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부서와 타부서 갈등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갈등관리와 동기부여의 개념
1.2. 사례 선정 이유
2. 갈등관리 사례
2.1. 갈등 발생 상황
2.2. 갈등 발생 원인 분석
2.3. 갈등 해결 방안
3. 동기부여 사례
3.1. 이론적 배경
3.2. 간호관리자의 동기부여 전략
4. 보건의료팀 간 협력관계
4.1. 협력의 필요성
4.2. 팀워크와 의사소통
4.3. 협력 사례와 문제점
5. 간호관리학 실습 - 조정과 협력
5.1. 조정과 협력의 개념
5.2. 협력 사례 분석
5.3. 성공적인 협력을 위한 전략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갈등관리와 동기부여의 개념
갈등관리와 동기부여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갈등이란 개인이나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현상으로,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이해관계나 가치관으로 인해 발생하는 긴장상태를 의미한다. 갈등은 조직 내에서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며, 적정 수준의 갈등은 조직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하지만 갈등이 극심한 경우에는 조직성과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므로, 이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갈등관리란 조직구성원 간의 갈등을 건설적으로 해결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기부여는 개인이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행동을 유발하고 지속시키는 내적 과정을 의미한다. 동기부여는 개인의 능력과 의지를 높여 성과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직에서는 구성원의 동기부여를 통해 조직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동기부여 전략으로는 보상 제공, 육체적·정신적 지원, 성취감 제공 등이 있다.
1.2. 사례 선정 이유
병원 구성원은 모두 각기 다른 상황 속에서 환자의 건강과 안녕에 기여하는 다학제 팀의 일원으로, 각자의 역할과 기능을 조정하고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선정하였다"" 병원에서 조정과 협력의 대표적인 예로 간호사와 타부서간의 조정과 협력이 있으며 간호사가 환자를 치료하고 간호할 때에는 끊임없이 타부서와 의사소통하며 상호작용하는 과정이 조정과 협력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2. 갈등관리 사례
2.1. 갈등 발생 상황
간호팀(ICU)과 원무과 간 갈등 발생 상황은 다음과 같다. 당일 오전 응급실을 통하여 내원한 76세 대상자는 얼굴이 창백하고 심한 오한, 발열, 복통을 호소하고 있었다. 근무 중인 담당 낮번 간호사는 내과 담당의에게 연락을 취하고 담당의의 지시에 따라 복부 CT와 초음파검사, 혈액학 검사 등이 시행됨과 동시에 인계 내용 및 대상자 상태를 EMR에 입력해야 하는데, 원무과에 응급실에서 중환자실로 전동에 관한 전산 처리가 되지 않아서 담당 간호사는 신환이 계속 들어오는 상황에 전산 처리가 늦어 자신의 업무가 지연되자, 짜증내듯 원무과에 전화를 하여 문의하는 과정에서 원무과 직원과 사소한 말다툼이 있었다.
2.2. 갈등 발생 원인 분석
갈등 발생 원인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산 처리가 늦어져 업무가 지연되는 상황에서 담당 간호사가 당시의 감정에 따라 원무과 직원에게 전화를 한 것이 문제의 발단이 되었다. 간호사는 환자가 검사를 필요로 하는 급한 상황에서 원무과의 전산 처리가 지연되어 자신의 업무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짜증 섞인 태도로 원무과에 전화를 하였다. 이는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자신의 감정에 치우친 행동이었다. ""
둘째, 원무과 직원 역시 자신의 업무가 늦어지는 이유에 대한 설명 없이 감정적으로 대응한 것이 문제였다. 원무과 직원은 담당 간호사가 전화를 건 방식에 기분이 나빴지만, 자신들의 업무가 늦어지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거나 원만히 소통하려 노력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전화를 끊어버렸다. 이는 타부서와의 의사소통이 필요한 병원 내의 업무에 소홀히 한 것이다. ""
셋째, 업무의 상호의존성으로 인해 발생한 갈등이었다. 간호사와 원무과 직원은 서로 다른 업무를 담당하고 있지만, 환자의 원활한 진료와 처리를 위해서는 이들 간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하지만 전산 처리 지연이라는 상황에서 양측 모두가 자신의 업무 지연을 해결하기 위해 감정적으로 대응함으로써 갈등이 발생한 것이다. ""
이와 같이 담당 간호사와 원무과 직원 간의 갈등은 상호의존적인 업무 과정에서 발생한 감정적 대응과 소통 부재, 그리고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
참고 자료
권성복 외(2020), 간호관리학 453-456p, 고문사
고명숙 외 9명 (2017). 간호학개론(4판). 파주: 수문사.
이병숙 외 5명 (2019). 간호관리학(4판). 서울: 학지사메디컬.
김문경 외 5명. (2019). 수혈의학 검사실의 환자안전사고 보고서 분석 및 개선 방안 적용 경험. 대한수혈학회지 30권(3호), 212-218.
유튜브 (2021). 프랑스인 환자가 숨을 거둔 순간 한국 의료진이 손을 대자 충격적인 일이 일어났다. https://www.youtube.com/watch?v=-v9uqvuj4cg.
MBN (2016). 수혈사고, 혈액 잘못 꺼낸 뒤 투여...의료진 확인 못해. https://n.news.naver.com/article/057/0001026104.
내외뉴스통신 (2019). 강서구 산부인과 의료사고 논란, 불통이 부른 낙태수술.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0601.
네이지식백과 (2021). 협력.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75444&cid=62841&categoryId=62841.
간호관리학, 신미자 외 수문사, 2022
기본간호학 1권, 송경애, 방형숙, 홍영해 외 공저, 수문사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의료부, 진단검사의학과
https://www.ncmh.go.kr/medical/html/content.do?depth=ms&menu_cd=02_03_05_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