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NSTEMI 간호과정 사례 연구 A 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문헌고찰
2.1. 허혈성 심장질환의 정의
2.2.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유형
2.3. 비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NSTEMI)의 병태생리
2.4. NSTEMI의 임상적 특성
2.5. NSTEMI의 진단검사
2.6. NSTEMI의 치료
2.7. NSTEMI 간호
3. 대상자 정보 및 간호력 사정
3.1. 대상자 일반정보
3.2. 건강력 및 과거력
3.3. 진단검사 결과
4. 간호과정
4.1. 불가역적인 괴사에 의한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4.2. 질환에 의한 심근수축력 감소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4.3. 만성적인 신체기능감소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허혈성 심질환은 산업화 사회에 대두 되고 있는 질환이며 WHO에 의하면 1999년에 1,700만명이 허혈성 심질환으로 사망하였으며, 심근경색의 경우 30일 사망률이 30%에 달한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불안정형 협심증과 함께 죽상반 파열 혹은 관상동맥 혈전을 공통적 병태생리로 하는 질환군인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에 속한다. 최근 급성 관동맥 증후군은 그 진단과 치료 면에서 큰 발전을 보인 분야로서, 일차적 관상동맥 성형술이 급성 심근경색증의 기본적 재관류 치료로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혈전용해제,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지질강하제 등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발전을 불러왔다. 본원 내원한 환자는 NSTEMI로써 NSTEMI는 심혈관계 질환으로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우리나라 응급실에 많이 방문하는 케이스중 하나이다. 해당 질환은 초기 응급처지와 치료하는 시간에 따라 예후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1.2.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NSTEMI(비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의 사례 연구를 통해 NSTEMI의 병태생리, 임상적 특성, 진단검사, 치료 및 간호 전반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는 것이다""
NSTEMI는 심혈관계 질환으로 우리나라 응급실에 많이 방문하는 중요한 케이스 중 하나이다. 이 질환은 초기 응급처치와 치료하는 시간에 따라 예후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NSTEMI가 어떤 이유로 발생하는지 공부하고, 해당 병태생리를 통해 환자에게 진정하게 필요한 간호는 무엇인지 깊이 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허혈성 심장질환의 정의
허혈성 심장질환은 심장 혈관의 좁아짐 또는 막힘으로 인해 심장근육이 충분한 혈액 공급을 받지 못하는 질환을 말한다. 이는 크게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으로 구분된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부분적이고 일시적인 차단으로 인해 심장근육이 혈액 공급을 충분히 받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로 인해 흉통 등의 증상이 발생하지만 심근조직의 괴사는 일어나지 않는다. 휴식이나 질산염제제 투여 등으로 증상이 완화되는 특징을 가진다.
반면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 해당 심근조직이 비가역적 손상을 입는 상태를 말한다. 이로 인해 심근조직이 괴사하게 되며, 이는 곧 심근의 기능 저하로 이어진다. 대부분의 경우 급성으로 발생하여 심한 통증과 위험한 부정맥 등이 동반된다.
이처럼 허혈성 심장질환은 심장에 혈액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총칭하는 개념으로,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이 대표적인 질환이다.
2.2.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유형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유형은 불안정형 협심증,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STEMI), 그리고 비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NSTEMI)로 나뉜다.""
첫째, 불안정형 협심증은 죽상경화반의 파열이나 미란으로 인해 혈전이 생성되어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 막히는 경우이다. 이로 인해 심근으로의 혈액공급이 일시적으로 감소하여 흉통이 발생하지만, 심근괴사가 동반되지는 않는다.""
둘째,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STEMI)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폐쇄되어 심근으로의 혈액공급이 중단되고 심근이 괴사되는 경우이다. 이 때 심전도 상에서 ST분절의 상승이 관찰된다.""
셋째, 비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NSTEMI)은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심근으로의 혈액공급이 감소하고 국소적인 심근괴사가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 때 심전도 상에서 ST분절의 하강이나 T파 역전 등의 변화가 관찰된다.""
이처럼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은 관상동맥의 폐쇄 정도에 따라 증상과 예후가 다르게 나타나며, 이에 따른 진단과 치료 방법도 달라진다.""
2.3. 비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NSTEMI)의 병태생리
비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NSTEMI)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 심근조직이 비가역적...
참고 자료
현문사 성인간호학(상), 황옥남 외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건강을 읽다] 돌연사 80~90%가 급성심근경색,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9021510585988500
심근경색 사망자수 ‘주춤’, 심부전 사망은 3배 ‘급증’, 헬스조선 이금숙 기자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21/2016032101221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 - 심근경색 관련 내용 참고 - 심근경색 관련 이미지 참고 - 약물관련 내용 참고
Pacific Book, 2017년 대비 PACIFIC KNLE ZIP, Pacific Book - 허혈성 심장 질환 관련 내용 참고
양성희 외 공저(2014), 기본간호학1, 2, 현문사 - 간호중재 참고
김희경 외 공저(2016), 성인간호학1 상, 현문사 - 전해질 수치 정상범위 및 의의 - 간호중재 참고
오혜경 외 공저, JMK, 제 2판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 간호진단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