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지원하는 직무 분야에서 자신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해온 부분을 설명하고, 그러한 노력이 농협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 기술하시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현재 지원하는 직무 분야에서 자신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해온 부분을 설명하고, 그러한 노력이 농협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 기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직무평가 방법
2.1. 서열법
2.2. 분류법
2.3. 점수법
2.4. 요소비교법

3. 직무평가 시 고려사항
3.1. 평가 대상자의 참여와 관여
3.2. 공정성과 일관성 확보
3.3. 직무 수행 능력 및 행동 중심 평가

4. 직무평가 방법의 선택
4.1. 기업 규모와 자원에 따른 적합성
4.2. 구성원 수용성 고려

5. AI를 활용한 채용 과정
5.1. AI 도입 사례
5.2. AI 도입의 긍정적 영향
5.3. AI 도입의 부정적 영향

6. AI 채용 시스템의 발전 방향
6.1. 데이터 품질 관리
6.2. 평가 기준의 공정성 제고
6.3. 관련 규제 정비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취업도 힘들어지고 있는 오늘날 많은 청년들이 실업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런 저런 직무를 따지기 보다는 돈이 되는 것 혹은 취업이 잘되는 자격증 공부에 힘을 쓰고 있는 현실이다. 취업이 먼저고 직무는 나중에 생각을 해도 된다는 생각들이 짙어지면서 잘못된 판단을 하기 시작하고 있다. 적성에 맞는 직무를 찾고 이에 맞게 스펙을 쌓아야 하는 것이 경쟁이 치열한 취업 시장에서 생존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직무는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중요한 버팀목이 되어주는데, 적성에 맞는 일을 해야 행복해질 수 있으며 오래 다닐 수 있기 때문이다. 직무만족이 높은 수준의 사람은 자신의 직무 환경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반면에 직무에 불만족한 사람은 직무환경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기에 매사 피곤하다 혹은 퇴사하고 싶다는 말을 반복하기도 한다. 직무만족은 구성원이 속해있는 조직의 특성에 따라서 차이가 나기도 하며 조직의 성과에 직접적이나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중요하기에 이번 주제와 같이 직무평가방법에 대해서 비교분석해보고자 한다.


2. 직무평가 방법
2.1. 서열법

서열법은 직무평가 방법 중 하나로, 직무 간의 상대적 가치를 서열화하여 평가하는 방식이다. 직무의 중요도나 난이도, 작업환경 등을 고려하여 직무들 간의 상대적인 서열을 매기는 것이다. 서열법에는 일괄서열법과 쌍대서열법이 있다.

먼저, 일괄서열법은 직무들의 직무기술서와 명세서를 토대로 전체 직무들의 상대적인 가치를 한 번에 평가하여 서열을 매기는 방법이다. 평가자들이 모든 직무들의 중요도와 난이도, 작업환경 등을 고려하여 직무들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서열을 결정한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으며 서열 간 가치 차이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사직무들 간의 서열을 확정하기 힘들다는 문제점도 있다.

다음으로 쌍대서열법은 직무들을 두 개씩 짝지어 상대적 가치를 비교하여 서열을 매기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두 직무를 비교하여 상대적 가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일괄서열법에 비해 평가자의 주관 개입이 줄어든다. 하지만 직무 간 상호비교를 많이 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잡한 편이다. 또한 여전히 직무 간 가치 차이를 명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서열법은 간단하고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평가자의 주관이 반영될 수 있고 직무 간 가치 차이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기업보다는 소기업에 더 적합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전체적인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2.2. 분류법

분류법은 개별 직무를 직무등급표에 명시된 내용과 비교해서 어느 한 등급으로 분류시켜 직무의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장점은 간단하고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단점에는 개별 등급의 정의가 어려우며 각 등급에 적용되는 가치의 해석상 논란, 각 등급에 배치 시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객관적이고 정확한 직무등급표를 개발해야 하며, 종업원의 수용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2.3. 점수법

점수법은 직무를 평가 요소에 따라서 분해하여 각 요소별로 중요도나 난이도에 따라서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이다. 먼저 평가요소를 선정하고 요소별 가중치를 설정해서 평가요소별로 점수를 하나씩 부여하는 것이다. 이처럼 점수법의 장점은 직무들 간의 가치 비교가 구체적으로 편리하며 평가요소의 가중치 부여로 평가자의 주관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임금 결정의 합리성과 공정성이 강조되고 종업원의 수용성과 신뢰도 상승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가중치 설정을 하게 될 경우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높고, 기업과 종업원의 가중치에 대한 입장차이로 인하여 수용성과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평가요소와 가중치 설정의 어려움으로 인한 평가자 전문 교육이 필요하고 사전 준비시간과 비용을 투입해서 단점을 극복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4. 요소비교법

네 번째는 요소비교법으로 서열 법에서 발전이 된 기법을 말하는데, 여러 직무들을 전체로 비교하지 않고 각 요소별로 서열을 매기는 방법이다.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임금으로 평가하는 특징을 가진 방법인데, 과정은 기준직무를 우선적으로 선정하고 평가요소를 결정한다. 평가요소별로 서열을 확정짓고 요소별 서열에 따라 임금을 배분한다. 기준 직무 평가 결과를 기준으로 해서 다른 직무를 평가하는 프로세스로 움직인다. 이에 따른 장점은 평가 결과에 따른 임금의 공정성이 확보되고 평가 방법이 정교하여 타당성과 신뢰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기업 내에서는 전체적인 직무에 적용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지만 단점에서는 서열 확정 시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으며, 임금을 평가하는 데 요소에 배분할 때 주관이 개입되는데, 평가방법이 정교한 만큼 복잡하고 어려워 종업원들이 수용하기가 힘들 수 있다. 이에 따른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직무평가 위원회나 외부 전문가를 영입하여 직무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제고 시킬 수 있는 방안을 토대로 단점을 극복...


참고 자료

직무급 설계와 운영
- 이홍민 저자 / 중앙경제 / 2020
업종별 직무평가 도구개발
- 박윤희, 유규창 외 2명 / 한국노동연구원 / 2018
직무분석과 직무평가 실무
- 장수용 저자 / 예스폼 / 2014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1982
고용노동부
http://m.mdilbo.com/detail/GQFJv6/684269
무등일보
https://www.law.go.kr/%ED%96%89%EC%A0%95%EA%B7%9C%EC%B9%99/%EC%A7%81%EB%AC%B4%EB%B6%84%EC%84%9D%20%EC%8B%A4%EC%8B%9C%20%EC%A7%80%EC%B9%A8
직무분석 실시 지침
https://nani43.tistory.com/29
금이의 보물창고
선발관리, 모집
https://grad.uu.ac.kr › board › down
한국 인력채용 방식의 특성분석 연구
https://www.hrdkorea.or.kr › cms › downloadFile
한겨례,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 성과에 주목하는 이유
https://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911228.html
취준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2020년 채용 트렌드
https://newsroom.daewoong.co.kr/archives/5281
AI 채용시스템 도입성과: 국내외 사례연구, 손승원 외,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2023
채용분야 인공지능(AI) 활용실태 및 공정성 확보방안 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2023
5년 만의 기아 생산직 채용에 5만명 몰려… 경쟁률 약 500:1, 민서연 기자, 조선비즈, 2021.12.16.
관리의 삼성, 올 신입사원 빅데이터로 뽑았다. 이동인, 원호섭 기자, 매일경제, 2015.12.29.
SK C&C-IBM, 왓슨 기반 인공지능 사업 협력, 김용영 기자, 매일경제, 2016.05.09.
AI 로직 설명 못하면 경쟁력 아닌 재앙, 알렉세이 수르코프, 발 스리니바스, 매경이코노미, 2023.03.20.
혈연·지연·학연 없는 AI 면접관, 사람보다 공정할 수 있죠, 최동순, 이현주, 한국일보, 2023.04.18.
인공지능법 제정 눈앞, 주요 내용은?, 현기호, 이코리아, 2023.02.1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