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가족 중 한 명이 질병으로 아프거나 입원하게 되면 가족 구성원 중에서 누군가가 간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가족 중 한 사람이 희생하더라도 가족이 간병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겨왔다. 하지만 최근 가족구성원의 감소로 인한 핵가족화와 개인주의적 성향이 보편화하면서 가족이 전적으로 간병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김소선(1992)은 뇌졸중 환자의 가족 대부분이 의료적 지식이 없고 환경 및 심리적 준비가 전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갑자기 발생한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 및 긴 입원기간, 회복가능성 때문에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여러 가지 어려움 및 부정적인 경험을 하게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가족이 받는 부담은 고혈압, 당뇨, 치매 등 다른 질환들에 비해 그 부담의 정도가 크다고 보고하기도 했다(장인순, 1995). 이에 이번 서론에서는 가족간호의 중요성과 가족 간호 제공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가족간호과정
2.1. 가족건강사정도구
2.1.1. 가족사정지침서(family assessment guide)
가족사정지침서(family assessment guide)는 가족 개개인의 건강상태와 가족기능에 초점을 둔 도구로서, 가족기능의 강화 또는 변화가 필요하거나 예측적인 안내가 필요한 가족의 행위를 신속히 알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요약한 것이다.
이 도구는 가족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기능을 평가하는 것으로, 가족의 개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가족 내적인 상호작용, 관계, 커뮤니케이션 등을 평가한다. 가족의 관점에서 평가를 수행하며, 가족 구성원들의 의견과 관점을 수집한다. 이를 통해 환경-가족의 관계, 가족전체와 가족의 내적기능의 관계를 조사하는 데 도움을 준다.
구체적인 활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터뷰와 관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가족의 건강상태와 기능을 평가한다. 그리고 평가 결과를 가족 구성원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