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데이트폭력 여성간호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데이트폭력의 사회문화적 문제
1.1. 데이트폭력의 정의 및 유형
1.2. 데이트폭력 실태와 피해 현황
1.3. 데이트폭력이 지속되는 이유
1.4. 사회적 인식 및 관련 법률
2. 여성 대상 데이트폭력에 대한 간호학적 접근
2.1. 데이트폭력 피해자의 특성과 문제
2.2. 간호사의 역할 및 중재 방안
2.3. 피해자 보호와 지원 체계
3. 성폭력의 개념과 피해 실태
3.1. 성폭력의 정의와 유형
3.2. 성폭력 가해자의 특성
3.3. 성폭력 피해자의 건강 문제
4.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간호 관리
4.1. 성폭력 피해자 간호의 원칙
4.2. 간호 과정: 사정, 계획, 수행, 평가
4.3. 증거 채취 및 법적 절차 지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데이트폭력의 사회문화적 문제
1.1. 데이트폭력의 정의 및 유형
데이트폭력이란 데이트 관계에서 발생하는 언어적·정서적·경제적·성적·신체적 폭력을 말한다.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행해지는 폭력 및 상해를 포함한다.
데이트폭력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권력 강간은 성교를 이용해 여성을 무력한 위치에 놓음으로써 통제적이고 지배적으로 느끼려고 하는 것이다. 가해자는 피해자가 성폭행을 즐기고 있다고 믿는 경우가 많다. 둘째, 분노 강간은 가해자가 분노를 표현하고 잘못된 것이라고 느끼는 일을 보복하기 위해 성폭행을 이용한다. 셋째, 가학 강간은 가해자가 반사회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고문과 신체 훼손을 즐긴다. 피해자와 가해자는 대개 서로 모르는 사이이며, 가해자는 강간을 미리 계획한다. 가학 강간은 부상과 살인을 가장 많이 유발한다. 넷째, 낯선 사람에 의한 강간은 가해자와 피해자가 서로 모르는 사이이다. 기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가해자는 무기를 사용하고 폭행이나 살인을 하겠다고 위협하는 경우가 많다. 다섯째, 지인 강간 또는 면식 강간은 가해자가 피해자와 폭력 없는 상호작용을 한 적이 있는 사람이다. 마지막으로, 윤간은 특정한 남성 집단에서 소속을 강화하는 메커니즘으로 이용된다. 강간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지도자의 압력을 따르는 경우가 많으며, 여성에게 성관계를 강요해 자신의 권력을 드러냄으로써 집단 내에서 자신의 지위를 증명하는 수단으로 강간을 이용한다.
1.2. 데이트폭력 실태와 피해 현황
우리나라의 데이트폭력 실태와 피해 현황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최근 한국여성의전화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61.6%의 여성이 최근 데이트 관계에서 데이트폭력을 경험했다고 답변했다. 특히 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48.8%에 달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그러나 경찰에 데이트 성폭력 피해 사실을 신고한 적이 있다고 답변한 비율은 겨우 5.4%에 불과했다. 이는 많은 데이트폭력 피해자들이 피해 사실을 외부에 알리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데이트폭력이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피해자들이 수치심과 불안감으로 피해 사실을 숨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여성의전화의 상담 통계에 따르면, 성폭력 사건의 85%가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에 의해 발생했으며, 그중 데이트 상대자가 가해자인 경우가 23.7%로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처럼 데이트폭력은 성폭력 문제 중에서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데이트폭력 입건 건수는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피해자의 92%가 여성으로 나타나 데이트폭력이 여성을 주요 타깃으로 하는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피해를 입었지만 신고하지 않은 경우까지 포함하면 여성 피해자의 수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연구 결과, 전국 19세 이상 여성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53.5%가 남자친구로부터 폭력 피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반면 남성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57%가 데이트폭력 가해 경험이 있다고 답변했다. 이처럼 데이트폭력은 여성 피해자와 남성 가해자 사이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는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우리나라의 데이트폭력 실태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며, 특히 여성 피해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피해 사실을 신고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어 실제 피해 규모는 훨씬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데이트폭력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과 함께 사회적 인식 개선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1.3. 데이트폭력이 지속되는 이유
데이트폭력이 지속되는 이유는 첫째, 데이트폭력을 사적인 문제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피해자가 주위에 도움을 요청하더라도 연인 간의 문제라며 외면받거나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아 피해가 더욱 심각해지는 경우가 많다. 둘째, 데이트폭력에 대한 감수성이 낮기 때문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연인 간의 폭력은 사적인 일이므로 제3자가 개입할 필요가 없다"는 등의 잘못된 폭력 인식이 높을수록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체에서 데이트폭력을 잘못 표현하고 미화하기 때문이다. 드라마나 영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남주인공이 여주인공의 손목을 강제로 잡는 '벽치기' 장면이나, 가해자의 집착과 통제를 로맨틱하게 묘사하는 장면들은 데이트폭력을 정당화하고 가해자의 행동을 강화할 수 있다""
1.4. 사회적 인식 및 관련 법률
데이트폭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관련 법률은 다음과 같다.
데이트폭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미흡한 편이다. 데이트폭력이 개인의 사적인 문제로 여겨지며, 피해자에게 책임이 있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피해자는 스스로를 비난하거나 가해자에 대한 호의를 버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데이트폭력에 대한 사회적 감수성이 낮아 피해자가 도움을 요청해도 적절한 대응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참고 자료
Lövestad S, Löve J, Vaez M, Krantz G. Prevalence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its association with symptoms of depression; a cross-sectional study based on a female population sample in Sweden. BMC Public Health. 2017 Apr 20;17(1):335.
Mittal M, Resch K, Nichols-Hadeed C, Thompson Stone J, Thevenet-Morrison K, Faurot C, Cerulli C. Examining Associations Between Strangul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Women With Intimate Partner Violence Histories. Violence Vict. 2018 Dec;33(6):1072-1087.
Pengpid S, Peltzer K. Associations of physical partner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on health risk behaviours and mental health among university students from 25 countries. BMC Public Health. 2020 Jul 2;20(1):937.
김수민,김예진,김유정,남지현,박금빈,박이준,안혜민,오세연,유가현,유다현,전예지,김옥수,and 길민지. "20대 여성의 데이트폭력 피해 경험과 우울, 불안 및 신체화의 관계." 이화간호학회지 -.54 (2020): 159-172.
여성가족부, 한국여성의전화, 데이트폭력·스토킹 피해자 지원을 위한 안내서(2022) p.8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1 10판 모성간호학, 수문사, 2020년 2월 21일
데이트 폭력 현황관련 인터넷검색
https://femiwiki.com/w/%EB%8D%B0%EC%9D%B4%ED%8A%B8_%ED%8F%AD%EB%A0%A5#통계
https://blog.naver.com/englishdaum/221846451173
성미혜 외(2021), 여성건강간호학Ⅱ, 경기도 : 수문사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2022년 10월 07일). 성폭력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김혜정(2010). 형사정책적 관점에서 성폭력범죄자의 유형에 따른 형사제재의 재조명, 한국학술지인용색인, 17-20p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57502
통계청, 범죄 발생 및 검거 현황, 2022년 10월 07일, https://kosis.kr/search/search.do
이임순(2005). 성폭행 환자의 처치지침, 한국학술지인용색인, 6-7p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45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