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선설의 근거 루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1.1. 루소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1.2. 자연주의 교육관의 핵심 원리
1.2.1. 자연성에 기반한 아동교육
1.2.2. 감성 중심의 교육과 발달단계별 교육
1.2.3. 경험 중심의 교수학습방법
1.3.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
1.3.1. 아동 중심 교육사상의 발전
1.3.2. 놀이와 활동 중심 교육과정
1.3.3. 자연 친화적 교육 실천
1.4. 현대교육에 대한 시사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1.1. 루소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장 자크 루소는 스위스 제네바의 한 청교도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출생 직후 어머니를 여의고 숙모와 아버지의 손에서 자라났다. 이후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낸 루소는 학문에 대한 궁극적인 관심과 열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계몽사상가들이었던 '백과전서파'들과 교류하며 자신의 사상을 구축해 나갔다.
38세에 루소는 디종 아카데미의 논문 현상에 그의 최초의 논문인 『학문예술론』이 당선되면서 이름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1756년부터 1762년까지의 기간에 파리를 떠나 전원생활을 하면서 왕성한 저작 활동을 하였다. 1761년에는 여성의 삶을 주제로 하는 연애소설인 『신엘로이즈』를 출판하였고, 1762년에는 『사회계약론』과 『에밀』을 출판하였다.
루소의 사상적 배경은 낭만주의로, 이성을 절대시하는 주지주의·합리주의에 반대하고 감성의 가치를 주장하는 사조였다. 개성을 중시하고 감정 혹은 정서의 표현에 중요성을 강조했던 낭만주의는 루소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인간의 자연성을 강조하고 도덕성의 근원을 감성에서 찾은 루소의 교육사상은 낭만주의 사조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자연주의 교육관의 핵심 원리
1.2.1. 자연성에 기반한 아동교육
루소는 아동의 '자연성'을 보존하고 그들을 타락한 세상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아동을 타 어떠한 가치 실현적 수단으로 보는 것이 아닌 목적 그 자체로서 해당 발달단계의 고유 성숙을 강조하였다. 그의 아동관은 성선설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아동이 타고난 선한 본성을 잘 보호하고 지켜 자연스러운 발달과 성장을 도모해 나아가는 것을 교육의 이상으로 보았다.
루소는 아동교육의 목적을 '올바른 아동의 양성'에 두었으며, 이는 아동의 본성을 계발시키고 환경과 인위적 제한과 훈련에서 벗어나 아동이 자유롭게 성장하고 발달하도록 하는 데 있다고 보았다. 그는 아동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인위적인 과정이 아닌 자연적인 과정으로 보았고, 외부의 강압적인 강요가 아닌 내적인 발달로, 지식의 획득적인 면 보다는 자연적인 능력을 신장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이를 통해 살펴본 루소의 아동존중사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해볼 수 있다. 첫째, 루소는 아동이 내재한 선한 본성을 선한 세계에서 보호해야 하고, 인공적이고 인위적 사회에 오염이 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
참고 자료
이혜진(2008)『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이 현대교육에 미친 영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철(2015)『코메니우스와 루소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자연개념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