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왜 9/11처럼 종교적 대의를 위해 행하는 “이타주의적 악”이 증가하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국제질서와 테러리즘
2.1. 국제질서
2.2. 테러리즘의 개념 및 특징
3. 9.11 테러사건
3.1. 사건 개요
3.2. 원인 분석
3.3. 미국에 대한 인식 변화
4. 북한과 미국, 남북한의 관계
5. 미국 테러사태에 대한 북한의 반응
6. 국제 정세의 변화
7. 결론 - 우리의 자세
8. 악마주의의 의미
8.1. Anton LaVey와 사탄의 교회
8.2. Aleister Crowley와 텔레마
8.3. 노르웨이 블랙메탈 운동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북한은 여전히 미국에 의해 '테러지원국가'로 묶여있고, 대량살상무기 확산 주범으로 묘사되어 왔다. 남한 역시 미국의 안보우산에 놓여있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원활하게 진척시키기 위해서는 부시 행정부와의 정책 공조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한반도는 어떠한 형태이든 이번 테러 사건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었다.
테러 사건 이후 남한 정부는 국가안전보장희외(NSC)를 열고 테러를 강력히 규탄하는 것과 동시에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4강 및 북한에게 한반도에서의 평화유지를 위한 협력을 요청한 것은 테러사건이 한반도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을 경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북한 역시 9.11 미국 테러당시 조성중앙통신을 통해 이번 세계무역센터 및 미 국방부 펜타곤 테러사건이 "매우 유감스럽게도 비극적인 사건"이며 "북한은 유엔 회원국으로서 모든 형태의 테러, 그리고 테러에 대한 어떠한 지원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희망하는 북한으로서는 이번 사태의 불똥이 자신들에게 튀는 것에 대한 우회적 입장으로 표명하며 테러사건에 대한 긴장감이 한반도을 덥칠 것을 의심치 아니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오늘날에 있어 테러라는 개념은 국지적인 개념을 벗어나 어떠한 형태로든 각 세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위협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탈냉전으로 인하여 더 이상의 위협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되었던 미국의 입장에서 이번 사건은 결코 간과히 넘어갈 수 없는 문제이며 슈퍼강대국인 미국의 우호국들이 각 국은 불가피하게 미국에게 손을 들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국방의 의무를 지켜야 하는 우리 군의 입장에서는 정확한 통찰력과 판단력으로 세계의 정세를 간파하여 대처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2. 국제질서와 테러리즘
2.1. 국제질서
국제질서는 무질서와 반대되는 의미로 규범적이며 이념적인 의미를 포함한다. 그러나 어떤 그룹에 대한 질서와 평화는 다른 그룹에서는 다르게 인식될 수 있다. 전쟁을 피할 수 있는 평화공존이 최소한의 조건이라면, 모든 국가들이 함께 잘 사는 더 큰 개념의 질서를 말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의견의 차이가 있지만 평화를 유지하고 발전하는 것이 어떠한 형태의 국제질서이든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2.2. 테러리즘의 개념 및 특징
테러리즘의 개념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테러리즘이란 정치적, 종교적, 이념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계획적이고 조직적으로 불법적인 폭력이나 위협을 사용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심리적 공포심을 주는 행위를 말한다. 테러리즘은 역사적으로 매우 오래된 개념이나 국제법상 합의된 정의가 존재하지 않는다.
과거 테러리즘은 주로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해 행해졌으나, 탈냉전 이후에는 민족, 종교, 사회적 문제 등 다양한 이슈로 인해 다양한 형태로 변모하였다. 최근 테러리즘의 특징은 무차별적인 대규모 민간인 공격이라는 점이다. 또한 세계화와 정보화의 진전에 따라 테러 조직의 상호 협력과 자금 및 무기 지원 등이 국제화되고 있다. 특히 사이버 공격과 대량살상무기 사용 위협 등 새로운 양태로도 전개되고 있다.
한편 일부 국가는 자국민 해방운동을 테러리즘으로 규정하기도 하지만, 테러리즘은 일반적으로 무고한 인명 살상과 재산 파괴, 그리고 이를 통한 공포 확산이라는 점에서 정치범죄와 구분된다. 다만 강대국의 경우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반하는 행위는 테러리즘으로 규정하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도 있다.
종합하면, 테러리즘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유동적인 개념이지만, 불특정 다수에 대한 폭력적 공격을 통해 정치적, 종교적, 이념적 목적을 달성하려 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3. 9.11 테러사건
11 테러사건은 2001년 9월 11일 미국 내 심장부에 해당하는 뉴욕과 워싱턴 D.C.가 테러의 표적이 된 사건이었다. 4대의 민간 항공기가 테러리스트들에 의해 납치되어 세계무역센터 쌍둥이 빌딩과 펜타곤 건물을 공격하였고, 이로 인해 약 3,0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는 진주만 공습 이후 최대 규모의 인명 피해를 동반한 미국에 대한 테러 공격이었다.
이 사건의 배후 세력으로 지목된 알 카에다와 그 조직의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은 친미 정책을 펼치던 미국의 중동 정책, 특히 이스라엘에 대한 지원과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미국의 편향된 태도에 반발하여 이번 사건을 기획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미국의 일방주의적 행태와 세계화 정책에 대한 불만도 배경에 깔려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 테러 사건을 계기로 미국 본토에 대한 안전 불감증이 깨졌고, 이슬람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 높아졌다. 더불어 미국에 대한 반감이 크게 확산되어 세계적으로 반미 여론이 고조되었다. 이는 단순한 테러 사건을 넘어 국제 질서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고하는 역사적 사건이었다고 평가된다."
3.1. 사건 개요
2001년 9월 11일, 오전 8시 45분 세계무역센터 북쪽 건물 상층부에 아메리칸 항공 제 11편 비행기가 충돌하였다. 이어 오전 9시 03분 세계무역센터 남쪽 건물에 유나이티드 항공 제 175편 비행기가 충돌하였다. 오전 9시 40분에는 국방부 건물에 아메리칸 항공 제 77편 비행기가 충돌하였고, 오전 9시 45분에는 세계무역센터 제 2호 건물인 남쪽 빌딩이 무...
참고 자료
당대비평·평화네트워크,『전쟁과 평화, 21세기를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서울: 도서출판 삼인, 2001.
정항석, 왜 21세기 화두는 미국과 테러인가』, 서울: 평민사, 2002.
이리유카바 최,『9·11 위대한 기만』, 서울: 문예춘추, 2002.
Chomsky, Noam, Chomsky, 9-11, Seven Stories Press, 2001.
Pirates and Emperors, Old and New: International Terrorism in the Real World, South End Press, 2003.
Power and Terror:Post 9.11 Talks and Interviews, Seven Stories Press, 2003.
Rogue States:The Rule of Force in World Affairs. South End Press 2000.
김성한. 『미국의 이라크 안정화 정책: 평가와 전망』외교안보연구원. 2006.
김태우. 『미, 공세적 전략으로 Pax Americana 추구』통일한국. 2002
구춘권. 『미국의 일방주의와 이라크전쟁』이라크 전쟁 이후의 세계와 한반도.
Francis Fukuyama 『9.11 테러사태 이후의 세계질서』세계경제연구회와 장은공익재단이 공동 개최한 특별강연회 내용 번역․정리. 2002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이라크 총선 실시와 향후 전망』2005.
김태효 『미국의 이라크 개입외교: 도전요인과 전망』외교안보연구원 2003.
김성한 『「테러사태」이후 美國의 對테러 및 對外政策 展望』 2001.
김성주 『이라크 파병과 한∙미 군사관계』
연합뉴스 2004년 02월 13일 <한국군 이라크 파병관련 주요일지>
The New York Times. 2003. 04.06
한겨례 기획연재, 갈림길에 선 이라크 2006. 미국테러대참사 2001.
김태효. 『이라크전 이후 세계 반미주의의 동향과 전망; 유럽, 중동, 아시아.』 외교안보연구원. 2004
박광희. 『21세기의 세계질서(변혁시대의 적응논리) 』오름. 2003
한남수, 『21세기 국제테러리즘 추이와 대응판이체제 변화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