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사 예절
1.1. 인사의 정의
인사(人事)란 사람과 관련된 일로, 모든 인간 예절의 기초가 되는 행동이다. 인사에는 마음을 열고 상대방에게 다가간다는 의미가 담겨 있으며, 상호 간의 존경과 배려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인사의 유래는 원시시대에 상대방을 해치지 않겠다는 신호로 손을 들거나 내밀었던 데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인사는 섬김의 자세, 환영의 표시, 신용의 상징, 친근감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인사는 단순한 고개 숙임이 아닌 밝은 표정과 상대방을 바라보는 태도, 허리를 굽히는 행동 등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행위라 할 수 있다.
1.2. 인사의 유래
인사의 유래는 원시시대(미개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이다. 당시 상대를 해치지 않겠다는 신호(원수가 아니라는 신호)로 손을 위로 들기도 하였고, 손을 앞으로 내밀기도 하였으며, 허리를 굽히기도 하였다. 따라서 인사는 섬김의 자세, 환영의 표시, 신용의 상징, 친근감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이다.
1.3. 각 나라별 인사법
각 나라별 인사법은 다음과 같다.
하와이는 '알로하'라며 서로 끌어안고 양쪽 볼을 대며 인사한다. 이스라엘에서는 '샬롬, 샬롬'하며 서로 상대방의 어깨를 주물러 준다. 중국에서는 '쎄쎄, 니하우마'하며 자기의 두 팔을 들어 팔목을 잡고 허리를 굽혀 정중히 인사한다. 스페인이나 이탈리아와 같은 유럽 국가에서는 가볍게 포옹을 하면서 볼 뽀뽀를 한다. 알래스카에서는 '브덴니 음음'하며 두 주먹을 코에 붙여 서로 끝을 비빈다. 인도와 네팔에서는 두 손을 기도하듯이 모아서 '나마스테'나 '나마스테(3회)'라고 한다. 일본과 중국은 한국과 비슷하게 고개를 숙이거나 손을 흔들며 인사한다. 미국에서는 악수를 한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악수 후 가슴에 손을 얹고, 태국과 캄보디아에서도 두 손을 기도하듯이 모아서 인사한다. 아랍 지방에서는 서로 껴안고 뺨을 비빈다. 그 외에도 티베트에서는 혀를 내미는 것이 인사이고, 러시아에서는 키스를 하고 포옹을 한다. ""이처럼 각 나라마다 고유한 인사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 나라의 문화와 전통을 반영한 것이다.""
1.4. 우리나라 전통 인사법
우리나라의 대표적 인사법으로는 '절'이 있다. 우리나라 고유 예절 문화 가운데 가장 돋보이는 것이 '절'이라 할 수 있는데 '절'은 상대방에게 공경을 나타내는 기초적인 행동 예절이다. '절'하는 대상은 비단 사람뿐만 아니라 상징물에 대해서도 한다. 또 웃어른도 아랫사람의 절에 답례를 하는데 그것은 아래 사람이라도 그를 존중하는 대접의 표시로 하는 것이다. 이처럼 '절'의 예절에는 '절'을 하는 예절, 받는 예절이 있으며 남자와 여자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