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연구방법론 유치도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10.03
8,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간호연구방법론 유치도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대상 및 행동적 특성

2. 유치도뇨 수기의 이론적 고찰
2.1. 유치도뇨의 개요
2.1.1. 여성 대상자
2.1.2. 남성 대상자
2.2. 유치도뇨 적응증
2.3. 유치도뇨 목적
2.4. 유치도뇨 준비물품 및 핵심술기

3. 유치도뇨 수기의 문헌적 고찰
3.1. 장갑 착용 및 손위생
3.2. 유치도뇨관 삽입 시 관리
3.3. 유치도뇨관 유지 시 관리
3.4. 삽입부위 관리
3.5. 소변검체 채취방법

4. 유치도뇨 수기의 시사점 및 해결방안
4.1. 이론적, 문헌적 고찰의 시사점
4.2. 해결방안 제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의료 관련 감염은 기관지 내관, 중심정맥관, 유치도뇨관 등을 이용한 침습적 의료처치 뿐만 아니라 감염에 취약한 노인, 만성질환자 및 면역력 저하 환자 증가,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유치도뇨관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침습적 카테터 사용은 방어기전의 손상을 야기하여 의료 관련 감염을 증가시킨다.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CAUTI)은 전체 의료 관련 감염의 40.0%에 해당하며 입원 환자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다. 유치도뇨관은 급성 요폐색을 일시적으로 해소할 뿐 아니라, 무반사성 방광의 요배출, 요도 협착의 방지, 병세가 불안정적인 중환자의 소변 배출량 확인 등 다양한 이유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있는 환자는 CAUTI 위험이 3.0~7.0% 증가한다. CAUTI는 환자 불편, 일상생활 제한, 존엄성 상실, 정맥혈전 색전증 위험뿐만 아니라, 사망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요로감염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데, 특히 CAUTI의 17.0~69.0%는 손 위생, 무균적인 삽입과 유지 관리 및 제거 등의 감염관리 지침을 엄격히 지킴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


1.2. 연구대상 및 행동적 특성

실습을 하는 병원에서 요로감염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은 이론 위주의 교육으로 요로감염에 대한 별도의 교육이 아니라 감염관리 교육에 일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침 수행에 대한 모니터링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다. 국내 의료기관의 의료 관련 감염 관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개정된 의료법의 적용을 받아 감염관리 위원회와 감염관리실을 설치하고 감염관리 전담자를 배치해야 하나 이런 부분에서 부족한면이 있었지만, 프로그램 실시 후에는 지식과 경험을 갖춘 감염관리실무자, 감염관리 시설과 장비, 물품을 병원 내 감염관리팀에서 수시로 체크하였다"".


2. 유치도뇨 수기의 이론적 고찰
2.1. 유치도뇨의 개요
2.1.1. 여성 대상자

여성 대상자를 위한 유치도뇨관에는 단순도뇨관(straight catheters)과 유치도뇨관(indwelling catheters)이 있다. 간헐적 도뇨관(intermittent catheter)이라고도 불리는 단순도뇨관(straight catheter)은 한 개의 내관(lumen)을 가진 카테터로써, 요도를 통해 방광에 삽입하여 방광을 비우기 위해 사용하거나 어떤 경우에는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하며 사용 후에는 바로 제거한다. 자가 도뇨(self-catheterization)를 해야 하는 대상자들은 친수성 도뇨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한개로 포장되어 있고 윤활제 역할을 하는 멸균 생리식염수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한 개의 도뇨관과 멸균 생리식염수 및 미리 연결되어 있는 소변주머니로 구성되어 있는 자가 도뇨킷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간헐적 도뇨법은 배뇨 불능 및 수술 후 대상자 관리 시 표준이 되는 치료법이 되고 있다. Foley 카테터(Foley catheter)라고도 불리는 유치도뇨관(indwelling catheter)은 요도를 통해 방광에 삽입하며, 폐쇄형 배액 시스템이 멸균 상태로 미리 연결되어 있어 방광으로부터 배액된 소변을 모아준다. 유치도뇨관에는 별도의 내관이 하나 더 있어 풍선을 팽창시켜 도뇨관을 방광 안에 고정하여 단기간 혹은 장기간에 걸쳐 도뇨관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폐쇄형 배액 시스템 및 미리 연결된 배액 시스템은 카테터 관련 요로 감염의 발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2.1.2. 남성 대상자

남성 대상자의 경우 유치도뇨관은 방광에 삽입하는 유연성 있는 튜브로 단순도뇨관(straight catheter), 유치도뇨관(indwelling catheter), 코우데 도뇨관(coude catheter)이 있다"".

간헐적 도뇨관이라고도 불리는 단순도뇨관은 한 개의 내관(lumen)을 가진 카테터로써, 요도를 통해 방광에 삽입하여 방광을 비우기 위해 사용하거나 어떤 경우에는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하며 사용 후에는 바로 제거한다"".

자가 도뇨(self-catheterization)를 해야 하는 대상자들은 친수성 도뇨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한개로 포장되어 있고 윤활제 역할을 하는 멸균 생리식염수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한 개의 도뇨관과 멸균 생리식염수 및 미리 연결되어 있는 소변주머니로 구성되어 있는 자가 도뇨킷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간헐적 도뇨법은 배뇨 불능 및 수술 후 대상자 관리 시 표준이 되는 치료법이 되고 있다"". 간헐적 도뇨법의 한 가지 장점은 카테터 관련 요로 감염의 위험이 적다는 것이다"".

Foley 카테터(Foley catheter)라고도 불리는 유치도뇨관(indwelling catheter)은 요도를 통해 방광에 삽입하며, 폐쇄형 배액 시스템이 멸균 상태로 미리 연결되어 있어 방광으로부터 배액된 소변을 모아준다"". 유치도뇨관에는 별도의 내관이 하나 더 있어 풍선을 팽창시켜 도뇨관을 방광 안에 고정하여 단기간 혹은 장기간에 걸쳐 도뇨관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코우데 도뇨관(coude catheter)은 끝을 약간 구부리거나 둥그렇게 만들 수 있어 전립선 비대나 해부학적으로 비뇨기계 문제가 있는 대상자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카테터이다"". 가장 작은 크기의 도뇨관을 사용하여 요도 손상을 최소화하고, 소변 배출을 적절히 촉진시키며, 감염의 위험 요소를 줄인다"".


2.2. 유치도뇨 적응증

유치도뇨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급성 뇨 폐색(acute urinary retention) 또는 방광 출구 폐색(bladder outlet obstruction) 시 유치도뇨관을 삽입한다. 이는 일시적인 요폐색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이다.

둘째, 중환자실 대상자들의 정확한 소변 배출량(urinary output) 측정을 위해 유치도뇨관을 사용한다.

셋째, 비뇨기과 수술(urologic surgery) 또는 비뇨 생식관(genitourinary tract) 인접 부위의 수술 시 유치도뇨관을 삽입한다.

넷째, 장시간 수술이 예상될 때 회복실에서 도뇨관을 제거하기 위해 유치도뇨관을 삽입한다.

다섯째, 수술 중 대량의 수액 주입이 예상되거나 대량의 이뇨제(diuretics) 사용 시 유치도뇨관을 삽입한다.

여섯째, 수술 중 소변 배출량(urinary output)의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 유치도뇨관을 삽입한다.

일곱째, 요실금 대상자의 천골(sacral) 및 회음부 개방성 상처의 회복 시 유치도뇨관을 삽입한다.

여덟째, 장시간 부동자세의 경우(예: 잠재적인 비안정성 흉추 또는 척추 대상자, 골반 골절(pelvic fractures)같은 다발성 외상성 손상(multiple traumatic injuries)의 대상자) 유치도뇇관을 삽입한다.

아홉째, 임종기 간호(end of life care) 시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치도뇨관을 삽입한다.

이처럼 유치도뇨관은 다양한 적응증에 따라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일시적인 요폐색 해결, 수술 전후 관리, 중환자 관리 등을 위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2.3. 유치도뇨 목적

유치도뇨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헐적 도뇨를 지나치게 자주 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요정체 및 실금이 있는 환자의 경우 간헐적으로 도뇨를 실시하는 것이 불편하고 감염의 위험이 있어 유치도뇨관을 사용하여 지속적인 배뇨를 돕는다""

둘째, 비뇨기계 또는 주변 장기의 수술을 준비하기 위해서이다. 수술 전 요로계에 감염이 있을 경우 수술을 지연시키거나 취소할 수 있기 때문에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감염을 확인하고 치료한다""

셋째, 혈괴로 인한 요도폐쇄를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요도 폐쇄가 발생하면 심각한 합병증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지속적으로 배뇨를 돕는다""

넷째, 만성질환자나 의식이 없는 대상자의 정확한 배설량을 측정하기 위해서이다. 정확한 배설량 측정은 이들 환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하는데 중요하므로 유치도뇨관을 사용한다""

다섯째, 시간당 소변 배설량을 측정하기 위해서이다. 이는 수술 중 대량 수액 투여나 이뇨제 사용 시 신장 기능을 모니터링하는데 필요하다""

여섯째, 의식이 없는 실금 대상자의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지속적인 뇨 배출을 통해 피부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일곱째, 지속적 혹은 간헐적으로 방광세척을 하기 위해서이다. 유치도뇨관을 통해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방광세척을 실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시간 전신마취를 하여 수술을 하는 경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수술 중 지속적인 소변 배출을 통해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2.4. 유치도뇨 준비물품 및 핵심술기

유치도뇨 준비물품으로는 처방지, 입원 팔지, 도뇨 모형, 유치도뇨 세트, 곡반, 유치도뇨관, 수용성 윤활제, 멸균 증류수, 10mL 주사기, 소독솜, 마른 거즈, 쟁반 또는 카트, 멸균장갑, 소변수집주머니, 반창고, 방수포, 공포, 홑이불, 간호기록지, 손 소독제, 사이드 램프, 손상성 폐기물 전용용기,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등이 준비되어야 한다"".()

유치도뇨 핵심술기로는 1.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 미생물의 전파 방지,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 유치도뇨세트를 쟁반이나 카트 위에 놓고 무균적으로 편다. → 도뇨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가기 전 필요 및 준비물품을 준비, 4. 도뇨 세트 속에 있는 종지 하나에는 소독솜을 무균적으로 넣고, 또 하나에는 도뇨관의 풍선을 부풀게 할 멸균 증류수를 약 10mL 정도 넣는다. → 도뇨세트를 이동할 때에 증류수가 소독포에 닿거나 엎질러지면 오염되므로 주의, 5. 나머지 종지에는 수용성 윤활제를 짜넣고, 멸균된 주사기를 세트 내에 무균적으로 넣는다, 6. 적당한 크기의 도뇨...


참고 자료

제 2판 핵심기본간호수기, 양선희 외. 2018, 현문사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송경애 외. 2018, 수문사
핵심기본간호술 가이드라인, 강효정 외. 2017, 수문사
NursingSKills, https://www.nursingskills.kr/
KCDC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국가건강정보포털 (kdca.go.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의료 건강 신문, 메디컬투데이 http://www.mdtoday.co.kr/
남혜경 (1998). 요로감염 예방을 위한 유치도뇨 환자의 간호에 대한 조사연구, 경원전문대학, 리스포유
송경애 외 다수,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황옥남 외 다수,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송경애 외 다수, 기본간호학2, 수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요로 감염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강남세브란스병원)
Algarni, S., Sofar, S., & Wazqar, D. (2019). Nurses' knowledge and practices towards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at King Abdulaziz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Health,
Medicine and Nursing, 4(1), 39–62.
Andrea, N., Stephanie, Z., Jonas, M., Alexander, S., Gregor, J., Stefan, P.
K., & David, L. B. S. (2019). Change in staff perspectives o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use after implementation of an intervention
bundle in seven Swiss acute care hospitals: results of a before/
after survey study. BMJ Open, 9(10), 1–11. https://doi.org/10.1136/
bmjopen-2018-028740
Andrea, N., Stephanie, Z., Jonas, M., & David, L. B. S. (2020). Nurses' and
physicians' perceptions of indwelling urinary catheter practices and
culture in their institutions. Journal of Patient Safety, 16(2), e82–e89.
https://doi.org/10.1097/PTS.0000000000000502
Anns, M., Anju, S. I., Annmary, K., Anuja, G., Anusha, R. A., & Sonia, K. L.
S. (2020). Nurses' knowledge on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in a selected hospital of Mangaluru. Journal
of Health and Allied Sciences NU, 10(2), 128–131.
Balu, P., Ravikumar, D., Somasunder, V. M., Suga, S. D. S., Sivagananam, P.,
Jeyasheelan, V. P., Sreekandan, R. N., James, K. M., Bopaiah, S. K.,
Chelladurai, U. M., Kumar, M. R., & Mohan, S. K. (2021). Assessment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CAUTI) amongst health care
professionals working in a tertiary care teaching hospital. Journal of
Pure and Applied Microbiology, 15(1), 335–345.
Blondal, K., Ingadottir, B., Einarsdottir, H., Bergs, D., Steingrimsdottir, I.,
Steindorsdottir, S., Gudbjorg, G., & Elin, H. (2016). The effect of a
short educational intervention on the use of urinary catheters: a
prospective cohor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8(6), 742–748. https://doi.org/10.1093/intqhc/mzw108
Carter, E. J., Pallin, D. J., Mandel, L., Sinnette, C., & Schuur, J. (2016). A
qualitative study of factors facilitating clinical nurse engagement in
emergency department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prevention.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46(10), 495–500.
https://doi.org/10.1097/NNA.0000000000000392
Cathy, D. (2019).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signs, diagnosis, prevention. The British Journal of Nursing, 28(2), 96–100.
https://doi.org/10.12968/bjon.2019.28.2.9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Device-associated
Module: Urinary Tract Infection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CAUTI) and Non-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UTI) and Other Urinary System Infection (USI)
Events). https://www.cdc.gov/nhsn/pdfs/pscmanual/7psccautic
urrent.pdf
Conner, B. T. (2013). Exploring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s' adoption
of an evidence-based practice to reduce duration of catheterization.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8(4), 319–326.
Cutinho, M. C., Sheilini, M., & Harish, B. (2018). Knowledge on practice
of urinary catheter care and compliance to urinary catheter care
guidelines-a hospital based Study. In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Research and Development, 9(11), 218–224. https://doi.org/10.595
8/0976-5506.2018.01455.9
Dawa, T., Randolph, M., Moyers, P., Finch, G. P., Frie, B., & Filer, D. (2019).
Rehabilitation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for preventing urinary tract infections from intermittent catheterization.
Rehabilitation Nursing, 44(3), 171–180. https://doi.org/10.1097/
rnj.0000000000000125
Dimitri, M. D., Michael, A. K., & James, R. J. (2010). Foley catheter practices and knowledge amongst Minnesota physician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8, 694–700. https://doi.org/10.1016/j.
ajic.2010.03.011
Drekonja, D. M., Kuskowski, M. A., & Johnson, J. R. (2010). Internet survey of Foley catheter practices and knowledge amongst Minnesota
nurse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8, 31–37. https://doi.
org/10.1016/j.ajic.2009.05.005
Fernández-Ruiz, M., Calvo, B., Vara, R., Villar, R. N., & Aguado, J. M.
(2013). Inappropriate use of urinary catheters in patients admitted
to medical wards in a university hospital. Enfermedades Infecciosas
y Microbiología Clínica, 31(8), 523–525. https://doi.org/10.1016/j.
eimc.2013.02.013
Fakih, M. G., Rey, J. E., Pena, M. E., Szpunar, S., & Saravolatz, L. D. (2013).
Sustained reductions in urinary catheter use over 5 years: bedside
nurses view themselves responsible for evaluation of catheter
necessity.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1(3), 236–239.
https://doi.org/10.1016/j.ajic.2012.04.328
Ghauri, S. K., Javaeed, A., Abbasi, T., Khan, A. S., & Mustafa, K. J. (2019).
Knowledge and attitude of health workers regarding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in tertiary care hospitals,
Pakistan. Journal of the Pakistan Medical Association, 69(12), 1843–
1847. https://doi.org/10.5455/jpma.8096
Gould C. V., Umscheid C. A., Agarwal R., Kuntz G., Pegues D. A. (2017).
Guideline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https://www.cdc.gov/infectioncontrol/guidelines/cauti/
index.html
Hernandez, M., King, A., & Stewart, L. (2019).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CAUTI) prevention and nurses' checklist
documentation of their indwelling catheter management practices. Nursing Praxis in New Zealand, 35(1), 29–42. https://doi.
org/10.36951/NgPxNZ.2019.004
Hong, Q. N., Fàbregues, S., Bartlett, G., & Boardman, F. (2018). The
Mixed Methods Appraisal Tool (MMAT) version 2018 for information professionals and researchers. Education for Information, 34(4),
1–7. https://doi.org/10.3233/EFI-180221
Ivy, M., Vimala, R., Sasheela, P., Mei, C. C., & Wan, N. F. W. N. (2021).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n relation to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CAUTI) prevention: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00, 1–11. https://doi.org/10.1111/
jocn.15899
Jane, C. B. (1997). A study of nurses' views about the prevention of nosocomial urinary tract infection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6, 379–
387. https://doi.org/10.1111/j.1365-2702.1997.tb00331.x
Jones, K., Sibai, J., Battjes, R., & Fakih, M. G. (2016). How and when
nurses collect urine cultures on catheterized patients: a survey of
5 hospital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4(2), 173–176.
https://doi.org/10.1016/j.ajic.2015.09.003
Khawcharoenporn, T., Vasoo, S., Ward, E., & Singh, K. (2011). Abnormal
urinalysis finding triggered antibiotic prescription for asymptomatic
bacteriuria in the ED.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9(7), 828–830. https://doi.org/10.1016/j.ajem.2011.04.007
Kose, Y., Leblebici, Y., Akdere, S. S., Cakmakci, H., Otunctemur, S., Egici,
M. T., & Bektemur, G. (2016). Level of knowledge of the nurses
work in a public hospital about the prevention of catheter 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Ş.E.E.A.H. Tıp Bülteni, 50(1), 70–79.
Kulbay, A., & Tammelin, A. (2018). Clean or sterile technique when inserting indwelling urinary catheter: An evaluation of nurses' and
assistant nurses' interpretations of a guideline at an acute-care
hospital in Sweden. Nordic Journal of Nursing Research, 0(0), 1–6.
https://doi.org/10.1177/*************261
Li, F., Song, M., Xu, L., Bo, D., Zhu, S., & Li, X. (2019). Risk factors for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amongst hospitalized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5(3), 517–527. https://doi.
org/10.1111/jan.13863
Liberati, A., Altman, D. G., Tetzlaff, J., Mulrow, C., Gøtzsche, P. C.,
Ioannidis, J. P. A., Clarke, M., Devereaux, P. J., Kleijnen, J., & Moher,
D. (2009).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 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Epidemiology, Biostatistics
and Public Health, 6(10), e1–e34. https://doi.org/10.1016/j.jclin
epi.2009.06.006
Liu, Y., & Bao, C. L. (2004). Community nursing. Science Press.
Lo, E., Nicolle, L. E., Coffin, S. E., Gould, C., Maragakis, L. L., Meddings, J.,
Pegues, D. A., Pettis, A. N., Saint, S., & Yokoe, D. S. (2014). Strategies
to prevent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in acute care
hospitals: 2014 update.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35(5), 464–479. https://doi.org/10.1086/675718
Maeda, S., Takiuti, T., Komatsu, T., Kohno, Y., & Kyuji, K. (2013). Current
status of long-term indwelling urinary catheter management by visiting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Urological Nursing, 7(2), 76–84.
https://doi.org/10.1111/ijun.12001
Manisha, J., Vinita, D., Bibhabati, M., Archana, T., & Poonam, S. L. (2015).
Knowledge and attitude of doctors and nurses regarding indication for catheterization and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in a tertiary care hospital. Indi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19(2), 76–81. https://doi.org/10.4103/097
2-5229.151014
Martin, C., LG, M. K., Deschênes, M. F., Ha, L., Merisier, S., & Lavoie, P.
(2020). New graduate nurses' clinical competence: A mixed methods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6, 2810–2829.
https://doi.org/10.1111/jan.14487
Mary R, M., Tony, R., Sunday, C. S., Benjamin A, S. B. A., Stern, M. E. S.,
& Neal E, F. (2015). Provider perspectives on the use of indwelling
urinary catheters in older adults in emergency department settings:
Developing a novel clinical protocol.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3(4), 341–347. https://doi.org/10.1016/j.ajic.2014.12.008
Mody, L., Sanjay, S., Andrzej, G., Shu, C., & Sarah, L. K. (2010). Knowledge
of evidence-based urinary catheter care practice recommendations amongst healthcare worker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8(8), 1532–1537. https://doi.
org/10.1111/j.1532-5415.2010.02964.x
Montoya, A., Chen, S., Galecki, A., Mcnamara, S., Lansing, B., & Mody,
L. (2013). Impact of health care worker policy awareness on hand
hygiene and urinary catheter care in nursing homes: Results of a
self-reported survey.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1(6),
e55–e57. https://doi.org/10.1016/j.ajic.2012.09.024
Ndomba, A. L., Smide, B., & Aarts, C. (2008). Preventing IUC infections
in Tanzanian patients; nurses' knowledge, clinical practice and patients' views. International Journal of Urological Nursing, 2(1), 33–41.
https://doi.org/10.1111/j.1749-771X.2008.00044.x
Noyes, J., Booth, A., Moore, G., Flemming, K., Tunçalp, Ö., & Shakibazadeh,
E. (2019). Synthesi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idence to inform guidelines on complex interventions: clarifying the purposes,
designs and outlining some methods. BMJ Global Health, 4(Suppl 1),
e000893. https://doi.org/10.1136/bmjgh-2018-000893
Opina, M. L. F., & Oducado, R. M. F. (2014). Infection control in the use
of urethral catheters: knowledge and practices of nurses in a private hospital in Iloilo city.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 Arts and
Sciences, 1(5), 93–100.
Roe, B. H. (1989). Study of information given by nurses for catheter care
to patients and their care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4(3), 203–
210. https://doi.org/10.1111/j.1365-2648.1989.tb01526.x
Saint, S., Greene, M. T., Krein, S. L., Rogers, M., Ratz, D., Fowler, K. E.,
Edson, B. S., Watson, S. R., Meyer-Lucas, B., & Masuga, M. (2016).
A program to prevent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in
acute car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4(22), 2111–2119.
https://doi.org/10.1056/NEJMoa1504906
Septimus, E. J., & Moody, J. (2016). Prevention of device-related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F1000Research, 5, F1000 Faculty
Rev-1065. https://doi.org/10.12688/f1000research.7493.1
Shah, M., Wahab, F., Ullah, F., Gul, U., Aziz, A., & Ullah, Z. (2017). Infection
control in the use of urethral catheter: knowledge and practises
of nurses. American Journal of Advanced Drug Delivery, 5(1), 1–8.
https://doi.org/10.21767/2321-547x.1000006
Shaver, B., Eyerly-Webb, S. A., Gibney, Z., Silverman, L., & Solomon, R.
J. (2018). Trauma and intensive care nursing knowledge and attitude of foley catheter insertion and maintenance. Journal of Trauma
Nursing, 25(1), 66–72. https://doi.org/10.1097/JTN.0000000000
000344
Siegel, T. J. (2006). Do registered nurses perceive the anchoring of indwelling urinary catheters as a necessary aspect of nursing care?
A pilot study. Journal of Wound Ostomy & Continence Nursing, 33(2),
140–144. https://doi.org/10.1097/00152192-200603000-00007
Sonali, A., Catherine, G., Rupak, D., Lawrence, S., Cindy, S., Michael S,
L., Adam, H., James, S., Louise-Marie, D., & Richard A, M. (2019).
Knowledge and practices of physicians and nurses related to urine
cultures in catheterized patients: An assessment of adherence to
IDSA guidelines. Open Forum Infectious Diseases, 8, 1–8. https://doi.
org/10.1093/ofid/ofz305
Thomas, J., & Harden, A. (2008). Methods for the thematic 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in systematic reviews.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8(1), 1–10. https://doi.org/10.1186/1471-2288-8-45
Thomas, K. (2020). Use of catheter maintenance solutions by community
nursing staff: an assessment.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25(2), 65–69. https://doi.org/10.12968/bjcn.2020.25.2.65
Viswanathan, K., Rosen, T., Mulcare, M. R., Clark, S., Hayes, J., Lachs, M.
S., & Flomenbaum, N. E. (2015). Emergency department placement
and management of indwelling urinary catheters in older adult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41(5), 414–422. https://doi.org/10.1016/j.jen.2015.02.013
Weerakoon, M., & Lawrentschuk, N. (2010). Draping and associated
equipment for indwelling catheter manipulation by hospital staff:
An assessment of attitudes and adequacy. BJU International, 103(9),
1206–1209. https://doi.org/10.1111/j.1464-410X.2008.08248.x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Interim Practical Manual supporting national implementation of the WHO Guidelines on Core
Components of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Programs.
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WHO-HIS-SDS-2017-8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