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밭대 건물에너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10.09
14,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한밭대 건물에너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도서관 계획 및 설계
1.1. 도서관의 법적 정의와 역할
1.2. 한밭대학교 도서관 개요
1.3. 도서관 계획 및 설계 프로세스
1.4. 도서관 환경 기준 및 요구사항

2. 도서관 열원기기 및 시스템
2.1. 도서관에 사용되는 열원기기
2.2. 도서관 열원기기 선정 고려사항
2.3. 신재생에너지 이용기술

3. 도서관 환기시스템
3.1. 환기의 목적 및 중요성
3.2. 실내 환경 기준
3.3. 환기 방식 및 설계 기준
3.4. 도서관 적용 환기 시스템

4. 생태건축 및 친환경 건축
4.1. 생태건축과 소생태계 개념
4.2. 생태건축 구성요소 및 사례
4.3. 바이오스피어 프로젝트
4.4. 국내외 생태건축 사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도서관 계획 및 설계
1.1. 도서관의 법적 정의와 역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개정한 도서관법에 따르면 도서관이란 '도서관자료를 수집ㆍ정리ㆍ분석ㆍ보존하여 공중에게 제공함으로써 정보이용ㆍ조사ㆍ연구ㆍ학습ㆍ교양ㆍ평생교육 등에 이바지하는 시설을 말한다'고 정의되어있다. 또한 대학도서관이란 '교수와 학생, 직원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을 말한다'라고 나타나있다.

도서관은 문헌자료의 면에서 학생의 학습과 교양의 장소가 되는 동시에 교원들의 연구 조사에 대한 활동장소로 된다. 따라서 고도의 교양 도서관의 성격과 동시에 전문도서관의 성격이 함께 갖추어져야한다.


1.2. 한밭대학교 도서관 개요

한밭대학교 도서관은 1963년에 대전공업전문대학교 도서관으로 발족되었으며, 1998년에 이르러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유성캠퍼스 신축도서관이 개관되었다. 이는 지하1층과 지상6층의 규모로 연건평 13,559 m2의 면적, 1500여석의 열람석과 50만권의 일반도서, 36000여점의 비도서 자료 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2015년 8월부터 웹기반 학술정보시스템의 오픈 및 모바일 서비스의 개시를 통해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정보화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술정보센터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공기조화설비적인 측면으로 보았을 때의 한밭대학교 도서관은 1998년, 초창기에는 보일러와 전기냉동기(터보냉동기)를 이용하여 냉난방을 하였으며, 그 후 보일러와 흡수식냉동기의 조합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리고 현재까지도 한밭대학교 도서관은 관류보일러에서부터 공급되는 스팀난방과 흡수식냉동기를 통한 냉수냉방을 통해 공기조화를 실시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 들어서야 부분적으로 전기식히트펌프(EHP)를 설치하여 공조를 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무래도 약 19년전에 지어진 건축물이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열원공급방식과 공조방식시스템은 적용되지 않고 있다. 만약 한밭대학교 도서관이 2017년인 현재 신축되었다면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에 따라 21%의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의무화하였어야 했을 것이다.


1.3. 도서관 계획 및 설계 프로세스

도서관 계획 및 설계 프로세스는 구상, 기본계획,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구상 단계에서는 건축설계자의 주도하에 건축주, 건축설계자와 협의하여 공기조화의 필요성, 수준, 열원방식, 적용계획, 장래계획 등을 검토한다. 기본계획 단계에서는 건축설계에서 계획한 구조, 규모, 용도에 따른 공간을 검토하며 법규, 설계용 자료수집, 에너지 유효 이용계획, 에너지 절약 대책, 공조방식을 검토하여 시스템의 수준을 정한다. 기본설계 단계에서는 기본계획에서 검토된 내용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제안을 하는데, 개략 부하계산에 의한 주요기기 산출, 기계실 면적 파악, 덕트·배관계획 등을 수립하고 건축측과 개선, 개략예산산출과 전체예산과의 적합성 등을 검토한다. 실시설계 단계에서는 기본설계까지 검토된 내용에 대하여 상세한 검토를 통하여 확정하고 이를 도면, 시방서, 계산서, 예산서 등으로 작성한다. 이와 같은 공조계획의 단계별 작업내용을 통해 도서관 계획 및 설계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1.4. 도서관 환경 기준 및 요구사항

도서관의 환경기준 및 요구사항은 도서관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첫째, 도서관은 문헌 자료의 수집, 정리, 분석, 보존 및 이용자에 대한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므로, 자료보존을 위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도서 및 자료의 보존을 위해서는 온도 18~22℃, 상대습도 50~6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도서관은 다양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간이므로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실내 소음 레벨은 50dB 이하를 유지하도록 하며, 실내 조도는 자료 열람 및 연구 활동에 적합한 수준인 300~500lux를 확보해야 한다. 또한 실내 공기질 유지를 위해 적정 수준의 환기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도서관 시설물의 안전성 확보가 필요하다. 도서관은 화재 및 지진, 홍수 등의 재해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비상구, 비상계단, 소방시설 등의 설치가 필수적이며, 정기적인 안전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장애인의 이용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배려가 필요하다. 장애인의 접근성을 고려한 출입구 및 통로 확보, 점자 안내, 승강기 등의 설치가 요구된다.

다섯째,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도 도서관 환경 기준이 중요하다. 자연채광 및 자연환기 시스템의 활용, 고효율 설비기기 도입, 신재생에너지 활용 등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이처럼 도서관의 환경 기준 및 요구사항은 자료 보존, 이용자 편의성, 안전성, 에너지 효율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도서관의 본래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2. 도서관 열원기기 및 시스템
2.1. 도서관에 사용되는 열원기기

도서관에 사용되는 열원기기는 관류형보일러, 2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일반공조기(AHU), 팬코일유닛(FCU), 전기식 히트펌프(EHP) 등이 있다"

관류형보일러는 화염, 연소가스, 기타 고온가스를 이용하여 밀폐된 용기 안에서 물을 가열하여 높은 온도와 압력의 물 또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도서관 지하에 위치한 기계실에는 보일러가 없으며, 한밭대학교 캠퍼스에 위치한 파워플랜트에 관류형보일러가 있다. 도서관에서는 파워플랜트의 관류형보일러에서 나오는 스팀을 열교환기를 통해...


참고 자료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1108호) (2015.12.31)
RERL 한밭대학교 신재생에너지건축연구실 ( http://real.hanbat.ac.kr/?page_id=994 )
단독주택 단열재 두께 ( http://blog.naver.com/smhaus/220739001366 )
『 건축설비설계 』출판사: 세진사, 저자: 박종일, 김세환
『 SI단위 공기조화설비 』출판사: 기문당, 저자: 신치웅
『 건축·설비계획 』출판사: 국립한밭대학교출판부, 저자: 이영재
『 도서관법 [시행 2016.8.4.] [법률 제13960호, 2016.2.3., 일부개정]』
『 대학도서관진흥법 [시행 2015.9.28.] [법률 제13222호, 2015.3.27., 제정] 』
『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시행령 별표2 [법률 제11965호] 』
『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1108호) 』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국토교통부령 제219호, 2015.07.09. 일부개정] 』
『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 2017.3.30.] [법률 제14113호, 2016.3.29., 타법개정] 』
『 국가건설기준센터 건설기준코드 KDS [31 25 20] 환기설비 설계기준 』
『 http://m.blog.daum.net/jandii/11144976 』관류형보일러
『 http://cafe.naver.com/539kcal/4225 』흡수식냉동기
『 http://www.knrec.or.kr/knrec/11/KNREC110100.asp 』태양광 이용기술
『 http://www.knrec.or.kr/knrec/index.asp 』지열히트펌프
『 http://m.blog.naver.com/lee58111862/220714730987 』전공기방식
『 http://m.blog.naver.com/ji_eun9211/220522173150 』팬코일유닛
『 http://boolkyo.3458.co.kr/gnuboard4/ 』EHP
『 http://blog.naver.com/sang4735/110150503808 』지열히트펌프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901&contents_id 』기계환기
『 http://blog.naver.com/sang4735/110150503808 』
『 http://www.hotelrestaurant.co.kr/news/article.html?no=1285 』전열교환기
『 대한설비공학회 회원사칼럼 이준석 著 』바닥열을 이용한 환기방식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