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단위 관리
1.1. 간호단위 물리적 구조
간호단위는 병원 내에서 간호사들이 환자를 직접적으로 돌보는 최소 단위이다. 91병동의 간호단위 물리적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간호 스테이션은 병동 입구에 위치해 있어 병동 전체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병동에 엘리베이터가 대형 1개와 중형 2대가 있어 환자 및 물품 이동에 용이하다. 병동 복도는 넓어 휠체어 이동이 편하게 설계되어 있다.
병동에는 가정과 같은 분위기의 탕비실이 있어 간호사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남녀별로 구분된 샤워실과 화장실이 각각 4개와 5개씩 배치되어 있어 환자들의 위생관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병동 내에는 환자들의 개인 운동을 위한 시설도 마련되어 있으며, 보호자와 환자들을 위한 세탁실도 구비되어 있어 소음 방지 시설까지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환자와 직원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1.2. 간호단위 인력구조
간호단위 인력구조는 전체 간호부서에 대해 계층적 인력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책임의 범위와 권한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다.
간호단위에서는 수간호사 1명, 주임간호사 2명, 간호사 9명, 간호조무사 2명 등 총 14명의 인력이 배치되어 있다. 수간호사는 간호단위의 행정을 책임지는 관리자 역할을 하며, 주임간호사는 책임간호사로서 실무를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간호사는 실제 환자 간호를 담당하는 핵심 인력이며, 간호조무사는 보조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간호단위 인력구조는 체계적인 업무 분담과 명확한 책임 소재를 통해 효율적인 간호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수간호사의 관리 아래 주임간호사와 일반 간호사, 간호조무사가 상호 협력하며 전반적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1.3. 간호단위 관리목표와 현재관리 현황
1.3.1. 환경관리
간호단위의 환경관리는 환자에게 쾌적하고 안전한 병원 환경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다. 간호단위의 물리적 구조와 공간 활용, 청결한 관리 등이 환경관리의 주요 내용이다.
먼저 간호단위의 물리적 구조를 살펴보면, 병동 입구에 간호 스테이션이 위치하고 있으며 대형 엘리베이터 1개와 중형 엘리베이터 2개가 설치되어 있어 환자 이동이 편리하다. 병동 복도는 휠체어를 두고도 이동에 용이할 만큼 넓게 설계되어 있다. 탕비실에는 가정과 유사한 싱크대와 인덕션이 있어 환자와 보호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남녀 샤워실과 화장실이 각각 4개씩 배치되어 있어 환자의 개인 위생 관리에 용이하다. 또한 병동 내에 자가 운동시설을 마련하여 환자들이 아침, 저녁 또는 주말에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환경관리의 현황을 살펴보면,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모두 나타난다. 긍정적인 면으로는 침상 간격이 넓어 쾌적한 병원 생활이 가능하고, 시설물 고장 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부정적인 면으로는 휴게공간이 협소하여 환자 및 보호자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점, 낮 시간 동안 불을 꺼 놓아 어두워서 환자들이 침상에서 내려올 때 다칠 우려가 있다는 점, 입원 환자 수에 비해 화장실 비율이 낮아 이용이 어렵다는 점 등이 있다.
이처럼 간호단위의 환경관리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지만, 일부 개선이 필요한 영역도 존재한다. 병동 내 휴게공간 확충, 적절한 조명 관리, 화장실 확충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더욱 쾌적하고 안전한 병원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1.3.2. 물품관리
물품관리는 간호단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간호단위에서는 감염이나 감염위험에 노출된 대상자에게 주사침 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카테터를 사용하여 간호사를 보호하는 등 효과적인 물품 관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고막 체온계의 탐침 덮개를 교체하지 않고 소독솜으로 닦아 계속 사용하거나 병동 복도 및 카트에 비치된 손 소독제를 교환하지 않아 손소독을 할 수 없는 등 일부 물품 관리가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린넨물의 관리 소홀로 대상자들이 옷을 자주적으로 꺼내어 관리가 되지 않는 문제도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가 필요하며, 물품 보관 및 비치 방법을 개선하고 직원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1.3.3. 약품관리
병동 내 약품 관리는 환자 안전 및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첫째, 안전한 처방을 위해 처방 시 환자 확인 절차를 시행하며, 환자 확인 시 환자 이름을 개방형 질문으로 확인하고 등록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상 생년월일 두 가지 이상의 정보로 다시 확인한다. 둋째, 구두 처방은 원칙적으로 금하나 수술 및 시술, 응급 상황 등 처방 작성이 어려운 경우에 한해 허용된다. 구두 처방 시 처방 내용을 받아적고, 다시 읽어 확인하며, 24시간 이내 의사가 전자의무기록에 처방을 입력한다. 셋째, 필요시 처방(PRN)은 투여 기준에 준하여 처방을 수행하며, 처방 목록 외에는 처방할 수 없다. 마약류와 같은 고위험 약물의 경우 구두 처방이 금지된다. 넷째, 고위험 약물은 분리 보관하고 사용 후 즉시 폐기하며, 마약류는 이중 잠금장치가 된 철제 금고에 보관한다. 또한 마약 관리대장을 작성하고 정기적으로 재고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병동 내 약품 관리는 처방부터 보관, 투약,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엄격한 절차와 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