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태종대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발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조선왕조 경제체제와 개항기 근대적 개혁
1.1. 조선왕조의 토지제도
1.2. 농민경제
1.3. 국가의 부세제도와 변천과정
1.4. 갑신정변의 개혁안
1.5. 갑오정권의 근대적 개혁
1.6. 대한제국의 경제정책
1.7. 개항기 근대적 개혁의 성과와 한계
2. 1862년 농민봉기와 19세기 농민운동
2.1.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2.2.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
3. 일제의 식민통치와 민족운동
3.1. 1910년대와 1920년대 일제의 통치 방식 비교
3.2. 일제 식민통치의 본질
4. 중국의 국공합작
4.1. 제1차 국공합작
4.1.1. 배경과 목표
4.1.2. 결렬 이유
4.2. 제2차 국공합작
4.2.1. 배경과 목표
4.2.2. 결렬 이유
4.3. 제2차 국공내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조선왕조 경제체제와 개항기 근대적 개혁
1.1. 조선왕조의 토지제도
조선왕조의 토지제도는 과전법의 성립으로 이루어졌다. 과전법은 고려말에 개혁파 사대부들이 만든 제도로, 토지를 국유화하고 이를 새로운 신흥관료에게 재분배하여 국가의 세입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과전법에 따라 토지의 소유권과 국가의 수조권이 중요시되었으며, 이를 매개로 한 조세 징수와 토지 거래가 이루어졌다.
조선왕조는 과전법 외에도 직전법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현직관인에게만 토지를 지급하는 제도였다. 직전법은 과전법보다 금액이 적었으며, 관리들의 경제력을 약화시키고 국가재정을 강화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조선시대의 토지제도는 개인의 토지 소유권과 국가의 수조권이 혼재되어 있었다. 즉, 하나의 토지에 대해 여러 명의 권리자가 존재할 수 있었다. 하지만 토지의 소유권을 중심으로 하는 근대적 토지소유 관계가 점차 발달하면서, 국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토지 지배 방식은 소멸되어 갔다.
1.2. 농민경제
조선시대가 도래하게 되자 농민의 경제생활에 있어서도 변화가 찾아왔다. 태종 시대 때 저화가 사심서에서 발행 되었고, 세종 때 동전 형태의 조선통보가 만들어졌으며, 세조 시절에 이르러 팔방통보가 만들어졌다. 인조 때가 도래하여서 상평통보가 만들어졌고 고종 시대에 이르러 당백전이 만들어졌으며 대한제국 무렵에 백동화가 제작이 되어 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에 조선 양반들은 과전과 녹봉으로 생활을 하게 되었는데, 이들은 대규모 농장을 소유하고 수확의 절반을 땅을 소유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소유자가 강제로 수확의 절반을 가져가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농민들은 전문 기술자로서 관청에 등록하여서 필요한 물품을 생산하고 서울에 경공장이나 지방에 외공장을 두는 등의 기업의 형태를 구축하기도 하였으며 16c이후에 이르러서 부역제를 기피하고 상업을 발전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민영 수공업을 통하여서 견직물이나 농기구 혹은 양반의 사치품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조선에서는 상업이 특히나 발달 하였는데 국가가 운영하는 시전으로서 시전 상인들에게 독점 판매권을 주는 금난전권을 실시하고, 종이나 명주 어물 모시 삼베 무명을 판매한다는 육의전을 번성시키기도 하였다. 그리고 경서시를 설치하여서 불법 상행위나 물가를 감시하기도 하였다. 15c에 도래한 무렵에서는 한양 및 지방에 이르러 민간 상인의 시장이 발달 하였다. 5일장의 개념이 생겨나기도 하였으며 명나라 여진을 필두로 하여서 무역이 성행하기도 하였다.
1.3. 국가의 부세제도와 변천과정
조선시대에 이루어졌던 부세 제도라고 하는 것은 토지에 부과되는 전세의 부분과 양인의 가호에 부과된다고 할 수 있는 공납 그리고 양인 장정에게 부과되는 군역으로 부세 제도가 이루어졌다. 부세제도 라고 하는 것은 국가의 운영에 있어서 그 기반이 되는 근본적 원안이 될 정도로 중요하게 다루어졌고, 토대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했다.
하지만 양난으로 인하여서 토지대장이 불타게 되자 전국의 토지 결수가 줄어들게 되었는데, 이는 곧바로 전세 징수의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정부는 농지의 개간을 권장하게 되었고 경작지를 확대하였다. 양전 사업을 이용하여서 토지 대장에서 누락된 토지를 찾아내었고 재정적 수입원을 확보하려 하였다.
영 정조대에 이르러서는 토지의 결수가 회복되기도 하였는데, 그 효과는 미미했다고 할 수 있다. 조선정부는 1600년도에 이르러서 토지 1결 당 쌀 4두씩 전세를 납후하게 하는 영정법이라고 하는 것을 실시하기도 하였는데, 이것을 통하여서 전세를 낮추려고 하였다. 하지만 부가세가 반대로 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즉 농민의 부담이 많이 늘어나게 된 것이다. 부가세로 소작농에게 부담이 전가하는 것이 당시의 방법이었기 때문에, 가난한 소작농인 농민들에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다.
임진왜란이 발생한 이후의 무렵에서는 지방의 특산물을 공물로서 징수하는 공납법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는데, 정부는 1608년 선혜청을 설치하였고 경기도 지역에 대동법을 실시하였다. 이것은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까지 퍼져나갔으며 1708년에 이르러서는 전국적으로 확대되기도 하였다. 대동법은 쌀이나 돈으로 징수하였고 각 가호에 따라서 부과하던 것을 토지의 결수에 따라서 내도록 기준을 변경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하여서 중앙관청에 물자를 조달하는 '공인'이라는 사람이 생겨났고 성장 하였다. 그리고 상업과 수공업도 발달하게 되었다. 이를 통하여서 이전에 비하여 국가의 안정을 되찾기도 하였다.
양난 이후에는 모병제가 일반화되고 양인장정들은 매년 2필의 군포를 내는 것으로 군역을 대신하기도 하였는데 군포가 과도하게 부과되는 경우가 많아서 농민의 부담이 늘어나기도 하였다. 또한 군포를 내지 않기 위해서 농민이 도망가거나 노비 또는 양반으로 신분을 바꾸는 일이 빈번하여서 농민들의 부담은 갈수록 커져만 갔다. 이를 계기로 균역법은 2필이던 군포가 1필로 변경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토지를 1결당 결작 2부를 부과하는 등으로 변경해주기도 하였는데...
참고 자료
전우용, 한국 회사의 탄생
갑오개혁(甲午改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사편찬위원회 ,신편한국사,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제2차 갑오개혁
조선토지제도 발달사 ( 근대편 ) ,허종호, 사회과학출판사
윤나경, ‘한글’이 공식 표기문자인 찌아찌아족 “한글 학교 환영해요”, KBS 뉴스, 2022.08.26.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42144
세종대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9857
오수열·채명희, 2014,「제1차 국·공합작의 과정과 실패원인에 관한 연구」,『한국동북아논총』70호.
나태종, 2010,「중국의 국공합작(國共合作)과 내전(內戰)에서 공산당의 승리요인 연구」,『동북아논총』5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