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지역사회정신건강문제점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사회정신건강문제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 현황과 문제점
1.1.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개념
1.2.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사업의 개념
1.3. 국내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 현황 및 문제점
1.3.1. 추진방향
1.3.2. 기본원칙
1.3.3. 주요 정신건강 유병률 및 정신보건 시설 현황
1.3.4. 문제점
1.4. 미국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 현황 및 문제점
1.4.1. Healthy People 2020 프로젝트
1.4.2. 문제점

2. 정신사회재활의 이해
2.1. 정신사회재활의 개념
2.2. 정신사회재활의 기본원리

3. 국내 정신사회재활의 현황 및 문제점
3.1. 국내 현황
3.2. 문제점

4. 미국의 정신사회재활의 현황 및 문제점
4.1. 현황
4.2. 문제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 현황과 문제점
1.1.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개념

지역사회 정신건강간호는 일정지역 내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의 증진, 정신질환의 예방과 조기발견, 치료 기간의 단축, 조기퇴원과 사회복귀의 촉진, 중증정신질환자의 재활 등을 목표로 하는 모든 간호활동을 의미한다. 지역사회 정신건강은 1793년 Pinel이 인도주의 정신에 입각하여, 1950년대 이후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정신질환자 개인을 대상으로 격리와 수용을 전제로 하는 입원치료 중심에서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예방, 치료와 재활에 초점을 두는 새로운 치료적 전략이며 철학이다.


1.2.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사업의 개념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사업은 정신건강과 관련된 지역사회에서 행해지는 모든 형태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정신건강복지법에 따르면, 정신건강 관련 교육 · 상담, 정신질환의 예방 · 치료, 정신질환의 재활,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 · 교육 · 주거 · 근로환경의 개선 등을 통하여 국민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사업으로 정의된다. 즉, 정신질환자를 포함한 전 주민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예방, 조기발견, 치료 및 치유, 재활 및 사회복귀에 이르는 전 과정에 개입하는 프로그램, 사업, 정책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1.3. 국내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 현황 및 문제점
1.3.1. 추진방향

국가 정신건강증진사업은 마음이 건강한 사회, 함께 사는 나라에 비전을 두고, 코로나19 심리방역을 통한 대국민 회복탄력성 증진, 전 국민이 언제든 필요한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조성, 정신질환자의 중등도와 경과에 따른 맞춤형 치료환경 제공, 정신질환자가 차별 경험 없이 지역사회 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 약물중독 · 이용장애 등에 대한 전제적 관리체계 마련, 자살충동 · 자살 수단 · 재시도 등 자살로부터 안전한 사회 구현을 정책목표로 하고 있다.


1.3.2. 기본원칙

국가 정신건강증진사업의 기본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 증진과 예방, 환경조성을 강조한다. 정신건강증진사업은 전 국민의 생애주기별 정신건강증진, 예방과 대응역량 강화, 사회적 환경개선 등을 목표로 하여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한다. 단순히 정신질환자에 국한된 서비스 제공이 아니라 전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추구한다.

둘째, 지역사회 인프라 강화-정보시스템-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서비스 접근성을 확보한다.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지역별 특성에 맞는 인프라와 시설, 전문인력 등의 확충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지역 내 정보시스템을 고도화하고 보건-복지-교육 등 유관 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국민들이 필요한 때 적시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국가 정신건강 증진사업의 리더십을 강화한다. 정신건강증진사업은 범부처 차원의 협력과 지자체와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가 차원의 정신건강 정책 수립 및 총괄 관리 기능을 강화하여 통합적이고 효과적인 사업 추진체계를 마련한다.

넷째, 정확한 정보와 근거를 기반으로 정신건강정책 사업을 수행한다. 정신건강증진사업의 기획 및 수행에 있어 국가통계, 실태조사, 연구 결과 등 근거 중심의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또한 사업 성과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한다.

이와 같은 원칙에 따라 국가 정신건강증진사업은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1.3.3. 주요 정신건강 유병률 및 정신보건 시설 현황

2011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모든 정신장애의 1년 유병률은 16.0%로 18세 이상 74세 이하 성인 중 최근 1년간 한 번 이상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이 전체 인구의 16.0%에 해당하는 577만 명으로 나타났다. 2011년 6월 현재 전국 정신보건 시설 및 기관은 1,718개로, 정신보건센터 164개, 정신의료기관 1,273(국공립 18개 포함), 정신요양시설 59개, 사회복귀시설 255개, 알코올 상담센터 43개가 있다. 정신보건센터는 지역사회 내 정신질환 예방, 정신질환자 발견·상담·사회복귀훈련 및 사례관리, 정신보건시설 간 연계체계 구축 등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기획·조정 등을 담당하고, 정신의료기관은 정신질환자치료, 정신요양시설은 만성 정신질환자 요양·보호를, 사회복귀시설은 병원 또는 시설에서 치료·요양 후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훈련을 실시하고, 알코올 상담센터는 알코올중독 예방, 중독자 상담·재활훈련 등을 담당하고 있으나 전체 유병률에 비해 시설 및 기관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1.3.4. 문제점

국내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건강지표의 부재이다. 한국의 정신건강을 나타낼 수 있는 정신건강지표가 미미한 실정이며, 실제 정신보건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노력도 단편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정신보건 분야 통계지표는 정신질환자 역학조사와 장애인 실태조사 중 일부 정신장애인에 대한 자료, 국...


참고 자료

CDC, Healthy People 2020: Legal and Policy Resources Related to Mental Health and Mental Disorders, Publich Health Professionals Gateway; Public Health Law, 2023.06.04.
Healthypeople government. Healthy People 2020. 2023.06.04. https://www.healthypeople.gov/
Healthypeople government. Healthy People 2030. 2023.06.04. https://www.healthypeople.gov/
국가 인권 위원회 (2016). 정신장애인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해외사례 비교연구 실태조사
국립정신건강센터. 의료부. 정신사회재활센터. 2023.06.04.http://ncmh.go.kr/kor/board/snmhHtmlView.jsp?no=1220&menu_cd=K_06_08_01_00_00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6). 건강보험통계연보(opendata.hira.or.kr)
권태연, 강상경 (2006). 미국의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정신재활서비스의 소비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 한 연구.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24, 5-35
김정진. ‘미국의 정신보건제도의 개혁방안에 관한 고찰’에 대한 토론
보건복지부(2017). 2017 정신건강사업안내 p.198 ‘정신보건법 시행규칙 제10조의2’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2018 전국 정신건강관련 기관 현황집
보건복지부. <2019년 정신건강사업안내>
보건복지부(2022). 2022년 정신건강사업 안내. p.3-4
사회복지학사전(2009). 사회 심리적 재활 [psychosocial rehabilitation]. 네이버 지식백과.
서원선; 정신장애인을 위한 미국의 재활서비스 (2015.08.26.)
전진아 외 2인. 정신건강증진사업의 현황과 최근의 정책적 변화. 2016.2
전진아 외 7명(2017).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연계 현황과 개선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회
이영문(2009). <한국 정신사회재활프로그램의 현황과 미래>
이 철(2018). 정신건강현황 4차 예비조사 결과보고서. 국립정신건강센터 (2017년 12월 31일 기준)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