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의사소통 부재와 관련된 불충분한 위임기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갈등에 대한 이해
2.1. 갈등의 개념 및 정의
2.2. 갈등이론
2.2.1. 갈등의 기능
2.2.2. 갈등의 원인
2.2.3. 갈등의 과정
2.2.4. 갈등의 유형
2.2.5. 갈등의 해결 방책
3. 팀 업무 수행 방해 요인
3.1. 성
3.2. 지위
3.3. 권한
3.4. 집단의 구성
4. 팀 기능 향상을 위한 리더십 기술
4.1. 비전관리
4.2. 팀워크 관리와 임파워먼트
5. 사례 분석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람은 누구나 살아가는 동안 무수한 많은 선택상황에 놓이고 여러 사람들과 의견에 부딪치게 된다. "갈등의 관리는 개인이나 조직의 목표달성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항목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갈등은 개인의 심리적 혼란뿐만 아니라 개인 간의 행태 분위기를 조성하고 미묘한 관계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갈등을 관리함으로써 인간이 좀 더 만족할만한 선택이나 행위를 위해서 그 중요성을 부각 시켜야 한다."라고 서술하고 있다. 특히, 환자를 돕는 사람들은 남을 이해하고 도와주는 상담자의 역할이 매우 크다고 본다. 유능한 상담자가 되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인식하고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스스로의 행동을 보다 잘 평가하고 통제하면서 대상자에게 감정과 행동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갈등문제는 그 문제성에 따라 상황전개의 시발점이 될 수 있으므로 사회와 조직을 관리하는 리더는 반드시 갈등이 무엇이고 어떻게 하면 갈등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역할과 역할 행위 간에 발생 되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관리를 통해서 개인과 집단의 발전을 이루게 하고 조직의 생동감을 불어 넣어야 한다고 본다. 본 토론과제는 팀 내 구성원들 간의 관계갈등과 과업갈등 및 인과관계에 대한 부분을 알아보고. 관계갈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팀 만족을 위해 필요한 리더십을 알아보고자 한다.라고 밝히고 있다.
2. 갈등에 대한 이해
2.1. 갈등의 개념 및 정의
현대의 조직은 수많은 부서와 집단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의 부서와 집단은 주어진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호작용을 하면서 서로 다른 관심과 욕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갈등이 야기된다""(문서1)". Britannica(1986)에 따르면 갈등이란 "힘으로 서로 싸우다"는 한 집단의 구성원들 사이의 의견 불일치, 불화 및 알력을 암시한다""(문서1)". 한편, 정원식(1972)은 갈등을 "개인, 집단, 조직의 심리, 행동 또는 그 양면에서 일어나는 대립적 상호작용"이라고 정의하였다""(문서1)". 그러나 갈등이라는 말이 갖는 부정적인 의미에도 불구하고 집단 성원들 간에 갈등이 없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그들의 행동이 완벽하게 조정되기 때문으로 본다(Dahrendorf, 1959)""(문서1)". 따라서 갈등은 어떤 관계내의 분리시키는 요소들을 제거하고 통일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할 것이고 서로를 상쇄함으로서 '그 사회적 체계를 함께 얽어매는' 역할을 하고, 그리하여 주요 균열 선을 따라 분열되는 것을 막아 준다(Coser, 1956)""(문서1)".
2.2. 갈등이론
2.2.1. 갈등의 기능
갈등의 기능은 크게 상호작용적 관점(interactional view)에서 긍정적인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조직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힘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갈등이 조직 내에서 완전히 제거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어느 정도의 갈등은 조직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전통적 관점(traditional view)에서는 갈등을 역기능적이고 제거되어야 한다고 보았지만, 행동과학적 입장(behavioral view)에서는 갈등을 조직 내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산물로 보며 조직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간주하였다. 상호작용적 관점에서는 갈등이 조직 내에서 긍정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조직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필요한 힘이라고 본다.
이처럼 갈등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창출, 자원의 효율적 배분, 변화와 혁신의 촉진 등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갈등은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활성화시켜 집단 응집력을 높이고 조직 내 이해관계를 조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기능은 갈등이 잘 관리되고 해결되는 경우에만 발휘될 수 있다. 갈등이 과도하게 증폭되거나 적절히 해결되지 않으면 오히려 조직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따라서 갈등은 조직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양면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갈등을 어떻게 관리하고 해결하느냐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2.2.2. 갈등의 원인
개인 또는 집단의 가치관과 태도, 윤리적 책임에 대한 지각, 문제에 대한 인지가 서로 상충되거나 다를 때 문제 해결을 위한 행위와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갈등이 발생한다"" 이는 갈등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개인이나 집단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 태도, 윤리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서로 다르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방법과 접근이 달라지면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문제에 대한 인지 수준과 우선순위가 다를 경우에도 이러한 갈등이 야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자원이 희소할 때 자원을 서로 확보하려고 발생한 갈등이 있다"". 조직 내에서 인력, 예산, 시간, 시설 등의 자원이 부족할 때 구성원들이나 부서들이 자신들의 몫을 확보하고자 경쟁하게 되면서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자원에 대한 경쟁은 필연적으로 갈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업무의 한계가 애매하고 불명확할 때 갈등이 발생한다"". 조직 내에서 개인이나 부서의 업무 범위와 책임이 명확하지 않으면 서로의 역할과 기능이 중복되거나 갈등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업무 한계가 모호할수록 갈등의 소지가 높아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때 갈등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조직 내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구성원들 간 정보 공유와 이...
참고 자료
강성문,이기효,김원중(2010). 병원 종사자의 리더십 지각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특성 및 조직 특성의 조절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지, 4(2), 47-61.
김가희,이병숙(2018). 간호사, 의사 협력에 대한 간호사 및 의사의 인식.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봉정,이순영,안경주,이건아,윤현정(2019). 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간호근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 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44(2), 189-197.
김영훈(2001). 병원종사자의 조직구조 및 조직문화인식과 조직갈등경험, 조직몰입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세영,김은경,김병수(2016). 병원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팀 신뢰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 회지, 22(4), 353-361.
김태경,지재훈,신희경(2019). 병원 종사자의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갈등 및 과업갈등의 매개효과.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4(2), 172-180.
박은하(2016). 병원간호사의 셀프리더쉽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배현(1999), 조직 내 집단 간 갈등의 원인과 관리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미진,정종원,김태훈(2017).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임상수행능력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C대학 병원을 중심으로. 정부와 정책, 9(2), 67-95.
이명주 (2013), 간호사-의사 간의 갈등 연구 : 과업갈등과 관계갈등 중심으로
이병주,김명언(2012). 의사와 간호사 간 관계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유형, 원인 및 비대칭.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5(1), 1-25.
임순임,박종,김혜숙(2012). 간호사의 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 간호학회지, 21(3), 274-282.
이상미,고문희,박광옥(2002). 간호지도자론.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이동연(2007). 리더십,불변의 법칙. 인물과 사상사.
이정우,빅용익,백승주,이지언,이혜용,정연옥(2014). 간호사와 의사는 어떻게 소통하는가. 인문논총, 71(1), 345-385.
정민(2016). 간호 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과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 한국의료 윤리학회지, 19(1), 74-86.
전은희, 손인순, 김일원. 갈등에 대한 개념분석.정신간호학회지 2000
조철호, 이은지(2014). 중소병원 간호조직의 변혁적 리더십이 임파워먼트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의료경영학연구, 8(4), 55-66.
진성호,송준호(2018). 팀장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웍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9(5), 1141-1156.
창의적지도자론 6강 강의록.
제3판 간호관리학 현문사
권성복 외, 『간호관리학』, 고문사, 2020년, p438~439
김선희, 박주영. "프리셉터십 프로그램 참여 간호사의 경험에 대한 융합적 고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7 (2019): 355-371.
김세영, 김종경,and 박광옥. "프리셉터 간호사의 역할경험." 간호행정학회지 18.1 (2012): 33-45.
신수진, 박영우, 김미정, 김정현, 이인영. "신규간호사 교육체계에 대한 실태조사: 프리셉터십 운영을 중심으로." 의학교육논단 21.2 (2019): 112-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