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
1.1.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의 정의와 특성
유아교육은 건강과 발달을 도와 바른 인성을 갖춘 민주시민의 기초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유아특수교육은 가족들이 그들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도록 지원하며, 아동 스스로의 참여 및 독립, 습득 촉진을 목적으로 한다""이다. 유아교육의 대상은 유아 자신이지만, 유아특수교육의 대상은 부모와 유아 모두이다. 따라서 두 교육의 목표와 대상에 차이가 있다"".
1.2.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의 공통점
1.2.1. 발달 중심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은 발달 중심의 접근을 취한다. 연령에 따른 영유아의 운동, 적응, 사회, 정서 및 의사소통 등의 발달 영역들을 중요하게 다루며, 이에 맞는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가르치는 것이다. 즉, 장애영유아의 경우에도 정상발달 영유아와의 연령 수준 비교를 통해 습득해야 할 기술들을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있다. 또한 교육방법론 측면에서도 일반 영유아를 위해 사용되는 교수전략들이 장애영유아에게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이처럼 발달에 중심을 두고 있다는 점은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의 공통된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1.2.2. 관련 법적 체계화
영유아교육은 유아교육법 및 영유아보육법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영유아특수교육은 특수교육진흥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유아교육법은 만 3세부터 만 5세 유아의 교육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영유아보육법은 만 0세부터 만 5세 영유아의 보육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특수교육진흥법은 모든 장애인의 특수교육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영유아 특수교육도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관련 법들이 체계적으로 마련되어 있어 영유아교육과 영유아특수교육의 근거와 틀을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3. 환경 및 상호작용 중요성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에서 환경 및 상호작용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유아기는 발달이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이므로, 유아가 자라나는 환경과 성인과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유아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고, 교사와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을 촉진시킨다. 특히 장애 유아의 경우,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기술을 익히고 또래와의 통합적 환경에서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에서는 공통적으로 잘 계획된 환경에서 유아와의 상호작용 방법이 가장 기초적인 교육기술로 사용된다. 교사는 유아의 발달 수준과 개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상호작용의 질을 높여야 하며, 이를 통해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환경의 구조화와 함께 유아의 흥미와 요구에 맞는 교육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참여와 동기를 높일 수 있다.
이처럼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에서 환경과 상호작용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