙)'은 음을 '인(人)'은 뜻을 빌어 이두로 표기한 것이라고 하였다. 즉, 선비는 단군 조선에서 유래하였으며 고구려의 선비제도와 이를 모방한 신라 진흥왕 때의 국선 화랑 등으로 이어졌고, 고려에 들어와서도 선비도나 화랑도는 끊이지 않았으나 조선시대에는 '선비'가 유생의 진청으로 변용되었으며 '선비'는 우리의 무사도이며 우리 민족의 정신이고, 교육 사상과 유교를 연결하는 가교라고 하였다. 그런데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선비'라는 명칭의 쓰임이 조금씩 또는 크게 변화되어 쓰였다 하더라도 그 내용과 의미 면에 있어서는 선대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아 당대의 선비문화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1.1.2. 퇴계 이황의 선비정신
퇴계 이황의 선비정신은 조선시대 선비들의 기풍을 확립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퇴계는 선비를 "예의의 표상이 되고, 원기가 붙어 있는 곳"이라 하여 매우 중요시하였다. 그러나 퇴계가 활동하던 시기는 계속된 사화로 인해 사풍이 무너지고 세도가 인멸되는 시기였기에 도를 실천하는 선비가 적음을 걱정하였다.
퇴계는 선비들의 입지가 약해진 이유가 "입지가 없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는 선비들의 신념과 뜻이 나약하다고 지적하며, 선비들이 힘써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입지를 확립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는 공자와 맹자가 선비정신에서 가장 중요시하였던 내용이기도 하였다. 맹자가 말한 "선비는 뜻을 숭상한다"는 말처럼 선비는 시대의 성쇠에 관계되는 것을 숭상해야 하므로, 퇴계는 이를 간과할 수 없다고 하였다.
특히 퇴계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선비로서의 지위를 포기하는 선비들을 우려하였다. 그는 "옛날의 선비를 보면 궁핍함이 심할수록 그 뜻이 더욱 굳세고, 그 절의가 더욱 뛰어난다. 만약 한 때의 빈곤으로 인하여 갑자기 그 지킴을 버린다면 선비라고 일컬을 수가 없다"고 하며, 선비의 입지 확립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퇴계는 교육을 통해 잃어버린 사풍을 진작시키고자 하였다. 그는 "유생들은 반드시 각각 예복을 갖추어 일제히 나와서 읍을 행하며 글을 읽어서 가르침을 청하고, 일용 음식에 있어서도 예의 속에 주선하지 않음이 없어서 오직 힘써 서로 경계하고, 격려하여 묵은 습관을 깨끗이 씻어 버려야 한다"고 하며, 선비의 기풍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퇴계의 선비정신은 도덕과 절의를 숭상하는 선비상을 지향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교육을 통해 입지를 확립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퇴계는 선비의 진정한 정신을 탐구하고, 훌륭한 선비를 길러내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는 퇴계의 교육사상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1.2.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1.2.1. 교육목적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에서 교육목적은 윤리적 목적과 성현자성적(聖賢自成的) 목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윤리적 목적에 따르면, 퇴계는 유학 교육의 일차적 목적을 "명륜"에 둔다. 맹자가 "상서학교를 세워서 가르침은 다 인륜을 밝히는 바"라고 한 것처럼, 퇴계도 도산서당을 열고 교육하는 일차적 목적이 윤리적 인간 육성에 있었다. 그는 "가르침의 근본이 명륜이요, 박학·심문·신사·명변은 궁리의 요목이다"라고 하여 윤리와 도덕성 함양을 교육의 근본으로 보았다. 또한 『중용』에 근거하여 "하늘이 명한 것을 성이라 일컫고, 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이르고, 도를 닦게 하는 것을 가르침이라 이른다"고 하여 교육의 목적을 천성을 따르는 수양에 두었다. 이는 곧 윤리적 인간 육성을 교육의 일차적 목적으로 삼았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성현자성적 목적에서는 퇴계가 교육을 통해 군자나 성현으로 육성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대학』의 삼강령을 인용하여 "명덕을 체(體)로, 신민을 용(用)으로, 지어지선을 목표로" 삼았다. 이는 개인의 인격 완성과 더불어 만인의 지도자로서의 품성을 갖추기 위한 교육이 목적임을 보여준다. 즉, 교육을 통해 개인의 도덕성 함양과 더불어 성현과 같은 이상적 인간상을 지향했던 것이다.
이처럼 퇴계의 교육사상에서는 윤리적 목적과 성현자성적 목적이 교육 목표로 제시되었으며, 이는 유학의 이상적 인간상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1.2.2. 교육내용
퇴계 이황의 교육내용은 크게 『소학』과 『대학』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소학』은 아동교육을 담당하며 일상의 예의범절을 익히고 이를 실생활에서 행하도록 하는 생활교육, 도덕교육, 기초적인 지식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퇴계는 소학교육에서 도덕성 연마가 우선이어서 도덕의 내면화와 가치화가 철저히 이루어지도록 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
참고 자료
이성애,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과 존 웨슬리의 교육사상 비교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임영태, 퇴계 선비정신의 도덕 교육적 함의,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조화태/박종배, 교육사, 서울: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도산서원 홈페이지, http://www.dosanseowon.com/
영남퇴계학연구원, 국제퇴계학회 http://www.toegye.ne.kr
성기옥, 「<도산십이곡>의 구조와 의미」,『한국시가연구』11집, 한국시가학회, 2002. 최진원, 「<도산십이곡>과 敬」,『한국고전시가의 형상성』,대동문화연구원, 1996
김용찬, 「위백규<농가>의 구조와 작품세계」,『어문논집』제48집, 민족어문학회, 2003
김석희, 「조선후기 시가 연구」, 월인, 2003, 357-358
신영명, 「사대부 시가의 연구」, 국학자료원, 1996, 124
전재강, 「사대부 시조 작품론」, 새문사, 2006, 101-117
정흥모, 「조선후기 사대부 시조의 세계인식」, 월인, 2001, 269-270
안혜진, 「위백규 <농가구장>의 권농가적 특성과 그 의의」, 한국시가학회, 2006
황병익, 「<도산십이곡>의 의미 재고」, 한국고시가문학회,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