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골관절염의 정의와 역학
1.1. 골관절염의 정의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은 관절염의 가장 흔한 형태로, 활막관절의 만성적이고 진행성인 비염증성 관절질환이다. 이는 관절 연골의 국소적 변형으로 시작하여 점차 퇴행성 변화를 보이며, 연골하골의 비대와 활액막의 이차적 염증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전신적인 증상 없이 국소적인 증상이 초래된다."
1.2. 골관절염의 발병률과 유병률
하나 이상의 관절에서 관절염을 보이는 빈도는 15~44세에서는 5%미만, 45~64세에는 25~30%, 65세 이상에서는 60% 이상(일부 인구에서는 90%)의 유병률을 보인다. 증상이 있는 골관절염의 경우 60세 이상의 남성에서 9.6%, 여성에서는 18%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외국의 보고에 의하면 슬관절에서 45세 이상의 경우 19.2%에서 27.8%까지 방사선학적으로 관찰되는 골관절염이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특정지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중 38.1%에서 슬관절의 방사선학적 골관절염이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여 외국과 비슷한 빈도를 보고 한 바 있다. 수부에 발생한 골관절염은 45세 이상의 약 27.2%에서 발생하였다고 보고한바 있으며, 고관절의 경우 45세 이상의 약 27%에서 골관절염이 발생하였다고 보고되고 있다.
1.3. 연령 및 성별에 따른 골관절염 발병률
연령 및 성별에 따른 골관절염 발병률은 다음과 같다.
골관절염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병률이 높아지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55세 이상 성인의 80%가 방사선학적으로 골관절염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50대에는 4.7%, 60대에는 14%, 70대에는 26%의 유병률을 보인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에서는 남성의 9.2%, 여성의 34%의 유병률이 나타났다.
젊은 층에서는 남성의 발병률이 더 높지만, 50세 이상에서는 오히려 여성의 발병률이 2배 가량 더 높게 나타난다. 이는 폐경기 이후 여성의 에스트로겐 수준이 감소하면서 골관절염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골관절염은 노령화 사회일수록 그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질환이며,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 이후 더욱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 골관절염의 병인
2.1. 원발성 골관절염
원발성 골관절염은 특별한 기질적인 원인이 없는 경우에 속하며, 나이,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 특정 관절 부위 등이 선행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원발성 골관절염은 일반적으로 55~65세 사이에 85% 정도 나타나며, 남녀별로 특별한 차이는 없으나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에게 더 많고 정도가 더 심하다. 약간의 유전성 경향은 있으며 비만인이 정상인보다 두 배 정도 많고 주로 체중부하 관절에 나타난다. 흔히 이환되는 관절은 체중부하와 압력을 받는 요추부, 고관절, 슬관절 그리고 발의 무지 중족족지관절 등이다. 그리고 관절 내에서도 일정 부위, 즉 예를 들면 슬관절 내에서는 내측 대퇴-경골관절과 슬개-대퇴관절이 잘 침범된다. 여성의 경우 수지의 원위 지간관절과 제 1수근 중수지간관절(1st carpometacarpal joint CMC)에서 잘 발생한다.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국소 변형으로 시작하여 점차 퇴행성 변화를 보이며 연골하골의 비대와 활액막의 이차적 염증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전신적인 증상 없이 국소적인 증상이 초래된다..
2.2. 이차성 골관절염
이차성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모든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이다. 주된 원인으로는 관절의 선천적 이상, 관절 감염, 비특이성 염증반응 등이 있다.
관절의 선천적 이상 중 하나인 고관절 발육부전(dysplastic hip)은 이차성 골관절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고관절 발육부전은 고관절 구조의 정상적인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관절의 형태와 정렬이 비정상적인 상태인데, 이로 인해 관절 운동 중 비정상적인 힘이 가해져 연골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차성 골관절염 중 고관절 관절염의 20-50%가 이러한 고관절 발육부전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슬관절의 경우 내반슬(genu varum)이나 외반슬(genu valgum)과 같은 관절의 정렬 이상도 이차성 골관절염의 주요 원인이 된다. 정상적인 정렬에서 벗어나 관절면에 비정상적인 하중이 가해지면 연골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감염성 관절염도 대표적인 이차성 골관절염의 원인이다. 화농성 관절염이나 결핵성 관절염 등의 감염성 관절염 후에 관절 연골이 파괴되어 이차성 골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 밖에 말단거대증, 당뇨병 등의 내분비계 질환, 통풍, 조직 흑변증 등의 대사성 질환에서도 이차성 골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들 질환에서는 관절 연골의 대사 및 구조적 변화로 인해 연골 손상이 초래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반복적인 관절 사용으로 인한 외상, 관절 내 골절, 반월상 연골 파열 등의 외상성 손상도 이차성 골관절염의 원인이 된다. 특히 족관절의 경우 골절이나 인대 손상이 가장 흔한 원인이 된다.
이렇듯 이차성 골관절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발생 연령도 원발성 골관절염에 비해 다양한 편이다. 따라서 이차성 골관절염 환자의 경우 정확한 원인 파악과 함께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2.3. 골관절염의 주요 위험요인
골관절염의 주요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나이이다. 골관절염의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며, 특히 55세 이상에서 급격한 증가세를 보인다. 65세 이상 고령에서는 남성의 유병률이 9.2%, 여성의 유병률이 3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절 연골의 노화, 근력 약화, 고유수용감각 저하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둘째, 성별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골관절염 발병률이 더 높은데, 이는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50세 미만에서는 남녀 간 발병률 차이가 크지 않지만, 50세 이상에서는 여성의 발병률이 남성의 2배 가량 높게 나타난다.
셋째, 유전적 요인이다. 일부 골관절염 환자에서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고관절 및 수부 관절의 골관절염에서 유전적 소인이 큰 것으로 보인다. 유전적 요인은 질환의 발생, 진행 정도, 치료 반응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넷째, 비만이다. 비만은 특히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를 증가시켜 관절 연골 손상을 가속화하므로, 골관절염 위험을 크게 높인다. 한편 체중 감소는 증상 호전과 질병 진행 억제에 도움이 된다.
다섯째, 관절 손상 및 불안정성이다. 관절 내 골절, 인대 손상, 관절 기형 등은 관절 연골에 국소적인 스트레스를 가해 이차성 골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슬관절의 내반 또는 외반 변형은 관절염 발생 위험을 높인다.
여섯째, 직업적 요인이다.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쭈그리고 앉아서 일하는 등 반복적인 물리적 스트레스를 받는 직업에서 골관절염의 발병률이 높게 나타난다.
일곱째, 대사성 및 내분비 질환이다. 말단비대증,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당뇨병 등의 내분비 장애나 통풍 등의 대사성 관절염 환자에서 이차적인 골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골관절염의 발병에는 다양한 위험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이를 이해하고 예방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