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질
1.1. 지질의 정의와 특성
지질은 물에 녹지 않고 비극성 용매(알코올, 에테르, 클로로포름)에 잘 녹는 생체 내 유기화합물이다. 지질은 단순지질, 복합지질, 유도지질로 분류되며, 조직 내 지질의 검출은 조직병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지방색전증, 지방육종, 난포막종과 같은 일부 종양에서의 지질 유무, 심장 또는 간의 지방변성, 죽상동맥경화증에서의 혈관 내 죽종의 확인 및 지질축적질환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지질 검출이 중요하다. 또한 세포 내 지방대사의 이상을 확인하는 데에도 지방염색이 필요하다.
1.2. 지질의 분류
지질은 단순지질, 복합지질, 유도지질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단순지질은 지방산과 알코올로 이루어진 지방, 왁스, 스테롤 등이 이에 해당한다. 복합지질은 단순지질에 질소, 인, 황 등의 원소가 결합되어 있는 인지질, 당지질, 황지질 등이 포함된다. 유도지질은 단순지질이나 복합지질이 대사과정을 거쳐 생성된 비누, 스테로이드 호르몬, 비타민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처럼 지질은 그 구성성분과 화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1.3. 지질의 조직병리학적 의의
지질의 조직병리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지질은 조직 내에 검출될 경우 다양한 병리학적 정보를 제공한다. 지방색전증, 지방육종, 난포막종 등 일부 종양에서 지질의 유무가 확인되며, 심장 또는 간의 지방변성, 죽상동맥경화증에서의 혈관 내 죽종 확인 및 지질축적질환의 감별진단에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지방색전증의 경우 뼈의 골절이나 지방을 포함하고 있는 조직의 좌상으로 인해 지방이 순환혈액 내로 노출되어 발생한다. 또한 종양세포에서 liposarcoma와 rhabdomyosarcoma 중 어디에서 유래한 종양인지 구분하여 예후판정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간의 지방변성이나 레이증후군 등 특정 질병 상태에서는 세포 내의 지방대사에 이상이 생기고 지방이 방울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런 경우 지방염색을 통해 이것이 당원(glycogen)인지 지방인지 구분할 수 있다."" 뇌나 신장 조직은 정상적으로는 지질이 존재하지 않으나 질병으로 인해 지질이 축적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지질축적질환의 경우에도 지질 염색이 도움이 된다. 세포들이 퇴행성 변화를 하게 되면 막지질이 변화되어 단순지질이 침착되기도 한다.""
따라서 지질 염색은 다양한 병리학적 상황에서 지질의 유무와 분포를 확인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확한 진단과 예후 판정, 치료 방향 설정에 활용될 수 있다.""
1.4. 지질의 고정과 보존
지질의 고정과 보존은 조직 내 지질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조직 내 지질은 단백질과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 대부분의 탈수, 투명과정에 사용되는 유기용매에 녹기 때문에 일반적인 파라핀 절편 제작 과정에서는 검출이 어렵다. 따라서 지질을 잘 보존하기 위해서는 동결절편 제작과 수용성 봉입제 사용이 필요하다.
또한 일부 지질의 보존을 위해서는 칼슘이 주요한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지질 보존을 위해서는 포멀-칼슘 용액이 가장 좋은 고정액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동결절편 제작이 어려운 경우 실온에서 고정 시 글리코겐 과립이 한쪽으로 몰리는 분극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0~4도의 냉장 온도에서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처럼 지질의 특성상 고정과 보존 과정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지질 성분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특히 단백질과 강하게 결합된 지질의 경우 동결절편 제작과 수용성 봉입제 사용이 필수적이다. 또한 일부 지질의 경우 칼슘과의 결합이 중요하므로 이를 고려한 고정액 선택이 필요하다.
1.5. 지질의 검출 방법
1.5.1. 지용성 염료를 이용한 염색
지용성 염료를 이용한 염색은 조직 내 지질을 검출하는 데 오랫동안 활용되어 온 중요한 방법이다. 이는 지질 분자와 염료 분자 간의 물리적 인력을 이용한 것으로, 수십 년간 지질 염색의 유일한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수단염료는 대표적인 지용성 염료로, 지질과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단순히 염료 분자가 지질에 더 잘 용해되는 성질을 이용한다. 수단염료는 친수성 반응기가 없어 유기용매에 잘 녹기 때문에, 지질과의 강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지용성 염색의 경우 용매 선택이 매우 중요한데, 50~70% 에탄올, 60% 이소프로필알코올, 60% 트리에틸인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