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HMR 식품 가공기술 및 가공밥 동향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정간편식(HMR)의 정의와 발전
1.1. HMR의 정의 및 개념
1.2. HMR 시장의 성장 배경
1.3. HMR 제품의 분류
2. 가공밥의 종류와 동향
2.1. 가공밥의 등장 및 소비량 증가
2.2. 가공밥의 다양한 종류
2.2.1. 흰쌀밥
2.2.2. 잡곡밥
2.2.3. 컵밥 및 솥밥
2.2.4. 특수 기능성밥
3. HMR 및 가공밥의 기술 동향
3.1. 식품 보존 및 냉동기술
3.1.1. 전기자장 급속동결
3.1.2. 초음파 냉동
3.2. 식품 해동기술
3.2.1. 마이크로파 해동
3.2.2. 고주파 해동
3.2.3. 원적외선 해동
3.2.4. 저온고습 해동
4. HMR과 가공밥에 대한 소비자 인식
4.1. HMR에 대한 초기 인식
4.2. 가공밥에 대한 소비자 평가 및 의견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정간편식(HMR)의 정의와 발전
1.1. HMR의 정의 및 개념
HMR은 Home Meal Replacement(가정간편식)의 약자로, 가정 또는 가정 외에서 완전조리 혹은 반조리 형태로 만들어진 제품을 조리 하지 않거나, 간단히 데워서 섭취할 수 있는 식품을 말한다. HMR은 단순히 한 끼를 때우는 음식이 아니라 우리 일상 속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식품이 되었다. HMR은 맞벌이로 인한 여성의 경제활동 ・ 취업률 증가 등의 사회구조 변화, 1~2인 가구 증가 등의 가족 구성 변화, 저출산 ・ 고령화 등의 인구구조 변화 등으로 크게 성장하게 되었다. 또한 소득 수준의 상승, 정보화, 도시화, 식품가공기술 ・ 유통기술 등의 발전, 편의성 ・ 간편성에 대한 요구, 외식 문화의 확산으로 다양한 식문화를 추구하게 되어 가치관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HMR에 더욱 쉽게 접근하게 되었다.
1.2. HMR 시장의 성장 배경
HMR 시장의 성장 배경은 주로 맞벌이로 인한 여성의 경제활동과 취업률 증가, 1~2인 가구의 증가, 저출산 및 고령화 등의 사회구조 변화에 기인한다. 또한 소득 수준의 상승, 정보화 및 도시화, 식품가공기술과 유통기술의 발전, 편의성과 간편성에 대한 요구, 외식 문화의 확산으로 다양한 식문화를 추구하게 된 가치관의 변화 등이 HMR 시장의 성장을 이끌었다. 특히 맞벌이 가구의 증가와 1~2인 가구의 확대는 편의성과 신속성을 요구하는 소비자 수요를 창출했고, 이에 따라 HMR 제품이 각광받게 되었다. 또한 식품가공기술과 유통기술의 발전으로 HMR 제품의 맛, 영양, 신선도 등이 크게 향상되어 소비자의 신뢰를 얻게 되었다. 이와 같은 사회적, 기술적 요인들이 HMR 시장의 성장 배경이 된다.
1.3. HMR 제품의 분류
'HMR 제품은 크게 Ready to Eat, Ready to Heat, Ready to End-cook, Ready to Cook으로 분류할 수 있다"이다.
Ready to Eat는 사전에 준비가 필요하지 않고 구매 후 바로 섭취할 수 있는 HMR 제품으로, 도시락, 초밥, 김밥, 샐러드, 샌드위치 등이 포함된다. Ready to Heat는 조리가 되어 있어 간단하게 데우기만 하여 섭취할 수 있는 HMR 제품으로, 액상 수프, 스파게티, 즉석 밥, 즉석 국 등이 포함된다. Ready to End-cook은 Ready to Heat와 비슷하지만 조금 더 장시간 데워서 섭취하는 HMR 제품으로, 냉동 돈가스, 육개장 등이 포함된다. Ready to cook은 요리에 필요한 재료들이 조리하기 쉽게 손질되어 소분 포장된 HMR 제품으로, 냉동 ・ 냉장 해산물, 채소, 밀키트 등이 포함된다.
2. 가공밥의 종류와 동향
2.1. 가공밥의 등장 및 소비량 증가
한국의 성인으로 살면서, 특히 자취를 하거나 일찍이 독립을 했다면 더더욱, 가공밥을 접해보지 않은 사람을 찾는 것은 꽤 어려운 일이 될 것이다. 가공밥이란 상온에서 유통할 수 있도록 쌀을 익혀 포장해 다시 가열하여 손쉽게 먹을 수 있는 식품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처음 출시된 한국의 가공밥 계열 시초라고 할 수 있는 CJ의 '햇반' 제품을 시작으로 오뚜기, 노브랜드 등 여러 식품회사에서 가공밥의 상품화에 뛰어들게 되었다. 집에서 갓 지은 쌀밥에 대한 이미지의 전통적인 고정관념이 여전히 남아있는 우리나라에서 가공밥의 등장은 충격적인 것이었다. 게다가 밀의 섭취 증가, 육류의 섭취 증가에 따라 쌀의 소비량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공밥은 출시 이후 꾸준히 그 판매량을 올리고 있다. 1인당 양곡 소비량과, CJ의 가공밥 공정을 위해 구매된 국산쌀의 소비량을 비교했을 때, 매년...
참고 자료
장성호, HMR 트렌드와 발전방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13p ~ 17p
유아름, 최윤상, 홍정선, 최희돈, 식품 가공기술과 포장기술을 활용한 가정대용식 제품 개발, 한국식품과학회, 2017, 39p ~ 50p
이감용, HMR 시장의 성장에 따른 전략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381p ~ 391p
박성진; 최종우; 허성윤. 가정식 대체식품 (HMR) 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15, 1-150.
집에서 ‘즉석 솥밥’ 즐기는 시대 열렸다… CJ제일제당, ‘햇반솥반’ 출시 . (2021). https://cjnews.cj.net/%EC%A7%91%EC%97%90%EC%84%9C-%EC%A6%89%EC%84%9D-%EC%86%A5%EB%B0%A5-%EC%A6%90%EA%B8%B0%EB%8A%94-%EC%8B%9C%EB%8C%80-%EC%97%B4%EB%A0%B8%EB%8B%A4-cj%EC%A0%9C%EC%9D%BC%EC%A0%9C%EB%8B%B9/.
건강기능식품 ‘밥’ 나왔다…식약처 기능성 인정 . (2013). http://www.food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316.
CJ제일제당, 햇반 잡곡밥 라인업 8종으로 확대… "잡곡밥 시장 키운다" . (2019).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19/12/03/2019120300016.html.
[Cover Story] 햇반의 진화 . (2013).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8/20/2013082002245.html.
[신상품]CJ제일제당, '햇반 슈퍼곡물밥' 2종 . (2015).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228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