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기업의 근본적 목표: 생존과 이윤 창출
기업은 자본주의 사회에 있어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생산 경제의 단위체이다. 기업의 가장 근본적 목표는 기업 그 자체의 생존이며, 두 번째 목표는 이윤의 창출이다. 즉, 기업은 현재가치를 극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업이 존재하는 이유는 경제 행위에 필요한 자본, 노동, 토지, 경영을 구분하여 생산 활동을 이루어내는 경제 주체이기 때문이다. 이때 기업의 근본적 목표는 기업의 지속적인 생존과 이윤 창출이다. 코로나 사태와 같은 위기 상황 속에서도 기업들은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생존과 이윤 창출을 해내고 있다.
1.2. 가격 전략의 중요성
가격 전략의 중요성"은 기업이 생존과 이윤 창출이라는 근본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매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기업은 생산한 제품을 어떤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판매하느냐에 따라 매출액과 이윤이 결정되므로, 합리적인 가격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
특히 코로나19 사태와 환율 변동 등의 위기 상황에서 기업들은 가격 전략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가격을 효과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가격이 비탄력적인 필수재의 경우 가격을 인상하여 총수입을 늘릴 수 있지만, 가격이 탄력적인 사치재의 경우 가격을 인하하여 총수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처럼 기업은 상품의 수요 가격탄력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가격 전략을 세워야 한다.
따라서 "가격 전략의 중요성"은 기업의 근본적 목표인 생존과 이윤 창출을 달성하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3.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이 생산한 제품의 가격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총수입과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이 합리적인 가격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총수입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따라 기업이 가격을 인상해야 할지, 인하해야 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업이 처한 시장환경과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격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실무적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2. 기업의 총수입 개념
2.1. 총수입의 정의와 계산법
총수입이란 서비스나 재화의 공급자가 생산물의 판매로 인하여 얻는 모든 수입을 의미한다. 기업의 총수입은 제품의 판매가격과 판매량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총수입(TR)은 가격(P)과 판매량(Q)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어 TR = P × Q로 표현된다.
이때, 완전경쟁시장에 속한 기업은 가격 수용자의 입장이므로 자사의 판매량에 따라 수입이 결정되지만, 독점기업이나 과점기업의 경우에는 가격 결정자의 입장이므로 자사의 가격 설정에 따라 수입이 결정된다. 따라서 기업은 자사의 시장 지배력과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고려하여 가격을 결정하고 총수입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2.2.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에서의 총수입
완전경쟁시장에서는 개별 기업이 가격 수용자(price taker)의 역할을 하며, 시장가격에 따라 수량을 결정하게 된다. 이 경우 기업의 총수입은 가격과 판매량의 곱으로 계산되며, 개별 기업은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가격을 낮추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은 가격을 내릴수록 판매량이 늘어나므로 총수입도 증가하게 된다.
반면에 독점시장에서는 독점기업이 가격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