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애아의 영화를 1편보고 독후감을 적으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영상 매체의 발달과 장애아 문제
1.2. 영화 '지상의 별처럼'과 '말아톤'의 유사점
1.3. 영화 분석을 통한 장애아 문제 접근
2. 본론
2.1. '지상의 별처럼'에 나타난 장애아의 특성
2.1.1. 난독증으로 인한 학습 및 사회성 결여
2.1.2. 가족의 이해와 지지 부족
2.1.3. 교육자의 역할과 관심의 중요성
2.2. '말아톤'에 나타난 자폐아의 특성
2.2.1. 언어발달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
2.2.2. 반복적이고 상동적인 행동
2.2.3. 대인관계 및 사회성 발달의 장애
2.2.4. 주변인의 이해와 지원 부족
2.3. 장애아 지원을 위한 정책적 방안
2.3.1. 가족 지원 강화
2.3.2. 교육 및 복지 서비스 확대
2.3.3. 사회적 인식 개선
3. 결론
3.1. 장애아 문제의 복합성과 해결의 필요성
3.2. 사회적 관심과 협력의 중요성
3.3. 앞으로의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영상 매체의 발달과 장애아 문제
최근 스마트폰과 영상 매체의 발달로 정보를 습득하는 방식이 변화하면서, 글을 통한 정보 습득이 줄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집중력 저하와 난독증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러한 현상은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에게서도 나타나고 있다.
특히 장애아 문제의 경우, 정보 습득의 어려움이 더욱 두드러진다. 장애아동은 언어발달과 학습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는 사회성 발달의 문제로도 이어진다. 이러한 장애아동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가족과 교육자들은 장애아동을 적절히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영상 매체의 발달은 이러한 장애아 문제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데 기여했다. 영화와 같은 영상 콘텐츠를 통해 장애아동의 상황을 보여줌으로써 사회적 인식을 제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장애아동과 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1.2. 영화 '지상의 별처럼'과 '말아톤'의 유사점
영화 '지상의 별처럼'과 '말아톤'은 장애를 가진 주인공들이 겪는 어려움과 주변의 반응, 그리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 등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첫째, 두 영화 모두 주인공이 지적 장애를 가진 아동이다. '지상의 별처럼'의 주인공 이샨은 난독증을 앓고 있어 학습과 사회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말아톤'의 주인공 초원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지고 있어 언어발달과 의사소통, 사회성 발달에 어려움을 보인다. 이들은 또래 아이들과 다른 모습으로 인해 주변인들의 이해와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둘째, 두 영화에서 장애아의 부모는 자녀의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이해하려 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이샨의 부모는 그의 행동이 "문제적"이라고만 여기며 적절한 관심과 지원을 하지 않고, 초원의 엄마 역시 초기에 그의 능력을 인정하지 않다가 결국 마라톤 출전을 포기하려 한다. 이는 장애아 부모의 어려움과 한계를 보여준다.
셋째, 두 영화에서 장애아를 이해하고 지원하려는 노력이 나타난다. '지상의 별처럼'에서는 미술 선생님 비욤보가 이샨의 난독증을 파악하고 집중적인 교육으로 그의 학습 능력 향상을 돕는다. '말아톤'에서는 체육 선생님 정욱이 초원의 능력을 발견하고 그를 지원하여 마라톤 완주에 성공하게 한다. 이는 장애아에 대한 교육자의 관심과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이처럼 두 영화는 장애아동이 겪는 어려움과 주변의 반응, 그리고 이를 지원하려는 노력 등에서 공통점을 보이며, 장애아 문제에 대한 다양한 층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1.3. 영화 분석을 통한 장애아 문제 접근
영화 분석을 통한 장애아 문제 접근은 장애아의 현실을 생생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영화 '지상의 별처럼'과 '말아톤'은 각각 난독증과 자폐증을 앓는 장애아의 성장 과정을 잘 보여준다.
'지상의 별처럼'의 주인공 이샨은 난독증으로 인해 학습 및 사회성 발달에 어려움을 겪지만, 미술 선생님의 노력으로 극복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장애아에 대한 교육자의 관심과 지원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설명한다. 또한 가족의 이해와 지지가 부족한 이샨의 상황은 장애아 가족의 어려움을 잘 드러낸다.
'말아톤'의 주인공 윤초원은 자폐증으로 인한 언어발달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 반복적이고 상동적인 행동, 대인관계와 사회성 발달의 장애를 보여준다. 이러한 자폐아의 특성으로 인해 주변인들의 이해와 지원이 부족한 상황을 보여준다.
이처럼 영화 속 장애아의 모습은 현실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잘 보여준다. 이를 통해 장애아 문제의 복합성과 해결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나아가 사회적 관심과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영화 분석은 장애아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해결책 모색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2. 본론
2.1. '지상의 별처럼'에 나타난 장애아의 특성
2.1.1. 난독증으로 인한 학습 및 사회성 결여
영화 '지상의 별처럼'의 주인공 이샨은 난독증으로 인해 학습과 사회성 발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샨은 일반 학교에 다니고 있었...
참고 자료
김영욱, 최미숙, 황윤세, 백혜리(2009)『아동발달론』, 공동체
아미르 칸(2007)『지상의 별처럼』, 인도 영화
영화 <7번 방의 선물>, 2013.
영화 <아이엠샘>, 2001.
이경준 외, 최신 장애인복지론, 학지사, 2018.
김미경, 특수아동 부모교육 및 상담, 청목출판사, 2012.
공용, 2016, 행정사례연구, 문학영화가요사진게임 중 하나의사례를선택-말아톤을 통해본 장애인복지정책
공용, 2008, 2008, 자폐증의 원인과 치료
전반적 발달장애, 장진섭,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자폐아동의 이해와 교육, 이상복, 대구대학교 치료교육특수교육과, 2000
현대장애인 복지개론, 권도용,오길승,박희찬 공저, 홍익재, 1998
장애아 부모를 위한 자폐성아동의 이해, 강위영,공명옥공저, 특수교육, 1998
특수유아 교육방법, 한기정, 교육과학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