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리학 상품개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 마케팅의 개념과 필요성
1.1. 간호 마케팅의 정의
1.2. 간호 마케팅의 필요성
1.2.1. 고객 가치의 창조
1.2.2. 병원과 고객 간의 유기적 관계 형성
1.2.3. 간호서비스의 차별화
1.2.4. 병원 수익의 증대
2. 간호 마케팅 믹스 전략
2.1. 마케팅 믹스의 정의
2.2. 마케팅 믹스의 구성 요소
2.2.1. 제품(Product)
2.2.2. 가격(Price)
2.2.3. 유통(Place)
2.2.4. 촉진(Promotion)
2.3. 서비스 제품의 마케팅 믹스
3. 간호 서비스 마케팅 믹스 관리
3.1. 제품 전략(Product)
3.2. 수가 전략(Pricing)
3.3. 유통 전략(Place)
3.4. 촉진 전략(Promotion)
4. 간호 마케팅 사례
4.1. 강동경희대병원의 '2019 더존중 캠페인'
4.2. 명지병원의 '환자제일주의' 전략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 마케팅의 개념과 필요성
1.1. 간호 마케팅의 정의
간호 마케팅(nursing service marketing)은 의료서비스의 이용을 고객들에게 알리고 소개하면서 그들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창출하고 유지하는 간호사의 활동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병원 조직의 그 누구보다도 고객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최적의 종사자이기 때문에 간호 마케팅의 핵심 주체가 된다""
1.2. 간호 마케팅의 필요성
1.2.1. 고객 가치의 창조
간호 마케팅은 고객 가치의 창조를 그 필요성 중 하나로 들 수 있다. 간호 마케팅은 고객 만족을 통해 고객 가치를 창조한다. 간호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간호사의 역량 강화를 통해 고객의 건강 및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이를 통해 고객 만족을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고객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간호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처럼 간호 마케팅은 고객 중심의 관점에서 고객 가치를 창조하고자 한다.""
1.2.2. 병원과 고객 간의 유기적 관계 형성
병원과 고객 간의 유기적 관계 형성은 간호 마케팅에서 필요성의 하나이다. 간호사는 병원 조직에서 환자들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간호사들의 활동을 통해 병원과 고객 간의 유기적 관계를 창출하고 유지할 수 있다.
간호 마케팅은 병원 조직에서 고객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고객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간호사들은 환자와 가족들과의 접촉을 통해 고객의 요구와 기대사항을 잘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지속적으로 병원을 이용하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간호사와 고객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은 고객의 신뢰도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간호사들이 환자들의 요구사항을 빠르게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수록, 고객들은 병원에 대한 신뢰감을 가지게 된다. 이를 통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객 관리와 유치가 가능해지며, 나아가 병원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기여하게 된다.
요약하면, 간호 마케팅은 병원과 고객 간의 유기적 관계 형성을 통해 고객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객 관리와 유치, 그리고 병원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1.2.3. 간호서비스의 차별화
간호서비스의 차별화는 간호 마케팅이 필요한 또 다른 이유이다. 병원에서 제공되는 의료서비스에는 의사의 진료서비스 뿐만 아니라 간호서비스가 포함된다. 의사의 진료가 환자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라면, 간호서비스는 환자의 건강관리와 회복을 돕는 것이다. 따라서 간호서비스는 의료서비스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환자 만족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간호서비스의 차별화는 병원 간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병원이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필수적이다. 과거에는 병원의 시설이나 의료진 수준이 병원 선택의 주요 기준이었지만, 최근에는 간호서비스의 질이 병원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우수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이 환자들에게 선호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병원들은 간호서비스의 차별화를 위해 다양한 전략을 펼치고 있다. 먼저, 전문간호사 제도를 도입하여 특화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문간호사는 특정 질병이나 의료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 환자 맞춤형 간호를 실천할 수 있다. 또한 간호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 환자 중심의 간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병원은 대고객 마케팅 활동을 통해 간호서비스의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병원 홍보 자료나 광고 등을 통해 우수한 간호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간호사의 전문성과 친절성을 강조하는 등 간호서비스의 가치를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환자 및 보호자 대상 간호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간호서비스를 개선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처럼 간호서비스의 차별화는 병원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전략이 되고 있다. 차별화된 간호서비스를 통해 환자 만족도를 높이고, 병원 브랜드 가치를 제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간호서비스의 차별화는 간호 마케팅의 핵심 목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1.2.4. 병원 수익의 증대
간호 마케팅의 필요성 중 하나인 '1.2.4. 병원 수익의 증대'는 간호서비스의 개선에 따른 병원 수익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간호사는 환자들과 가장 많은 접촉을 하며 환자에...
참고 자료
박주희 교수, 메디포뉴스, 간호마케팅의 개념과 필요성 및 전략 활용, 메디포뉴스, 2016. 10. 12.
(https://www.medifonews.com/mobile/article.html?no=111591)
오미정 외, 「간호서비스와 마케팅」, 수문사, 2018. 10. 25
정면숙 외, 「알기 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 관리학 제 4판」, 현문사, 2020. 03. 02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2011년 5월.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0, No. 1, 65-73, May, 2011.
엄영희 외(2020).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 개정7판」. -수문사-
명지병원 홈페이지 https://www.mjh.or.kr/ (2020.05.13.접속)
박대진. 「명지병원, 검진센터 ‘숲마루’ 성대한 개소」, -DailyMedi-. 2012.10.17. http://dailymedi.com/detail.php?number=759602(2020.05.13.접속)
이홍재. 「강동경희대병원, 직장 내 괴롭힘 예방 ‘2019 더존중 캠페인’」. -기호일보-. 2019.07.20.http://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7592(2020.05.11.접속)
허은주,정면숙.(2018). 「의료 및 간호 서비스마케팅 국내 연구동향 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4(4), 352-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