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리적소진 문헌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프리셉터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2.1. 프리셉터의 소진
2.2. 프리셉터 소진의 영향 요인
2.2.1. 프리셉터의 직무 스트레스
2.2.2. 프리셉터의 업무 부담
2.2.3. 프리셉터의 핵심역량
3. 연구 방법
3.1. 연구 설계
3.2. 연구 대상
3.3. 연구 도구
3.4.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3.5. 자료 분석 방법
3.6. 연구의 윤리적 고려
3.7. 연구의 제한점
4. 연구 결과 및 논의
4.1. 프리셉터의 핵심역량과 업무 부담 및 직무스트레스, 소진
4.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
4.3. 프리셉터 소진에 대한 변수들의 상관
5. 연구의 적용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간호인력의 이탈은 환자에게 양질의 간호 제공을 위협한다. 병원간호사회(2016)의 보고에 따르면 간호사 전체의 평균 이직률이 2014년 12.6%, 2015년 12.4%로 감소하였으나, 신규간호사의 이직률은 2014년 33.5%, 2015년 33.9%로 증가하는 추세로 신규간호사의 이탈을 막기 위한 효율적인 인력관리가 필요함을 나타낸다. 프리셉터 제도는 처음 임상현장으로 투입되는 신규간호사에게 업무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하도록 하여 간호업무역량을 갖추도록 한다(류언나 외, 2001). 이러한 프리셉터십 과정을 통해 신규간호사는 학교에서 이론으로만 배우던 간호를 실제 현장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직접 보고 배운다. 하지만, 프리셉터 간호사는 신규간호사의 교육에 대한 책임과 관련된 부담감, 간호 업무이외의 교육적 업무 가중, 충분한 역할 수행을 위한 행정적, 제도적 체계의 미흡함 등으로 인하여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어 오히려 직무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소진은 반복되는 정서적 압박과 스트레스의 결과로 개인이 더 이상 업무스트레스를 감당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탈진 반응으로,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떨어뜨리고 간호서비스의 질적 저하와 높은 이직을 초래한다(배지현 외, 2021).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리셉터 간호사의 핵심역량과 직무스트레스, 프리셉터의 소진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프리셉터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프리셉터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2.1. 프리셉터의 소진
프리셉터의 소진은 스트레스를 더 이상 감당하지 못할 때 나타나는 업무 스트레스의 한 반응의 형태로서 부정적인 자아개념, 업무에 대한 관심의 소실 및 업무태도 등의 현상을 포함하는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탈진 증후군을 의미한다"". 프리셉터는 신규간호사의 이해와 사회화를 촉진하는 역할 모델로, 제한된 시간 동안 신규간호사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고 신규간호사를 가르치고 상담하는 업무를 수행하지만, 과도한 업무 부담이 가장 큰 문제로 인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새롭게 추가되는 역할 변화, 반복적 상황의 노출 및 업무 시간의 지연으로 신체적,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소진은 개인의 반복되는 정신적 압박의 결과로 오랫동안 깊은 대인관계에서 지속적으로 받는 정서적, 신체적, 정신적 탈진 및 고갈 상태의 반응이며, 과도한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의 반응으로 정서적 피로, 상실감, 개인적 성취감 감소를 일으켜 점차적으로 업무를 완전히 수행하지 못하게 하는 증후군이다"".
2.2. 프리셉터 소진의 영향 요인
2.2.1. 프리셉터의 직무 스트레스
프리셉터의 직무 스트레스는 프리셉터가 프리셉터 역할을 하면서 직무 긴장, 심리적 긴장, 대인관계 긴장, 신체적 긴장으로 인한 부담을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프리셉터는 신규간호사의 교육에 대한 책임과 관련된 부담감, 간호 업무 이외의 교육적 업무 가중, 충분한 역할 수행을 위한 행정적, 제도적 체계의 미흡함 등으로 인하여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어 오히려 직무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는 간호사의 업무 생산성 및 효율성의 저하를 가져오고, 계속적이고 반복적인 경험을 하게 되어 해소하지 못하면 결국 소진에 이르게 된다. 직무 스트레스 관련 연구에 따르면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환자에게 행해지는 간호의 질을 떨어뜨리고,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환자에게 안전사고가 더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프리셉터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2.2.2. 프리셉터의 업무 부담
프리셉터는 프리셉터십 기간 동안 자신의 업무가 줄지 않은 상태에서 프리셉터 역할을 하게 되어 업무 부담감을 느끼고, 근무시간 동안 프리셉티에게 간호업무에 대한 설명을 반복적으로 시행하고 휴무 날에도 교육자료를 정리하는 등 업무량 증가로 힘겨움을 호소한다"는 것이다. 프리셉터는 기존 자신의 업무를 하면서 신규간호사를 교육하는 업무가 추가되어 수행 업무가 과중되는 압박감, 책임감과 스트레스, 준비부족, 소진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셉터를 경험한 간호사들은 프리셉터 교육방법의 차이로 인한 갈등, 역할정체성 미확립, 프리셉터로서의 역량부족, 교...
참고 자료
Kim SJ.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of preceptor nurses [master's degree in nursing]. [Suwon-si]: AJOU University;2016.
Kim JS. Effects of Job Stress and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receptor Nurses [master's degree in nursing]. [Cheongju-si]: CHUNGBUK National University;2023.
An SR (2016). The research on the job stress and quality of nursing service of one upper level general hospital. Public Health Management and Policy.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067914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6). 2016 Hospital nurses staffing state survey-[internet].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Hong KS. Qualitative Study on Burnout Experience of Preceptor Nurse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020;43(6):1239-1254. http://dx.doi.org/10.22143/HSS21.11.6.88.
Hyun SJ. Moderating of job satisfaction of preceptor and preceptee nurses regarding job stres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burn out :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2017.
Lee SY. Factors job commitment of preceptor nurse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of Korea;2022. 77p.
Kim Na-ri, Effect of Preceptor-New nurses Exchange 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new nurses [master's thesis]. [Busan]: University of donga; 2016. 54p.
사회복지 조직관리, 저자 신준섭, 출판 양서원(박철용), 2021.05.01.
사회복지기관 직원의 동기부여 : 소진(Burnout)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김상환,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01, p84
김세은. "사회복지사의 역할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추주형.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김미영. "사회복지사의 직무요구, 직무스트레스, 직무불안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목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김정민.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 및 조직수준 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총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권선덕. "사회복지사의 소진실태 및 소진요인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김년희.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조직 내적 요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박지혜.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