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장 조직 균질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신경세포 초대배양
1.1. 실험원리
1.1.1. 신경세포(Nerve cell)
1.1.2. 신경세포 초대배양
1.2. Immunocytochemistry(ICC)
1.3. Immunohistochemistry(IHC)
2. 오가노이드
2.1. 오가노이드란?
2.1.1. 오가노이드 형성과정
2.1.2. 오가노이드 개발
2.2. 오가노이드의 응용
3. 핵산에 관한 실험
3.1. 실험의 목적
3.2. 실험 원리
3.3. 배경지식 및 이론
3.3.1. 핵산(Nucleic acid)
3.3.2. 단백질 합성
3.4. 실험기구 및 시약
3.5. 실험방법
3.6. 실험의 결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신경세포 초대배양
1.1. 실험원리
1.1.1. 신경세포(Nerve cell)
신경세포(Nerve cell)는 신경계통의 구조 및 기능의 단위가 되며 흔히 신경원(Neuron)이라고 불려진다. 신경세포는 세포체와 이것으로부터 뻗어나오는 한 개 내지 다수의 세포질 돌기를 갖고 있는데, 신경세포는 흔히 이들 돌기의 수에 따라서 거짓홑극신경원(Pseudounipolar nueron), 두극신경원(Bipolar neuron) 및 다수극신경원(Multipolar neuron) 등으로 분류한다.
신경세포체의 모양은 구형, 난형, 방추형 또는 별모양형이다. 크기는 작은 것으로부터 큰 것까지 여러 종류가 있지만, 20-50um의 것이 가장 많다. 세포체는 보통 한 개의 핵과 이것을 둘러싸는 세포질로 구성된다. 핵은 핵막에 둘러싸여 있고 한 개의 핵소체를 갖고 있다. 세포질에는 사립체, 골지체, 형질내세망, 리보소체, 신경세관, 신경세사가 있고, 또 많은 신경세포에서는 Lipofuscin 과립을 볼 수 있다. 특히 세포질 곳곳에 과립 형질내세망이 조밀하게 모여 있는 바 이와 같은 구조를 닛슬소체라고 부른다. 또 세포체에서 축삭이 시작되는 부위의 세포질에 신경세관과 세사가 축삭을 향하여 조밀하게 배열해 있을 뿐 대부분의 소기관들이 없는 부위가 있어 이를 축삭둔덕(Axon hillock)이라고 한다. 이들 세포체는 신경계통에서 여러 정도로 무리를 이루고 있는 바 중추신경계통에서의 세포집단을 핵(Nucleus)이라 하고, 말초신경계통의 것을 신경절(Ganglion)이라고 한다.
신경세포의 돌기는 가시돌기(Dendrite)와 축삭(Axon)으로 구분된다. 가지돌기는 축삭과는 달리 세포체에서 볼 수 있는 리보소체, 닛슬소체가 있으며 다수의 신경세관, 신경세사 및 사립체가 있다. 대개의 신경세포는 여러 개의 가지돌기를 갖고 있으나 드물게는 한 개를 갖는 경우도 있다. 가지돌기의 기시부는 굵고 나뭇가지처럼 되풀이하여 가지가 나뉘면서 가늘게 되며, 비교적 세포체의 가까운 곳에서 끝난다. 어떤 신경세포의 가지돌기 표면에는 많은 가시모양의 작은 돌기, 즉 가지돌기와 더불어 다른 신경세포의 신경종말과 신경연접(시냅스, Synapse)을 형성한다.
축삭은 흔히 신경섬유라고도 부르며, 보통 1개로서 신경세포의 축삭둔덕으로부터 시작되고 일반적으로 가늘고 매끈하다. 축삭의 길이는 짧은 것은 1mm 이하로 세포체 가까이에서 끝나지만, 긴 축삭은 1m가 넘는 경우도 있어 신경세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주위에 수초(Myelin sheath)를 가진 축삭을 수초신경섬유(Myelinated nerve fiber)라 하며, 수초가 없는 축삭을 무수초신경섬유(Unmyelinated nerve fiber)라 한다. 축삭은 대개 몇 개의 곁가지(Axon collateral)가 있으며, 축삭종말(Nerve ending)은 신경세포의 세포체 및 가지돌기와 신경연접을 형성한다. 한 개의 신경은 여러 신경세포의 돌기들 즉 신경섬유들이 결합조직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다.
1.1.2. 신경세포 초대배양
신경세포 초대배양은 조직공학에서 정상 자가세포를 추출하여 배양 및 증식하는 과정이다. 조직편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는 과정을 초대배양이라고 한다. 뇌조직 연구를 위해서는 초대배양 신경세포가 실험계로서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신생돌기생성, 정보전달, 세포사멸의 분자기전에 관한 연구에는 초대배양 신경세포를 이용한 실험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뇌 형성 과정의 세포사멸, 뇌의 각 신경영역을 구성하는 신경세포의 약물반응이나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반응성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은 세포주를 이용한 실험으로는 불가능하며, 신경 핵이 명확한 마우스나 랫드 태아 15일 이후의 뇌조직으로부터 추출된 신경세포의 초대배양을 실험계로서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신경세포의 세포생물학적인 연구를 수행할 시에는 태아 13일 경의 뇌 전체로부터 신경세포를 분리해 연구재료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대배양의 역사를 살펴보면, 해리슨(Harrison)과 카렐(Carrel)이 동물 조직을 시험관이나 페트리디쉬에서 길러보려는 시도가 조직이나 세포배양의 기초가 되었다. 해리슨은 적출한 올챙이의 척수의 절편을 응고된 개구리 임파액속에서 4일동안 배양한 후 척수신경세포에서 신경섬유가 나오는 것을 관찰하였는데, 이것이 조직배양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버로우(Burrow)는 임파액 대신 응고혈장(Plasma clot)을 사용하여 배양의 효율을 높였으며, 1960년대 중반까지 신경세포학 연구와 세포이동 및 신경섬유의 성장을 연구하는데 이 방법이 이용되었다. 카렐은 무균조작 방법을 고안함으로써 세포조직배양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였다. 이후 루이스(Lewis), 멕시모우(Maximow), 레비(Levi), 스트랜지웨이(Strangeway), 얼(Earle) 등이 세포조직배양의 방법을 확립하였고, 파커(Paker), 모건(Morgan), 웨이모스(Waymouth) 및 이글(Eagle) 등이 합성배양액을 만들어 세포조직배양에 기여하였다.
초대배양 신경세포는 동물로부터 직접 조직을 적출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생체 내에 존재하는 수송계와 호르몬에...
참고 자료
서한극 외 2명, 「배양세포실험핸드북」, 2004, P233, 라이프사이언스
김태전 외 2명, 「세포배양학 개론」, 2004, P60-63, 205 고려의학
강주원, 「혈청과 포도당이 토끼 신장 근위세뇨관 초대배양 세포에 미치는 영향」, 1996, 全南大學校 大學院
양윤실, 「초대 배양한 흰쥐 해마 신경세포에서 신경세포 흥분성에 관여하는 세포체 칼륨 통로 조절 과정의 칼슘 매개 기전에 대한 연구, 2015, 제주대학교 대학원
최지향, 「대뇌 피질세포 초대배양에서의 각 종 신경세포사멸에 관한 Nociceptin의 영향」, 2005, 전남대학교 대학원
송동근, 「흰쥐 태아 뇌간의 초대 세포배양에서 Catecholamine성 신경세포의 발달」, 1989, 서울대학교 대학원
한규홍, 「배양된 흰 쥐 대뇌피질 신경세포에서 산소 결핍과 포도당 결핍간의 유전자 발현 차이에 대한 Microarray 분석」, 2013, 충북대학교
오가노이드 기반 생체모사기술/ 정초록 책임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연구센터/ 2018.05.29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치료제 개발 동향/ 이승준/ 2018.02.08.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소장 오가노이드의 제조 방법/ 노태영 외/ 2019.04.10.
오가노이드 이해와 고속 3차원 이미징 기술/ 이상호, 조근창
암 연구를 위한 오가노이드 모델/ 김승일/ 2018
[네이버 지식백과] 단백질의 합성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2007. 12. 15., 청서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