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반두라의 관찰학습과정 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반두라의 관찰학습이론
2.1. 개념
2.2. 원리
2.2.1. 주의집중과정
2.2.2. 보존과정
2.2.3. 운동재생과정
2.2.4. 동기화
2.3. 특징
3. 관찰학습의 적용사례
3.1. 음악 학습 과정
3.2.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 행동
3.3. 해외여행시 출입국심사대에서의 행동 및 제스처
3.4. 유튜브의 전문인이 운동하는 영상을 보고 자세교정
3.5. 직장 모델링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관찰학습 이론은 환경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 반응,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론의 대표적인 연구자 중 한 명인 알버트 반두라는 이러한 관찰학습을 체계화하고 연구함으로써 이 분야에 큰 영향을 끼쳤다. 관찰학습 이론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습득하는 것을 설명하는데, 이 이론은 아동의 공격 행동 습득과 교육 현장에서의 학습 방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반두라는 아이들에게 공격적 행동을 보여주는 실험을 통해 타인의 행동을 관찰만 하여도 새로운 행동을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또한, 관찰학습 이론은 교육 현장에서 모델링을 통한 학습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아이들은 교사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새로운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2. 반두라의 관찰학습이론
2.1. 개념
반두라의 관찰학습이론은 환경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 반응,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반두라에 따르면, 인간의 행동 학습은 실험적 상황이 아닌 실제 사회생활 속에서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주변의 사건들에 주의를 집중함으로써 정보를 습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찰학습은 주로 모델을 직접 관찰하여 이루어지지만, 최근에는 대중매체의 발전으로 언어나 그림과 같은 상징적 모델을 모방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반두라는 모방을 통한 인간의 사회학습을 조작적 조건형성의 원리를 이용하여 설명하면서도, 인간 행동의 목적지향성과 상징화, 기대와 같은 인지 과정의 중요성을 인정하였다. 이를 통해 반두라의 이론은 행동주의에서 인지주의로의 전환을 보여주며, 현대적인 사회학습 이론의 중요한 발전을 이루었다.
2.2. 원리
2.2.1. 주의집중과정
주의집중과정은 관찰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첫 단계로, 모델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이해하는 과정이다. 모델의 행동에 대한 관찰자의 주의집중 정도에 따라 관찰학습의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모델의 특성과 관찰자의 특성이 주의집중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모델의 특성으로는 '기능적 가치'(모델의 행동이 관찰자에게 실용적이거나 유용하다고 인식되는 정도), '유행성'(모델의 행동이 사회적으로 유행하는 경우), '복잡성'(모델의 행동이 복잡하고 흥미로울수록) 등이 있다. 관찰자의 특성으로는 '감각 능력'(시각과 청각 능력), '지각력'(상황을 잘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 '각성력'(주의를 집중하고 산만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정도), '과거의 강화'(유사한 행동을 모방했을 때의 보상이나 경험) 등이 있다.
이처럼 모델과 관찰자의 특성에 따라 관찰학습의 주의집중과정이 달라지며, 이는 관찰학습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2.2.2. 보존과정
보존과정(Retention Process)은 관찰 대...
참고 자료
학습심리학 교재
Matthew H. Olson, B. R. Hergenhahn, 신종호,이선영 번역. 학습심리학. 학지사. 2015
정순례, 이병임, 조현주. 학습이론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21
[네이버 지식백과] 보보인형 실험 (상식으로 보는 세상의 법칙 : 심리편, 21세기북스)
이영미, 아원주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2023
유아발달 교안유아발달교안
신명희, 강소연 외 7명, 2018, 교육심리학, 학지사
이광순. "모델링 훈련이 자기유능감과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11.1 (2008): 1-19.
「유아발달」교안, 해커스 원격평생교육원, 66p~69p
이영애, 2013, 학습심리학, 시그마프레스
반두라의 사회인지이론
https://edumon.tistory.com/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