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학과 면접 질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연구의 이해
1.1. 연구의 개념과 목적
1.2. 연구 분류의 기준
2.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2.1. 양적 연구의 특성
2.2. 질적 연구의 특성
2.3.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차이
2.4.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통합
3. 양적 연구의 사례
3.1. 2018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4. 질적 연구의 사례
4.1. 실업자들에 대한 면접 사례
5. 창의적 사고와 질문
5.1.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대학의 기발한 질문
5.2. 생각의 힘을 기르는 질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이해
1.1. 연구의 개념과 목적
연구는 일련의 방법을 체계적으로 활용해서 주요 이슈에 대한 타당하고 신뢰도 있는 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활동을 의미한다. 연구의 목적은 현상의 다양한 측면에서 관련된 정보나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수집 또는 분석하여 타당하고 일반화가 가능한 결론을 도출하고 예측, 처방, 설명하는 것이다. 기술연구는 현상을 디테일하고 주의깊게 구체적으로 관찰하거나 측정하는데 집중하며, 예측연구는 하나의 시점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미래의 행동과 일을 예측하는 데 집중한다. 그리고 실험연구는 특정한 현상을 통제하거나 개선하는 능력이 있는지 대하여 집중한다. 이처럼 연구는 현상에 대한 이해와 설명, 예측, 변화 추구 등의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방법론을 활용한다고 할 수 있다.
1.2. 연구 분류의 기준
연구 분류의 기준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류이다. 현상의 다양한 측면에서 관련된 정보나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수집 또는 분석하여 타당하고 일반화가 가능한 결론을 도출하거나 예측, 처방, 설명하는 활동으로서 기술연구, 예측연구, 실험연구로 나뉜다. 기술연구는 현상을 상세하고 주의 깊게 구체적으로 관찰하거나 측정하는 데 집중하며, 예측연구는 한 시점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해 미래의 행동과 사건을 예측하는 데 집중한다. 그리고 실험연구는 특정 상황에서 현상을 통제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둘째, 연구결과와 현상의 직접적 적용 가능성에 따른 분류이다. 이론 검증과 현상 간 관계에 관한 연구인 기초연구, 실제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는 응용연구, 실제 적용 시의 가치와 장단점을 확인하는 평가연구로 구분된다.
셋째, 연구수행을 위해 활용하는 방법에 따른 분류이다. 귀납적 방법인 질적연구와 연역적 방법인 양적연구로 나눌 수 있다. 질적연구는 현상학, 해석학, 자연주의 이론에 기반하여 구성된 실재, 행동의 유연성과 역동성, 인간 의도의 중시 등을 전제로 하며, 양적연구는 논리실증주의에 근거하여 객관적 실재, 행동의 규칙성, 변인 통제와 측정 가능성 등을 기본 가정으로 한다.
2.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2.1. 양적 연구의 특성
양적 연구는 논리실증주의에 기반한 연역적 방법으로, 통계를 활용하여 주로 수치 및 측정, 실험, 수량관계를 밝히는데 초점을 맞춘다. 양적 연구는 행동주의, 논리실증주의를 이론적 근거로 하며,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에서 주로 사용된다. 양적 연구는 객관적 실재, 행동의 규칙성, 기계론적인 관점, 외부자적 관점, 기계론적 관점, 변인에 대한 통제와 측정 가능, 연구방법에 대한 우선권을 기본 가정으로 한다....
참고 자료
김형철, Yun, Jong-Rok, Song, Chungh-Wanl. (2016). 일터학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 · 양적연구.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 458-487.
이남인. (2012).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구별에 대한 현상학적 해명. 현상학과 현대철학, 55(), 151-185.
[2018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가구 소득 높을수록 사교육 지출 높아, 김주찬, 파이에듀뉴스,
2019.03.12, http://www.pie-news.com/news/article.html?no=7391
송영흠, “사회복지정책의 관점에서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의 장・단점 비교 연구”, 2011
정연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강의록”,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