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이민의 역사와 문화 이야기 및 국제이주의 원인과 유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문화사회의 현황과 정책 방향
1.1. 다문화가족의 현황
1.2. 제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1.3. 다문화사회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1.4. 다문화 사회 개선방안
2. 국제이주의 이해
2.1. 국제이주의 원인과 유형
2.2. 국제이주의 영향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문화사회의 현황과 정책 방향
1.1. 다문화가족의 현황
다문화가족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제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전국의 다문화가족은 31.6만 가구로 전체 가구대비 1.6%를 차지하며 증가세가 점차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2018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33만 5천 가구로 전년 31.6만 가구보다 1만 9천 가구가 늘었고 가구원수도 5만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구성으로는 내국인과 결혼이민자가 37%로 가장 높으며 내국인과 귀화자의 구성이 25%, 귀화자와 귀화자의 구성은 15%, 내국인과 다문화가족의 자녀는 10%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과거 또는 현재 국적은 한국계 중국인 11만 9천명, 베트남 7만 2천명, 중국 6만 8천명, 필리핀 1만 9천명 순으로 집계되며 아시아계 사람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2. 제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제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의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제1차, 제2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을 거쳐 수립된 것으로, 다문화가족지원법 제3조의 2항에 따라 5년 주기로 수립되는 것이다. 제3차 기본계획의 목표는 모두가 존중받는 차별 없는 다문화 사회를 구현하고 다문화가족의 사회·경제적 참여 확대, 다문화가족 자녀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개 대과제, 17개 중과제, 70개 소과제를 마련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결혼이주여성의 인권보호를 위한 가정폭력 대응체계 강화, 한부모가족 지원...
참고 자료
여성가족부, 제 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8~2022)
김은경, 다문화가족정책의 사회적 재구성 효과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최항순, 2019, 다문화가족 정책의 현황과 발전방향, 월간 공공정책, 168, 10-13.
김윤정기자, 우리사회의 다문화 현상 문제점 및 대안, 내외신문, 2019.05.10.
이용재, 2019, 다문화연구의 현황과 과제 - 정부주도 다문화 담론의 한계와 극복을 중심으로, (74), 4-29.
이남철, 「국제이주와 외국인 노동정책」, 넥센미디어, 2020.
김나경, 「초국가시대 이주노동자 귀환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