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흉부 물리요법의 개요
1.1. 정의와 목적
흉부 물리요법의 정의와 목적이다. 흉부 물리요법(chest physiotherapy, CPT)은 중력과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모든 폐 분절에 침전되어 있는 분비물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기법은 폐내의 분비물이 정상적인 과정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경우 분비물 제거를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특히 낭종성 섬유증 아동에서 분비물 제거, 폐 재확장, 호흡근의 효율적인 사용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수술 후 아동에게 폐렴과 무기폐를 예방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다.
1.2. 금기증
흉부 물리요법의 금기증은 다음과 같다.
흉부 물리요법의 금기증에는 두부 손상, 급성 천식, 흉곽 외상, 골형성 부전증, 폐종양이 포함된다. 두부 손상 환자의 경우 두부 손상으로 인해 기도확보 및 인공호흡기 사용이 필요할 수 있어 흉부 물리요법을 시행하기 어렵다. 급성 천식 환자는 기도 수축으로 인해 분비물 배출이 어려우며, 흉부 물리요법이 기도수축을 악화시킬 수 있어 금기증이 된다. 또한 흉곽 외상으로 인해 갈비뼈 골절 등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도 타진이나 진동 등의 물리적 자극이 해당 부위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어 금기이다. 골형성 부전증 환자는 취약한 골격으로 인해 타진이나 진동 시 골절의 위험이 높아 금기증이 된다. 마지막으로 폐종양 환자는 분비물 배출을 위한 흉부 물리요법이 종양 내 출혈을 유발할 수 있어 금기증에 해당한다.
2. 흉부 물리요법의 주요 기법
2.1. 심호흡 훈련
심호흡 훈련은 흉부 물리요법의 주요 기법 중 하나이다. 이는 체위 배액법이나 타진과 진동법을 시행할 때 아동에게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하는 것이다. 심호흡 후 호기는 종종 기침을 자극하여 분비물 배출을 촉진할 수 있다. 아동이 심호흡을 최적화하고 기침을 자극하기 위해서는 바람개비 장난감, 비라테스 풍선과 같은 긴형을 이용하거나 비눗방울을 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아동의 폐 분절 및 기도 내로 공기가 잘 도달하게 하여 호흡을 용이하게 하며 객담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심호흡 훈련은 흉부 물리요법의 다른 기법들과 함께 사용되어 효과적인 객담 제거를 돕는다.
2.2. 흉곽의 타진과 진동
흉곽의 타진과 진동은 흉부 물리요법의 주요 기법 중 하나이다. 기침으로 뱉어내기 어려운 진한 분비물은 이 방법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타진(per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