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학대 훈육 학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훈육과 아동학대의 개념
2.1. 훈육의 개념
2.2. 아동학대의 개념
3. 훈육과 아동학대의 차이
3.1. 신체적, 정신적 학대의 구분
3.2. 훈육과 체벌의 경계
4.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사회시스템
4.1.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역할
4.2. 법적 제도 및 정책
5. 아동학대 피해의 영향과 대응방안
5.1. 신체적, 심리적 후유증
5.2. 가정 및 사회적 대응
6. 부모의 역할과 양육태도
6.1. 부모의 인식 개선
6.2. 부모교육의 필요성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부모는 자녀를 올바른 인성을 갖춘 사회구성원으로 성장시킬 의무와 책임이 있다. 그래서 부모들은 자녀의 나쁜 버릇을 고치겠다는 목적으로 훈육을 하는데, 선택하는 훈육의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사랑의 매'라고 미화된 체벌이다. 엉덩이나 손바닥 등을 가볍게 때리는 것으로 시작한 체벌은 손에 쉽게 잡히는 옷걸이, 빗자루, 골프채 등을 마구 휘둘러 자녀의 신체에 심각한 상해를 입히는 학대의 양상으로 발전될 확률이 높다. 그런 식으로 시작된 학대는 자녀를 밀치거나 화상을 입히는 등과 같은 극단적인 상태로까지 이어져 결국 자녀를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최근 각종 매스컴 등을 통해 심각한 학대로 인하여 아동이 사망에 이른 사건이 자주 보도되고 있다. 지난해(2019년) 아동 학대 건수는 총 3만 건을 넘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그리고 학대로 인해 사망한 아동의 숫자가 43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었다고 한다. 이는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나는 본 과제를 통해 훈육과 학대의 차이를 알아보고,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사회시스템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더불어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기술해 볼 것이다.
2. 훈육과 아동학대의 개념
2.1. 훈육의 개념
훈육이란 아동의 의지 및 감정을 함양해서 바람직한 인격형성이라는 주목적을 달성하는 교육을 말한다. 훈육은 아동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옳은 행동과 옳지 않은 행동을 스스로 느끼고 반성하게 하는 과정이다. 부모는 아이에게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형성시키거나 잘못된 습관을 고치기 위해 훈육을 한다. 이때 부모는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하며, 아이에게 공포심을 주지 않고 긍정적인 다짐을 하게 만드는 교육활동을 해야 한다. 훈육에는 어떠한 폭력적 행동이나 도구 사용이 포함되어서는 안 되며, 오직 아이의 바람직한 행동 강화를 위한 교정과 훈련만이 허용된다.
2.2. 아동학대의 개념
아동학대의 개념은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 유기와 방임을 총괄하여 칭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동학대에는 네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신체적 학대'는 성인이 아동을 대상으로 직접적이고 물리적인 공격을 포함한 심한 처벌을 행하거나, 아동을 심한 부상이나 사망에 이르게 할 위험이 있는 곳에 방치하는 행위 등이 해당된다. 둘째, '정서적 학대'는 부모 또는 양육자가 아동의 인지, 사회, 정서, 심리학적 발달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는 일련의 양식을 포함한다. 셋째, '방임과 유기'는 부모 또는 양육자가 아동이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의식주, 건강관리, 행복 등을 적절히 제공하지 못해 아동이 방치되는 행위를 의미한다. 넷째, '성적 학대'는 아동을 대상으로 성적 활동을 요청하거나 강요하는 행위, 성적 욕구 충족을 위해 아동을 이용하는 행위 등이 포함된다.
이처럼 아동학대는 신체적, 정신적, 성적 측면에서 아동의 건강과 발달을 훼손하는 다양한 폭력과 가혹행위를 포함한다. 특히 부모 또는 양육자에 의해 저질러지는 아동학대는 피해 아동의 심리적 후유증이 더욱 심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엄중히 다뤄져야 할 문제이다.
3. 훈육과 아동학대의 차이
3.1. 신체적, 정신적 학대의 구분
신체적, 정신적 학대의 구분은 명확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신체적 학대는 아동의 신체를 때리거나 신체적 폭력을 행사하여 상해를 입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손바닥, 방망이, 끈 등 다양한 도구를 이용한 체벌, 밀치기, 셔킹(흔들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 정신적 학대는 아동의 자아개념과 정서발달을 저해하는 언어적 폭력이나 정서적 학대를 의미한다. 욕설, 모욕, 거부, 무시, 협박, 위협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아...
참고 자료
문선화 외(2010), 아동학대의 이해, 양서원.
김미숙(2016), 아동학대 피해아동 지원 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강동욱 외(2011), 아동학대(법과 제도), 청목출판사.
신선미 기자(2020.6.25.), 지난해 아동학대로 43명 사망…학대 건수 3만건 넘어, 연합뉴스.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http://www.law.go.kr/%EB%B2%95%EB%A0%B9/%EC%95%84%EB%8F%99%ED%95%99%EB%8C%80%EB%B2%94%EC%A3%84%EC%9D%98%EC%B2%98%EB%B2%8C%EB%93%B1%EC%97%90%EA%B4%80%ED%95%9C%ED%8A%B9%EB%A1%80%EB%B2%95)
김 경우, 이창수, 김인숙, 이은경 외 3명, 가족복지론, 창지사, 2012
손병덕, 황헤원, 전미애, 가족복지론, 학지사, 2014
고명석, 박명혜, 황춘화, 이혜미, 이승명, 아동복지론, 대왕사, 2014
WWW.Korea1391.go.kr, 중앙 아동보호전문기관
나는 아동 학대에서 아이를 구하는 케이스워커입니다 안도 사토시 저 | 강물결 역 | 다봄 | 2020.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