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개화파 대 위정척사파 무엇이 올바른길이었나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최초 생성일 2024.10.07
4,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개화파 대 위정척사파 무엇이 올바른길이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근대초기 사상
1.1. 이항로와 위정척사사상
1.1.1. 위정척사사상의 대두
1.1.2. 위정척사사상의 보급과 전개
1.1.3. 이항로의 위정척사사상
1.2. 김옥균과 개화사상
1.2.1. 자주독립론
1.2.2. 제도개혁론
1.2.3. 근대교육론
1.2.4. 경제부국론

2. 백암 박은식의 민족사관
2.1. 고대사관
2.1.1. 박은식의 「역사가」를 통해
2.1.2. 대동민족론
2.2. 근대사관
2.2.1. 근대사관의 출발
2.2.2. 망국의 외인과 내인
2.2.3. 국혼의 투쟁
2.3. 역사서 속의 국혼론
2.3.1. 『한국통사』
2.3.2. 통사와 혈사, 광복사

3. 계몽운동과 민족자강
3.1. 계몽운동이란
3.2. 계몽운동의 전개
3.2.1. 정치운동
3.2.2. 교육계몽사업
3.2.3. 기타 활동
3.3. 계몽운동에 대한 평가
3.3.1. 잘못된 인식은 위기를 더욱 심화시킨다
3.3.2. 위로부터의 개혁은 어디까지나 위로부터의 개혁일 뿐이다
3.3.3. 불법적인 사회에서의 합법이라는 것은 결국 불법이다
3.3.4. 민중은 시대를 만들고 시대는 영웅을 만든다
3.3.5. 교육은 백년지대계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근대초기 사상
1.1. 이항로와 위정척사사상
1.1.1. 위정척사사상의 대두

위정척사사상의 대두는 주자학적 정치사상의 큰 흐름 연장선상에서 바로 19세기 후반에 등장한다. 이는 서양의 이질문화가 도전해 오는 위기상황에서 이단에 대해 정학(正學)을 지킨다는 차원에서 하나의 사상운동으로 발흥된 것이다.

대두된 원인은 서학이라 일컬어지던 천주교가 영·조시기에 서세동점의 물결을 타고 이 땅에 들어오면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천주교는 전통적인 예교질서를 파괴하는 교리 및 행동을 수반하고 있었다. 부모와 선조의 제사를 부인하고 전통적으로 최고선으로 존중되어 오던 효와 충의 가치를 절하시키며 삼강오륜의 절서체계를 파괴하는 요소를 지니고 있었다.

이에 주자학적 사상으로 규율되어 오던 전통사회를 위협하는 위험사상으로 간주하게 되었으며, 그 교세가 점차 커지고 반유교적 정신과 행동이 실천적 차원으로 드러나게 되자 이를 사학(邪學)으로 규정하여 배척하는 동시에 주자학적 정치윤리사상을 정학으로 지키고자 하는 위정척사론이 형성되기에 이른 것이다.


1.1.2. 위정척사사상의 보급과 전개

위정척사사상의 보급과 전개는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그리고 화서의 제자인 중암(重菴) 김평묵(金平?) 등에 의해 크게 보급되었다"이다. 특히 화서의 위정척사론은 중암에 의해 보다 발전적으로 집대성 되는 동시에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에 의해 실천적 차원의 의병운동으로 확산되었으며 의암(義菴) 유인석(柳麟錫)에 의해서는 의병운동의 연장선상에서 항일구국 독립운동으로 발전되어 나갔다.

조선 후기에 위정척사론이 본격적으로 대두된 것은 화서 이항로에 의해서였다. 화서의 위정척사론이 제기되던 19세기 후반은 조선왕조 정치체제가 서세동점의 국제적 격랑과 갈등 속에 휘말려 들어가기 시작하던 때였다. 서구열강세력의 한반도의 침입은 단순한 군사적 위협을 넘어 자본주의적 제국주의 질서에 기초한 불평등한 국제관계의 틀을 조선에 강요하는 것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조선의 경제와 사회, 문화체계의 전반적인 파괴를 수반하는 것이기도 했다. 위정척사운동을 촉발시킬 구체적인 사건은 1866년(고종 3) 프랑스군함이 강화도를 침범한 병인양요(丙寅洋擾)에 이르러서 이었다.

병인양요는 서구열강의 자본주의적 팽창과 물리적 도전으로 조선이 처음으로 체험한 국제관계상의 중요한 사건이었으며 이는 조선의 자기안보와 경제적 자존의 문제와 직결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위기상황에 처하여 화서는 조선시대를 관통하는 성리학적 사상의 연장선상에서 위정척사론을 제기하였다. 화서의 위기타개책은, 첫째는 민생의 문제 및 이와 관련된 내수적 통치론과 개혁론이요, 둘째는 대외관계에 관한이론으로서의 척사론이었다.

화서는 민생을 제일차적인 국가적 과제로 보고 정치체제 운영에 있어서 백성의 생활안정만큼 중요한 일은 없다고 말했다. 백성은 현실적으로 국가운영의 중요한 과제인 경제와 국방의 원천이며 본원적으로는 통치자의 근본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민본·위민사상은 곧바로 통치론과 내정개혁론으로 이어져 내수의 요체이며 척사의 전제로서의 군주의 수기 정심과 극기정신을 역설하는 한편, 토지제도의 정비와 부의 공평한 분배, 그리고 단결된 민심을 바탕으로 한 국민의 사기진작과 일종의 민병조직에 의한 국방을 강조하였다.

한편 대외적 측면에서 화서가 내세운 대응책은 적극적인 척화론이었다. 즉 병인양요를 계기로 이에 대한 대책이 분분할 즈음 동부승지로 부름을 받은 화서는 그 직을 사직하면서 올린 상소에서 프랑스의 침입을 종사존망의 위급한 국가적 위기로 규정하는 동시에 이를 싸워서 물리쳐야 한다는 주전척화론(主戰斥和論)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화서의 위정척사사상은 한국 도학사상의 의리사상이 갖고 있는 대외적 항쟁의 기능을 올바르게 계승하여 한말의 역사적 상황에서 국민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 의병운동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특히 실천적 의리사상과 위정척사사상에 근거한 화서의 이러한 애국애족의 정신과 자주적인 민족의식은 최익현과 유인석 등을 중심으로 한 수많은 화서의 문인들에게 이어져 한말 항일운동의 주축을 이루었으며, 일제시기에는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김구의 임정으로 이어지는 민족정기의 정신적 맥락으로 이어져 내려갔던 것이다.


1.1.3. 이항로의 위정척사사상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의 위정척사사상은 조선 후기 주자학적 정치사상의 큰 흐름 속에서 19세기 후반에 등장한 것이었다. 그는 서양의 이질문화가 도전해 오는 위기상황에서 정통유교인 성리학을 수호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위정척사론을 제기하였다.

이항로의 위정척사사상은 공자의 춘추사상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공자의 춘추사상은 역사 상황 속에서 구체적인 사건들에 대해 시비와 선악을 판별하고 정의와 불의를 비판하는 사상이다. 이러한 대립적인 가치들이 여러 분야에서 전개되지만, 이항로는 이를 결국 천리와 인욕의 나뉨으로 보았다.

화서의 천주교에 대한 비판 내용은 『벽사록변(闢邪錄辨)』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천주교가 도덕성보다 공리성을 중요시하고 유학은 성현의 도덕이 중요하다고 구분하였다. 즉 유학이 공부에 능할 뿐만 아니라 도덕에도 밝은 반면, 천주교는 술업에만 능할 뿐 도덕성을 무시한다고 보았다.

또한 화서는 서양 세력의 제국주의적 팽창과 불평등한 무역관계에 대해 경계하였다. 그는 서양 물건이 기기음묘(奇技淫巧)라 하며 백성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하였고, 서양과의 교역이 단순한 통상이 아닌 제국주의적 침략과 연관되어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처럼 화서는 서구 문명의 물질적 측면에만 혼돈되어 도덕성과 사회정의를 상실하는 문제점을 예리하게 비판하였다.

한편 화서는 대외정책에 있어 적극적인 척화론을 주장하였다. 그는 병인양요를 계기로 상소를 올려 프랑스의 침략을 국가의 종사존망에 관한 위기로 규정하고 싸워서 물리쳐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는 민생 안정을 위한 내정개혁이 선결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즉 민심을 외면한 채 오로지 외세배척에만 집중하는 것은 위험하며, 민생안정과 내정개혁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처럼 화서의 위정척사사상은 도학사상의 의리사상을 계승하면서도 시대적 상황에 맞게 ...


참고 자료

황의동, 「12장 한국의 의리사상」, 『한국의 유학 사상』, 서광사, 1995.
오석원, 「화서사상(華西思想)의 특성과 현대적 의미」, 『한국사상과 문화』, Vol.55, No.0,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이택휘, 「위정척사운동」, 『한국사 38』, 국사편찬위원회, 2003.
김영작,「김옥균-시대를 앞질러간 개혁의지」, 『한국사 시민강좌』31, 일조각, 2002.
김당택, 『우리 한국사』, 푸른역사, 2002.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문화, 2003.
정영희, 「김옥균의 개혁사상 연구」, 『실학사상연구』, 역사실학회, 1999.
김종명, 「한국사상가 평전 : 김옥균」, 『시대와 철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94.
박성수, 「한국인의 역사정신」, 석필, 2013
우남숙, 「애국계몽기의 사회진화론 연구-장지연, 박은식을 중심으로」, 국제문화학회, 1992.
강만길 외 11인, 『한국사 12』,「근대민족의 형성-2」, 한길사, 1994.
김성금, 「사건으로 본 한국 기독교사 10-농촌 계몽운동과 기독교」, 한국 기독교역사연구소, 1986.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오백년 왕국의 종말』, 한길사, 2003.
김도형, 「한말 계몽운동의 정치론연구」, 한국사 연구회, 1986.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