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액체시료(물)을 이용한 연속희석 및 도말평판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생균수 측정 실험
1.1. 실험 목적 및 배경
1.2. 측정 방법
1.2.1. 현미경 계수법
1.2.2. 평판계수법
1.2.2.1. 도말평판법
1.2.2.2. 주입평판법
1.2.3. 최확수법
1.3. 생균수 계산
1.4. 마이크로피펫 사용법
2. 미생물 희석 및 도말
2.1. 실험 목적 및 배경
2.2. 평판법에 의한 순수배양
2.2.1. 도말평판법
2.2.2. 주입평판법
2.2.3. 분산평판법
2.3. 순수배양 주의사항
2.4. Serial Dilution
2.5. Streaking and Spreading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생균수 측정 실험
1.1. 실험 목적 및 배경
실험 목적 및 배경은 "미생물에 의한 식품의 오염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미지의 Sample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수를 측정해야 한다."이다. 식품은 사람의 건강뿐만 아니라 생명과도 연결될 수 있으므로 오염정도를 정확히 측정할 필요가 있다. 각 측정방법마다 장점과 단점이 있으므로 시료와 미생물의 종류 및 실험 목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1.2. 측정 방법
1.2.1. 현미경 계수법
현미경 계수법(microscopic count)은 특별히 고안된 계수기(counting chamber)를 사용하여 일정 부피에 존재하는 모든 세포의 수를 세는 방법이다. 세균, 효모 등 단세포 미생물의 수를 세는데 적합하다.
액체 배양한 시료를 직접 사용하거나 세포를 염색한 후 균수를 측정한다. 세균의 계수에는 Petroff-Hausser 계수기를 사용하고, 효모의 계수에는 Thoma의 혈구계수기(hematocytometer)를 사용한다.
현미경 계수법은 신속하게 세포의 수를 셀 수 있으며, 세포의 크기와 형태에 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또한 평판배양법으로는 특정한 조건에서 증식할 수 있는 미생물만 측정할 수 있지만, 현미경 계수법은 시료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을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배양액이 투명하고 세포로 오인할 수 있는 입자들이 없어야 하며, 측정하는 시료의 양이 매우 적으므로 세포 밀도가 낮을 때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산 세포와 죽은 세포를 구별하기 어려우나 0.1% 메틸렌 블루(methylene blue)로 염색을 한 후에 측정하면 구별하여 계수할 수 있다.
1.2.2. 평판계수법
1.2.2.1. 도말평판법
도말평판법은 일반적으로 가장 유용한 평판법으로, 멸균한 백금이를 적당히 희석한 미생물 현탁액에 넣은 뒤 굳은 한천배지 위에 일련의 평행하고 중복되지 않는 선을 그어 도말하는 방법이다. 접종원은 반복되는 도말에서 점진적으로 희석되어 처음에 도말한 부위에서는 합쳐진 상태로 자라다 하더라도 뒤에 도말한 부위에서는 잘 분리된 콜로니들이 그어진 선을 따라 자라게 된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장점은 각각의 콜로니 사이에 좋은 공간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도말 과정을 통해 균이 점진적으로 희석되어 순수 분리가 용이해지며, 도말 방향과 수를 조절하면 동일 평판 내에서 다양한 농도의 균이 배양될 수 있어 유효 콜로니 수를 최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도말평판법은 효모, 대부분의 세균, 다수의 곰팡이와 단세포성 조류 등 고체 배지상에 명확한 콜로니를 형성하는 미생물의 순수배양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1.2.2.2. 주입평판법
주입평판법(Pour Plat Method Loop Dilution)은 백금이로 균체를 취하여 배양액에 차례로 희석하면서 접종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은 별다른 기술을 요하지 않아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주입평판법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Nutrient agar가 담긴 시험관 세 개의 각각을 구리스 연필로 표시하고 전열판 위에서 배지를 액화한다. 그 다음 페트리 접시에도 뚜껑이나 밑면에 표시를 해둔다. 준비된 혼합 균체로부터 백금이로 1회 균체를 따서 냉각시킨 시험관에 접종한다.
접종된 시험관 I을 잘 흔들고 백금이로 시험관 I의 접종균을 1회 따서 시험관 II에 접종하여 흔든다. 이때 배양액이 솜마개에 묻을 정도가 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시험관 I은 50℃로 유지된 항온 수조에 넣어둔다. 시험관 II를 잘 흔들어 먼저의 경우와 같이 시험관 III에 접종시키고 시험관 II를 항온 수조에 넣는다.
시험관 III을 잘 흔들어서 III으로 표시한 페트리 접시에 불꽃 가까이서 접종한다. 그리고 시험관 I과 II도 각각 표시한 페트리 접시에 접종한다. 액체 배지가 완전히 응고된 후 도말 평판의 경우처럼 페트리 접시를 거꾸로 하여 37℃가 유지되는 항온기를 넣어 2...
참고 자료
안병용 외 3명, 『식품미생물학 실험서』 p69~73, 석학당
김동한 외 5인, 『표준미생물학』 p130~136, 펴냄 홍
노봉수 외 4인, 『실무를 위한 식품분석학』 p40~41, 수학사한국미생물학회, 『미생물학실험』 p115~118, 아카데미서적<평판도말법>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isung8410&logNo=220730360593
박신인∙남은숙. 식품미생물학 실험서. 2018. 효일, p. 36-38, 55.
이건형 외 16인. 벤슨의 미생물학 실험. 2015. 동화기술, p. 171-179.
[논문] 김점지∙이미영. Bactericidal Effects of Anodic Electrolyzed Water on the Selected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2007.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6(11), p. 1295-1299.
“평판계수법”. 네이버 지식백과(미생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94531&cid=61232&categoryId=61232.
“배양배지”. 네이버 지식백과(미생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03403&cid=61232&categoryId=61232.
“Lb 배지”.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Lb%EB%B0%B0%EC%A7%80.
식품공전(제 8. 일반시험법 ▶ 4. 미생물시험법 ▶ 4.4 배지 및 시액 ▶ 4.4.1 배지).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359.
미생물학 실험서, 이혜주, 동아대학교 출판부, 2012, p.42~p.45
생명과학실험서, 김관선 외 10명, 정문각, 2002, p.19
미생물학 길라잡이 6판, Kathleen Park Talaro, 라이프사이언스, 2010, p.62~p.64, p.73~p.74
미생물 실험서, 이미래, 윤재영 효일문화사 1995
최신일반미생물학 실험, 홍순우, 1978
The Microbial World, Roger Y. Stanier외 3명, 아카데미 1991
Microbiological Applications, Harold J. Benson, McGraw-Hill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