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시계반응 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시계 반응
1.1. 실험 목적
1.2. 실험 원리
1.2.1. 시계 반응
1.2.2. 아이오딘 녹말 반응
1.2.3. 반응 속도
1.2.4.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2.5. 수화물
1.3. 실험 기구 및 시약
1.4. 실험 과정
1.5. 실험 결과
1.5.1. 몰농도 계산
1.5.2. 실험 결과
1.5.3. 결과 계산
1.6. 고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시계 반응
1.1. 실험 목적
시계 반응을 이용해서 반응 속도의 차이가 큰 반응 단계가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화학반응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 원리
1.2.1. 시계 반응
시계 반응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용액의 색깔이 변하는 특징을 가진 화학 반응이다. 이 반응은 느리게 진행되는 첫 번째 반응에서 생성된 화합물이 빠르게 진행되는 두 번째 반응에 의해 빠르게 없어지게 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어 두 번째 반응에 필요한 반응 물질이 모두 소모된 후에는 첫 번째 반응의 생성물이 용액 속에 남게 되어 용액 속에 녹아있는 지시약의 색깔을 변화시키게 된다.
이 실험에서는 과산화이황산 이온(S2O82-)으로 요오드화 이온(I-)을 산화시키는 반응을 이용한 시계 반응을 살펴보고, 이 반응 속도 상수를 결정한다. I-가 산화되어 만들어진 요오드화(I2)는 용액 속의 I-와 결합해서 I3-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용액 속에 들어있던 I-가 모두 없어지고 나면 첫 번째 반응에서 만들어진 I2는 지시약으로 넣어준 녹말과 결합해서 진한 청색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시계 반응을 통해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예를 들어 농도, 온도, 촉매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특히 반응물의 농도 변화에 따른 반응 속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반응 차수를 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체 반응이 2차 반응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1.2.2. 아이오딘 녹말 반응
아이오딘 녹말 반응은 녹말이 요오드로 인해 청자색으로 발색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반응은 옛부터 알려져 왔으며, 반응 기구에 대해서는 19세기 말부터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이오딘 녹말 반응은 매우 예민한 발색 반응의 하나로, 미량의 요오드 또는 녹말의 검출에 사용되며, 특히 요오드 적정법의 종말점을 지시하는 것으로 여러 분석에 널리 이용된다. 발색은 미산성 용액 중에서 가장 예민하여 10-5M 정도의 요오드를 검출할 수 있지만, 알칼리성에서는 발색이 미약해진다. 또한 용액을 가열하면 발색이 사라지고, 냉각하면 다시 나타난다.
발색의 색조는 녹말의 구조와 분자량에 관계한다. 글루코오스의 노르말 사슬 모양 중합체인 아밀로오스에서는 순청색을 띠고, 흡수의 극대는 660mμ, 투과와 반사율의 극대는 420~430mμ 부근에 있는데, 글루코오스 연쇄의 노르말 사슬 부분이 짧아질수록 극대는 단파장 쪽으로 이동한다. 분지상 중합체인 아밀로펙틴에서는 보라색, 찹쌀 녹말에서는 적색, 글리코겐에서는 갈색이 된다. 또한 녹말을 가수 분해하면 분자량의 감소에 따라 청색에서 보라색, 적색, 갈색, 무색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이 반응은 녹말의 가수 분해 정도의 판정이나 아밀라아제 활성의 측정 등에 이용할...
참고 자료
Cabasan, R. 2015, 'CHEMICAL KINETICS: THE IODINE CLOCK REACTION', viewed 29 Apr, 2019, .
Chemistry 2 LABORATORY MANUAL, 2019, UTS.
Preece, S.J., Billingham, J. & King, A.C. 1999, 'Chemical Clock Reactions: The Effect of Precursor Consumption
', .
Reza, A., Hamidreza, M. & Deen, M.J. 2017, 'Technique to estimate human reaction time based on visual perception', vol. 4, viewed 28 Apr, 2019, .
[時計反應, clock reaction, Uhrreaktion] (화학대사전, 2001. 5. 20., 세화 편집부)
(화학대사전, 2001. 5. 20., 세화 편집부)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8795&cid=40942&categoryId=32252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2007. 12. 15., 한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