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혈액투석 환자 식이요법
1.1. 단백질 섭취량
혈액투석 환자의 단백질 섭취량은 매우 중요하다. 혈액투석을 하면 단백질이 손실되므로 단백질 섭취를 적절히 유지해야 한다. 단백질을 지나치게 제한하면 빈혈이나 영양실조를 초래할 수 있지만, 과다 섭취하면 노폐물 상승과 요독증을 유발할 수 있다.
혈액투석 환자의 1일 단백질 필요량은 체중 60kg 기준 60~70g 정도로 알려져 있다. 질 좋은 단백질원으로는 고기, 생선, 계란, 두부, 콩, 우유 등이 권장된다. 단백질 섭취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단순히 양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양질의 단백질을 적절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혈액투석 환자는 단백질 섭취 시 균형잡힌 식단을 유지하고, 단백질 섭취량을 의사 및 영양사와 상의하여 개인의 상태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단백질 섭취량을 적절히 유지함으로써 영양 균형을 도모하고,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1.2. 염분(나트륨) 섭취 제한
혈액투석 환자의 염분(나트륨) 섭취를 제한하는 이유는 과량의 염분 섭취가 혈압 상승, 갈증 유발, 과량의 수분 섭취와 체중증가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염분 제한은 고혈압을 개선시키며, 갈증을 막아 과량의 수분 섭취와 체중증가를 막을 수 있다.
부종이 나타나고 고혈압이 심한 경우에는 1일 염분 섭취를 5g 이하(나트륨 2,000mg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권장된다. 주요 주의 식품으로는 김치류, 젓갈류, 장아찌류 등의 염장식품, 건어물류, 조개류 등 식품 자체에 염분이 많은 음식, 어묵, 치즈, 베이컨, 버터, 햄, 케첩, 마요네즈, 통조림 등의 가공식품, 패스트푸드, 인스턴트식품, 화학조미료, 베이킹파우더 등이 있다.
이러한 염분이 많은 식품의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여러 반찬 중 1-2가지만 간을 하거나 향신료를 사용하고, 레몬, 식초, 설탕 등으로 조리하며, 국물 음식이나 찌개의 국물은 주의해서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1.3. 수분 섭취 제한
혈액투석을 하면 소변량이 감소되거나 거의 무뇨상태가 됩니다. 소변량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을 마시게 되면 부종에 의하여 체중이 증가되고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됩니다. 또한 과다한 체중증가 시는 투석을 통해 많은 양의 수분을 빼주어야 하므로 혈압 강하나 근육경련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액투석 환자는 수분 섭취를 제한해야 합니다. 수분 허용량은 전일 소변량 +500ml정도로 제한합니다. 수분 종류로는 물, 얼음, 주스, 아이스크림, 국, 청량음료 등이 있습니다.
수분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먼저 음식을 싱겁게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갈증이 있을 때는 얼음을 입에 넣고 천천히 녹여서 먹거나, 살짝 얼린 레몬 조각에 설탕을 묻혀서 입안에 넣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허용된 양의 과일을 차게 하거나 얼려서 먹을 수 있으며, 차가운 물로 입을 헹군 후 뱉는 것도 방법입니다. 실내의 습도를 높여서 건조하지 않게 유지하고, 국물보다는 건더기를 위주로 먹으며 한 번에 많이 마시지 말고 여러 번에 나눠서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처럼 혈액투석 환자는 수분 섭취를 적절히 제한하고,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갈증을 해소하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과도한 체중증가와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1.4. 칼륨 섭취 제한
칼륨의 섭취를 제한하는 것은 혈액투석 환자에게 필수적이다. 칼륨의 배설은 대부분 신장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혈액투석 환자의 경우 소변량이 감소하거나 거의 없기 때문에 칼륨이 배설되지 못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