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정맥관 관리 및 중환자 간호 방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10.02
5,9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중심정맥관 관리 및 중환자 간호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심정맥관
1.1. 적응증
1.2. 위치
1.3. 분류
1.3.1. C-line
1.3.2. Chemo port
1.3.3. Hickman catheter
1.4. 관리 및 유지
1.4.1. 드레싱
1.4.2. Flushing
1.4.3. Heparinization
1.5. 관련 합병증
1.5.1. 막힘(Occlusion)
1.5.2. 상대정맥 증후군
1.5.3. 폐색전증
1.5.4. 감염
1.5.5. Dislodgement
1.5.6. 정맥 혈전증
1.5.7. 카테터 손상
1.6. 카테터 제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심정맥관
1.1. 적응증

중심정맥관은 정맥내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항암제 주입, 고영양 수액제 주입, 잦은 채혈검사, 수혈, 말초혈관 사용이 어려운 환자의 치료, 백혈병이나 조혈모세포(골수)이식 환자의 조혈모세포 주입을 위한 정맥로 확보를 위해 사용된다. 중심정맥관은 정맥 접근이 어려운 환자들의 치료와 관리에 필수적인 의료 기구로, 정맥주사로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중심정맥관은 주로 항암화학요법 환자, 수혈이나 고영양수액 투여가 필요한 환자, 말초정맥 확보가 어려운 환자, 조혈모세포이식 환자 등에서 사용된다. 항암화학요법 환자의 경우 반복적인 정맥주사와 항암제 투여로 인해 말초정맥이 손상되기 때문에 중심정맥관 삽입이 필요하다. 또한 수혈, 고영양수액, 혈액 채취 등의 목적으로도 중심정맥관이 사용된다. 말초혈관 확보가 어려운 환자나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경우에도 중심정맥관 삽입이 필요하다. 이처럼 중심정맥관은 다양한 적응증 하에 사용되는 필수적인 의료 기구라고 할 수 있다.


1.2. 위치

중심정맥관은 쇄골하정맥(Subclavian vein), 경정맥(Jugular vein), 대퇴정맥(Femoral vein)을 통하여 삽입되며, 끝은 상대정맥(Superior vena cave)이나 우심방(Rt. atrium) 및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e)에 위치한다"" 이는 중심정맥관이 대혈관인 상대정맥이나 우심방, 하대정맥에 위치하여 상대정맥증후군 등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1.3. 분류
1.3.1. C-line

C-line은 중심정맥관의 일종으로, 목 부위의 경정맥을 통해 삽입되어 상대정맥이나 우심방에 위치하게 된다. C-line은 비교적 단기적인 사용을 목적으로 하며, 주로 항암제 주입, 영양수액 투여, 잦은 채혈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C-line 삽입을 위해서는 C-line set, 적절한 카테터, 소독 물품 등의 준비물이 필요하다. 시행 전 환자에게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며, 멸균적인 환경에서 의사가 카테터를 삽입한다. 이 때 환자의 체위 조절, 국소마취 등의 간호 중재가 이루어진다.

삽입 후에는 카테터의 위치를 확인하고, 주입액이 잘 들어가는지 관찰한다. 또한 감염이나 혈전 등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C-line의 관리 및 유지를 위해 정기적인 드레싱 교환, 헤파린 주입, 수액세트 교환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C-line은 비교적 단기적인 사용을 목적으로 하지만, 관리가 부적절할 경우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은 철저한 무균술과 함께 C-line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3.2. Chemo port

Chemo port는 Portal과 카테터로 구성된 중심정맥관의 일종으로, 쇄골하정맥을 통해 삽입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어 관리가 쉽다는 특징이 있다.
Chemo port의 Portal은 피하에 삽입되고 카테터는 피하를 통과하여 상대정맥 말단에 연결된다. 카테터의 삽입 위치는 상대정맥(SVC) 위 약 2cm 정도이며, 피부 아래 0.5~2cm 깊이에 포켓(Pocket)을 만들어 포트를 삽입한다. 포트가 너무 깊이 위치하면 촉진이 어려우므로 중심선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더 안정적이다.
Chemo port에는 spetal을 통과할 수 있는 특수한 Non-coring needle이 사용된다. 이 Needle은 격막이 새거나 찢어지지 않고 통과할 수 있게 고안되었으며, 고농도 수액 주입이나 혈액 채취 시 19G, 점도가 낮은 유체 주입 시 22G 사용을 권장한다. Needle 삽입 전 무균적 국소마취제 도포와 베타딘 소독을 한다.
Chemo port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 수액세트와 포트 주입침 세트를 연결하고 베타딘으로 소독하며, 수액세트와 주입침 세트의 교환은 24~72시간 마다 실시한다. 장기간 사용 시 포트 주입침은 10일마다 교환한다.
포트를 사용...


참고 자료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24, P.320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24, P.333-381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상) 제 5판, 현문사, 2011, p.321-322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24, P.482-483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