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의 기능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최초 생성일 2024.10.07
12,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도서관의 기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공공도서관과 국가의 역할
1.1. 도서관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1.2. 공공도서관의 사명과 목적
1.3.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2. 기능중심 도서관의 사례
2.1. 지역사회 연구지원센터 - 미국 뉴저지 프린스턴 공공도서관
2.2. 지역사회 역사의 계승 보존 - 미국 벤틀리 역사 도서관
2.3. 지역사회 역사의 계승 보존 - 고창군립도서관

3.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기능 및 활성화 방안
3.1. 이론적 배경
3.1.1. 지식기반사회의 교육
3.1.2. 교육정보화와 학교도서관
3.1.3. 학교도서관의 가치와 기능

4.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의 현 상황과 외국의 사례
4.1. 학교도서관의 현 상황
4.2. 외국의 사례

5. 학교도서관의 활성화 방안
5.1. 지자체와 교육행정의 연계·협력
5.2. 학교도서관 전담 인력의 보완 및 전문성 제고
5.3. 학교도서관 인프라의 지속적인 구축
5.4. 도서관 관련 산업의 육성

6. 국립중앙도서관의 기능과 발전 방향
6.1. 국립중앙도서관의 기능
6.1.1. 자료관리
6.1.2. 교육과 훈련
6.1.3. 정보서비스
6.2. 국립중앙도서관의 역할 변화
6.3. 국립중앙도서관의 발전 방안
6.3.1. 국가 문헌의 수집과 보존 강화
6.3.2. 홍보 강화
6.3.3. 전자책 서비스 활성화
6.3.4. 실시간 채팅 서비스 도입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공공도서관과 국가의 역할
1.1. 도서관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도서관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종합기관으로서 통시적(역사적), 그리고 동시적 커뮤니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소통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사회적 도구이다. 도서관과 사회와의 연관성은 정치, 법률, 경제, 사회문화, 교육, 예술, 국제관계 등 다양한 시각에서 조망할 수 있으며 사회적 기관으로서의 도서관의 역할 정립과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위한 개념적 기반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도서관은 시민들에게 풍부한 인간생활 및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의 발전을 촉구하고 국가와 민정의 번영에 기여한다. 도서관은 연령, 인종, 성별, 종교, 국적, 언어 또는 사회적 신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평등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무료로 운영되어야 하고 지역사회의 요구에 맞는 목표와 우선순위 및 봉사내용을 분명히 하고 효과적으로 전문화된 기준에 의해 운영되어야 한다. 도서관은 지역주민의 지식향상과 정보복지 구현을 위한 지식정보의 보고로서 정보이용, 문화 활동, 평생학습 증진 등을 통하여 정보기본권 신장과 지역사회의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 또한 지역주민이 지식정보에 자유롭고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민주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필요한 성숙된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자치의식을 함양하도록 하며, 지역간 정보격차를 해소함으로써 지식정보의 국가적 확산과 이용에 기여한다.


1.2. 공공도서관의 사명과 목적

공공도서관의 사명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공공도서관의 사명은 지역주민의 지식향상과 정보복지를 구현하기 위한 지식정보의 보고로서 정보이용, 문화 활동, 평생학습 증진 등을 통하여 정보기본권 신장과 지역사회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지역주민이 지식정보에 자유롭고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보편적 권리를 기본권으로 설정하고 보장하여 민주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필요한 성숙된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자치의식을 함양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공공도서관의 사명이다. 또한 법령의 제정 및 개정, 전략적 경영계획을 수립하고 도서관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활성화함으로써 지역주민이 다양하고 광범위한 지식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지역 및 계층 간 정보격차를 해소하여 지식정보의 국가적 확산과 이용에 기여하는 것이 공공도서관의 사명이다.

공공도서관의 목적은 다양한 정보자료, 시설공간,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지역주민의 정보이용, 문화 활동, 평생학습을 증진시켜 지역사회의 지식향상과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또한 개인 및 단체의 지식정보 요구와 다양한 정보원을 매개하는 지역사회의 지식정보센터가 되는 것이 공공도서관의 목적이다. 이와 더불어 지역주민에게 문화향수의 기회를 제공하고 각종 문화 활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문화예술행사를 주최 또는 후원하거나 시설과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 문화 생산 및 활용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공공도서관의 목적이다.


1.3.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은 크게 지역사회 정보센터, 교육지원센터, 지역사회 연구지원센터, 지역사회의 역사의 계승 보존, 지역사회 문화센터 등으로 볼 수 있다.

우선 지역사회 정보센터 기능은 지식정보자료를 축적하고 유효적절한 정보봉사를 통해 시민에게 다가가는 시민의 정보센터로서의 역할이다. 지역주민의 정보이용, 문화 활동, 평생학습 증진 등을 통하여 정보기본권 신장과 지역사회의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

교육지원센터로서의 기능은 시민의 평생교육을 위한 지역사회의 교육센터로서의 역할과 다양한 교육 자료와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을 통해 지역주민을 평생교육의 장으로 안내하는 중개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지역사회 연구지원센터로서의 기능은 대학원생과 연구원들을 위해 대학도서관이나 전문도서관이 수행하지 못하는 지역의 특수 연구 자료들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지역의 특성화된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

지역사회의 역사의 계승 보존 기능은 지역사회의 역사자료나 민속자료 등 향토자료를 발굴 보존하고 주민들이 이용하게 하여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계승, 보존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문화센터로서의 역할은 지역주민들의 문화에 대한 관심을 촉발하고 문화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이처럼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정보, 교육,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종합적인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기능중심 도서관의 사례
2.1. 지역사회 연구지원센터 - 미국 뉴저지 프린스턴 공공도서관

미국 뉴저지 프린스턴 공공도서관은 온라인으로 다양한 정보자원을 제공하며, 이용자가 찾기 쉽도록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 A에서 Z라는' 페이지로 구축해놓고 있다. 이 페이지에는 총 80개의 데이터베이스명을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프린스턴 공공도서관은 학술전문 데이터베이스인 엡스코(EBSCO)와 제이스터(JSTOR)를 구독하고 있어 전문적이고 고급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엡스코(EBSCO)의 경우 경제 관련 Business Source, 학술 연구 관련 Academic Search, 교육 자료 정보 센터 ERIC, 법률정보참고센터 Legal information Reference Center, 문헌정보관련 Library information Science & Technology Abstracts, 문학참고센터 Literary Reference Center, 군대와 정부 장서 관련 Military and Government Collection, 소기업관련 Small Business Reference Center, 교사들을 위한 정보센터 Teacher Reference Center 등 다양한 주제 분야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독하고 있다. 또한 뉴저지 주의 직업관련 정보 데이터베이스인 '뉴저지 커리어 커넥션', 직업관련 정보 안내센터인 '퍼거슨 직업 안내 센터', 직업과 경력 촉진에 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그 외에도 지역신문 아카이브인 '프린스턴 페이퍼', 소비자 보고서, 중·고등·대학교의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커리큘럼 리소스 센터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정보자원들도 포함하고 있다. 이처럼 프린스턴 공공도서관은 학술자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용적인 정보자원을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지역사회 연구지원센터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2. 지역사회 역사의 계승 보존 - 미국 벤틀리 역사 도서관

미국 벤틀리 역사 도서관은 1935년에 설립되어 미시간주의 역사와 사람들의 활동을 기록하고, 미시간 대학의 공식적인 문서보관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도서관은 미시간주의 역사를 담고 있는 인쇄문, 지도, 사진, 문서, 필사본 등을 소장하고 있으며, 후세대를 위해 자료를 보관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미시간주의 역사와 과거에 있는 사람들의 사용을 장려하는 것을 사업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곳은 희귀문서들을 다루기 때문에 가방은 소지하고 들어갈 수 없으며, 코트나 잠바와 같은 겉옷도 물품보관소에 맡겨야 한다. 벤틀리 역사도서관은 3층 서가이며, 직선 총 5만피트 길이의 공문서와 매뉴스크립트, 9만권의 인쇄물, 1백5십만점의 사진자료, 1만장의 지도, 60 테라바이트의 전자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소장자료들 대부분이 희귀자료이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들어갈수 없는 폐가식 서가이며, 대신에 레퍼런스 데스크의 직원이 대개 한사람당 1시간까지 이용자의 연구관련 자료 찾는 것을 도와주고 있다. 자료는 모든 연구자들에게 무료로 공개되지만 대출은 되지 않는다.

이처럼 벤틀리 역사도서관은 미시간주의 역사와 과거에 활동했던 사람들의 기록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보존하여 지역사회의 역사를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2.3. 지역사회 역사의 계승 보존 - 고창군립도서관

고창군립도서관은 고창의 역사와 문화에 관련된 자료 및 일반 자료를 수집·정리·보존하고 이를 주민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주민들에게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고문서 등의 향토 자료 수집 관리, 고창 지역의 선사 문화·판소리·동학농민혁명 등에 관한 자료 수집, 기증 도서에 관한 자료 정리 및 정보의 제공 등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고창군립도서관은 고창과 관련한 지역적 정보를 제공하고 문화 발전을 증진하기 위해 고창군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이다. 따라서 일반 공공 도서관과는 그 목적을 달리한다. 가장 큰 특징은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특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료들을 중점적으로 수집·정리·보존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지역적 연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 연구의 산실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기능 및 활성화 방안
3.1. 이론적 배경
3.1.1. 지식기반사회의 교육

지식기반사회의 ...


참고 자료

이경민.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4), 2003.12, 127-151 (25 pag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4(4), 2003.12, 127-151 (25 pages)
장덕현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4), 2014.11, 173-192 (20 p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4), 2014.11, 173-192 (20 pages)
이종권 ∙ 노동조(2014). 공공도서관서비스론. 서울 : 문현.
장덕현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4), 2014.11, 173-192 (20 p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4), 2014.11, 173-192 (20 pages)
http://blog.naver.com/zoe87/220899791624
프린스턴 홈페이지 https://www.princetonlibrary.org/
프린스턴 학술 데이터 베이스 https://www.princetonlibrary.org/explore/research/databases-a-z/
벤틀리 역사도서관 사진 copyright@Bentley Histonical Library. University of Michigan
고창군립도서관 http://lib.gccl.kr/index.sko
강명희(2000), 정보사회와 교육, 서울: 도서출판 열린배움지기.
김명수(1998), 교육정보화의 의의와 필요성, 학교경영 11월호.
김호영(1998), 학교교육 정보화를 위한 교사 연수프로그램,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진선(2004), 교육정보화에 따른 초등학교 도서관의 활성화 방안, 건국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홍석(2003), 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성과와 향후 과제, 교육인적자원부.
윤재풍(1991), 조직학원론, 서울: 박영사, p. 432.
이영탁(1999), 정기오, 정봉근 공저, 지식경제를 위한 교육혁명, 서울: 삼성경제연구 소, pp 250251.
차미경(2006), 도서관 활성화 2단계 대책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보고 CR 200628, 교육인적자원부.
최창호(2001), 지방정부기능론, 서울: 삼영사. p. 519.
한국도서관협회(2003), 한국도서관기준. p. 51
한윤옥(2000), 지식정보시대의 학교도서관 활성화정책개발.
교육인적자원부(2000), 교육정보화백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문화체육관광부(2010), 국민 독서실태 조사.
매일경제지식부(2000), 학습혁명보고서,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통계청(2011), 교육통계연보.
통계청(2011), 학교도서관 현황.
한국도서관협회(2010), 한국도서관연감.
곽동철, “국립중앙도서관의 사명과 역할 수립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 권, 제3호, p. 207-208, 2004
독서신문, 2011년 2월 5일자
이용훈 외 20인, 사서가 말하는 사서, 부키, 서울, 2012
이은철, “국립중앙도서관의 발전과 새로운 역할의 모색”, 人文科學, 제30권, 제1호, pp.101-122, 2000
장혜란, “디지털 참고봉사의 이용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4호, pp. 215-228, 2004
정진한, “대학도서관 전자책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대학원, 대구, pp. 119, 2009
주제정보과 디지털참고봉사 협력네트워크 구축 연구팀, “해외 협력형 디지털 참고봉사 사 례조사”, 도서관, 61권, 1호, pp.115-164, 2006
한상일 외, “국립중앙도서관의 서비스품질과 그 효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도서관정 보학회지, 제42권, 제1호, pp.295-311, 2008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